View : 771 Download: 0

예비적 감각정보 제공이 위내시경 검사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예비적 감각정보 제공이 위내시경 검사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Effects of Preparatory Sensory Information on the Anxiety Levels of Patients Undergoing Gastroscopy
Authors
김경은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감각정보위내시경검사불안간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영희
Abstract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as contributed to the array of diagnostic procedures available to medicine. But diagnostic procedures may be related to an increase in the anxiety of patients because they lack information about what to expect during the procedures. Nurses recognize that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the reduction of anxiety to help patients cope more comfortably with these procedures. Preparatory sensory information has been used successfully to reduce patient anxiety. Gastroscopy is an important examination contributing to the accurate diagnosis of gastric diseas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the effect of preparatory sensory information on the anxiety levels of patients undergoing gastroscopy and thus to provide greater comfort to these patients. The study subjec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forty out-patients visiting the internal medicine clinic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All subjects were tested at three points for anxiety, upon coming to the clinic for gastroscopy , before the gastroscopy prodecure, and after the procedure. For convenience, the first 20 subjects became the control group. Twenty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he preparatory sensory information before the gastroscopy. The preparatory sensory information was given verbally by the investigator and supplemented with printed information. Sometimes two patients were given the information togeth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2th to April 12th, 1991. The sensory information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through the literature and through open questions during interviews with patients who had had gastroscopy. Spielberger's State Anxiety Inventory and physical measurements of vital signs (blood pressure, pulse, and respiration) were used for the dependent variable.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an S.P.S.S. computerized program for percentage, X^(2)-test,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lower state anxiety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gastroscopy procedure, was supported (t=12.11, d.f=38, P=0.000).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greater reductions of state anxiety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gastroscopy, was supported (t=4.96, d.f=38, P=0.000).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less variation in vital signs than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gastroscopy procedure, was not supported. The fourth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less variation in vital signs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gastroscopy compared with before the gastroscopy, was partially supported. 2. No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state-anxiety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gastroscopy. Being married was related to a lower state of marriage state anxiety level after gastroscopy (t=2.22, d.f=18, P=0.040). In this group of patients, preparatory sensory information was related to a reduction in anxiety levels before and after gastroscopy.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practice but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stronger experimental control in further research.;기계 문명의 발달과 함께 의료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정밀한 진단 및 치료를 통하여 대상자의 건강진단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그중의 하나인 위내시경 검사는 위의 여러 장해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데 중요한 검사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질병의 진단이나 치료를 위해 절차나 검사를 받는 많은 환자들은 경험하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불안을 느끼게 되고 간호사는 그간 검사의 목적을 주로 내용으로 하였던 검사전 교육을 보다 대상자 중심으로 하여 그들의 검사시의 경험을 토대로 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법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위내시경 검사를 처음으로 받게되는 환자에게 검사에 대한 예비적 감각정보 제공이 불안을 경감시키는지에 대해서 규명함으로써 검사전후에 대상자에게 안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A 대학교 부속병원 내과외래에서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환자 40명중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 20명과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1년 3월 12일부터 4월 12일까지 30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예비적 감각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위내시경 검사를 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사전연구로서 개방적 설문지법과 면접을 통하여 대상자의 감각을 확인하였으며 문헌고찰을 통하여 감각정보를 구조화한 내용을 감각정보 간호중재의 내용으로 사용하였고 불안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Spielberger 의 State Anxiety Inventory 를 한국인에 맞게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활력증후로서 혈압, 맥박, 호흡을 생리적인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X^(2)-test, t-test, ANOVA의 방법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검정 제 1 가설인 "위내시경 검사에 대한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검사전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2.11, d.f=38, p=0.000). 제 2 가설인 "위내시경 검사에 대한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검사후 상태불안정도의 감소가 클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96, d.f=38, p=0.000). 제 3 가설인 "위내시경 검사에 대한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검사전 활력증후의 변화가 적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수축기 혈압의 변화: t=0.83, d.f=38, P=0.412 이완기 혈압의 변화: t=0.00, d.f=38, P=1.000 맥박의 변화: t=-0.69, d.f=38, P=0.494 호흡의 변화: t=0.93, d.f=38, P=0.357) 제 4 가설인 "위내시경 검사에 대한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예비적 감각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검사후 활력증후의 변화가 적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수축기 혈압의 변화: t=1.76, d.f=38, P=0.086 이완기 혈압의 변화: t=1.13, d.f=38, P=0.266 맥박의 변화: t=0.79, d.f=38, P=0.434 호흡의 변화: t=3.77, d.f =38, P=0.001)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비적 감각정보 중재와 실험군의 상태불안 정도 예비적 감각정보 제공후 검사직전 실험군의 상태불안 정도와 일반적 특성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검사후에는 결혼상태에 따라 상태불안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 2.22, d.f=18, P=0.040).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내시경 검사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내시경 검사를 받고 경험한 환자의 감각을 찾아 이를 구조화하여 검사를 앞둔 환자에게 감각정보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검사에 대한 환자의 인지 부조화로 인한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며 간호사는 임상실무에서 검사나 진단, 치료적 절차를 시행할때 예비적 감각정보 중재를 하므로서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