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자-
dc.contributor.author김태희-
dc.creator김태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7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8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739-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독자적인 조형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전통의 올바른 인식과 이에 따른 변형 및 국제적인 감각에 부응할 수 있는 복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동·서양의 비교 양식을 통해 그 미적 가치를 도출하여 활용하는 것은 복식디자인의 바람직한 방법의 하나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한국의 떨잠과 서양의 키네틱 아트(Kinetic Art)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복식에 응용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떨잠을 모티프로 하여 떨잠과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복식에 응용함으로서 한국적인 새로운 모티프의 활용이라는 전통복식의 현대화와 '스스로 움직이는 복식'이라는 복식표현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여 한국적 특성을 활용한 복식디자인의 국제화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떨잠의 조형적 특성을 고찰하고 스스로 움직이는 키네틱 아트의 조형적 특성과 이를 응용한 복식을 살펴 본 후 떨잠과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비교·분석하여 미적 가치를 도출하고 이를 작품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의 근거자료로서 문헌자료와 실물을 표집하여 정리·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제작은 실제적인 움직임을 표현기법으로 하고 떨잠에 나타난 대표적인 문양 및 색채와 떨림을 재구성하여 전통의 현대화와 실제로 움직이는 복식을 실증하고자 실물 4점과 일러스트레이션 4점을 합하여 총 8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떨잠과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응용한 복식은 사차원적인 실제적 움직임(시간)을 복식에 적용시키므로서 인체와 대상물, 나아가 주변환경으로까지 시선을 확장시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둘째, 떨잠과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응용한 복식은 주변의 다양한 움직임에 반응하는 우연적이고 불규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착용자와 관람자 모두에게 즉각적인 흥미를 유발하는 심리적인 효과를 야기시키므로 복식표현의 확대효과를 가져다 준다. 세째, 디자인한 의상의 문양 및 색채는 떨리는 효과와 함께 디자인의 모티프로 활용하여 한국 전통복식의 우아한 곡선미를 표현함으로서 전통의 현대화와 독창성으로 국제사회에서 차별화될 수 있다. 네째, 디자인한 의상의 주소재로는 조형적 효과를 살리기 위해 시각적인 면을 고려하여 금속과 깃털을 적절히 활용하므로서 한국적이면서 국제적인 공감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떨잠과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응용한 복식은 '스스로 움직이는 복식'이라는 복식표현의 새로운 가능성과 한국적인 모티프를 활용한 복식 디자인의 국제화에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Need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etween Ttoljam and Kinetic Art is justified by an aspect that now there Is a demand to make uniquely traditional-oriented figurativeness and transformation considering together international sense. With Ttoljam as motif, applying movements of Ttoljam and Kinetic Art to costume design, the study sought a new potentiallity of costume representation that may be calle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ostume style' or 'a costume style that moves by itself.' Formative, esthetic characteristics of Ttoljam and Kinetic Art were first examined, then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both was conducted to extract some esthetic values to be worthwhile of themselves. For the base material as theoretical background, literary and actual materials were sampled, adjusted and analyzed, upon which total 8 artpieces including 4 actual objects and 4 illustrations were made up to give atual proofs of the both modernization of tradition and dress design of actual movement by reorganizing representative patterns, colors and trembles appeared on Ttoljam. Results from such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ume design that applied the movement of Ttoljam and Kinetic Art applies four-dimentional and substantial movement (time) to costume. So, it makes the level of vision extended to the human body and objects, and even up to surroundings, maximizing visual effects. Second, it showes an accidental, indefinite effect responding to various movements of surrounding. It, therefore, has a psychological effect evoking immediate interest of the both user and spectator Third, expression of elegance of curved lines which can be seen at the traditional costume makes the modernized originality differenciated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Fourth, with respect of a formative aim to find a common movement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it can heighten Korea-style but international sympathy making an appropriate use of movement-effective metal and feather. To sum up, the costume design applied movements of Ttoljam and Kinetic Art suggested a new potentiallity of costume expression, that is, so-called 'costume style moving by itself', and that it was effective in making use of Korean-style newer motif to international costume sty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필요 = 1 B. 연구목적 = 2 C. 연구내용 및 방법 = 2 Ⅱ. 조선후기 떨잠의 조형적 특성 = 4 A. 떨잠 = 4 B. 영락잠 (瓔珞簪) = 17 C. 뒤꽂이 = 22 Ⅲ. 키네틱 아트(Kinetic Art)의 이론적 배경 및 실제 = 33 A. 키네틱 아트의 이론적 배경 = 33 1. 키네틱 아트의 기원과 개념 = 33 2. 키네틱 아트의 조형적 특성 = 36 B. 키네틱 아트를 응용한 복식 사례 = 41 Ⅳ. 떨잠과 키네틱 아트의 양식적 비교 = 48 Ⅴ. 작품 제작 = 52 A. 제작의도 및 방법 = 52 B. 작품 분석 = 55 Ⅵ. 결론 = 86 참고문헌 = 88 부록 = 92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646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복식 디자인-
dc.subject떨잠-
dc.subject키네틱 아트-
dc.subject움직임-
dc.title움직임을 응용한 복식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떨잠과 키네틱 아트(kinetic art)의 비교양식을 통한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ovement-Applied Fashion Design : Based on comparison between Ttoljam and Kinetic Art-
dc.creator.othernameKim, Tae Hee-
dc.format.pagex,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