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Title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Other Titles
(The) Locus of Control, Perceptions of Stress in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Retirees
Authors
지연경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내외통제성은퇴스트레스생활만족도남자노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병은
Abstract
본 논문은 은퇴제도가 보편화됨에 따라 노인의 은퇴후의 적응을 고찰하기 위해서 노인의 배경변인 및 은퇴변인과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그리고 생활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인과모형으로 구성하여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은퇴 후 다른 새 직장에 전임 (full-time)으로 고용되어 있지 않은 남자노인으로서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 140명, 제주도를 제외한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 121명으로 총 261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노인의 배경변인중 내외통제성격을 측정하기 위해서 Rotter (1966)의 Internal-External Scale을 발췌, 번안하였으며, 은퇴변인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자가 관련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작성하였고, 노인의 생활만족도 측정에는 윤 진 (1982) 노인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Chi검증, T-test, 일원변량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분석, 단계별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은퇴한 노인들은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비교적 높다. 2. 우리나라의 은퇴한 노인들은 은퇴후에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생활수준과 건강상태, 그리 고 내외통제성격에 따라서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생활수준이 낮고,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그리고 외적인 통제신념을 가질수록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았고 생활만족도가 낮았다. 3. 은퇴와 관련하여 볼 때, 이전작업의 만족도, 은퇴후의 계획수립 정도, 노후 생활비에 대한준비에 따라서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이전직업에서 덜 만족하고 은퇴 후의 생활 및 경제적인 문제에 대하여 계획을 충분히 세우지 못했을 때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았고 생활만족도가 낮았다. 4.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내적인 통제성격이 강할수록, 그리고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낮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증가하여 이들 변수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정도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 교육정도, 수입, 생활수준, 건강, 그리고 내외통제성격은 은퇴변인과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을 매개로 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path model in which showed how the background variables, retirement-related variables, and the perceptions of stress in retirement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retiree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261 retirees (140 men living in Seoul and 121 men living in local place) who were not employed as a full-time. As tools of measurement, Rotter (1966)'s "Internal-External Scale" was amended and Yoon (1982)'s "Life Satisfaction Scale," was used. Retirement - related variables and the perception of stress in retirement were constructed from the questionnaires based on several retirement studies. The data were analized by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χ^(2),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ion, and Path analysis. Cronbach's α was also computed for verifications of the reliabilites of the scal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tirees perceived relatively high levels of stress in retirement. 2.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n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living standard, health, and internal control: the higher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retirement and lower satisfaction with life itself reflected the lower level of living standard and the poorer health status and higher external control of the retirees. 3. Concerning the retirement related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previous job satisfaction, plans and preparations for the leisure activities and financial arrangement. Those with lower satisfaction with their previous job, inadequate plans and preparations contributed to the high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retirement and thus retirees were less satisfied with life itself. 4. While health status, locus of control, and the perceptions of stress in retirement influenced directly on life satisfaction, age, education, income, and activity level influenced indirectly through the retiement related variables and the perception of stress in retirement on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perception of stress in retirement upon life satisfaction received strong sup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