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숙-
dc.contributor.author林泳蘭-
dc.creator林泳蘭-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8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10-
dc.description.abstract현대가족의 부부관계는 가계의 계승보다는 개인의 정서적 만족과 부부의 행복추구에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부부가 상호간에 더많은 것을 기대하게 되고 이것에 문제가 생길 때에는 심각한 갈등과 불화를 일으킴으로써 이혼에 까지 이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부관계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하나님이 짝지어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한다고 할 뿐 아니라 평등한 동반자로서의 일부일처 원리를 기초로하는 결혼관을 전승하고 있는 개신교인들은 부부관계에 있어서 보다 많은 갈등을 노출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개신교는 급격한 숫적 증가로 현재 총 인구의 25%를 차지함으로 이들 집단의 결혼만족도 및 그에 수반되는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비단 양적 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리라고 간주된다.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회에 다니고있는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신앙심과 그들의 결혼 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검토하고 또한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스트레스요인이 신앙심과 결혼만족도와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함으로 교인들의 부부관계 성향을 확인하고 도움을 필요로하는 개신교인 부부나 가족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정·처우하기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10개 교회에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04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으며 그중 통계처리상 유용한 287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표집방법에 있어서는 교회선정은 집략표출에 의거했으며 직접적 연구대상자들은 각 교회의 남녀선교회 명단을 중심으로 무작위추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1)신앙심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Ellison이 제작한 영적성숙척도(Spritual Maturity Scale), (2)Olson이 제작한 ENRICH의 부부만족도 척도, (3)Olson이 제작한 ENRICH의 의사소통척도, (4)부부스트레스는 McCubbin이 제작한 FILE 목록등 4개의 척도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신뢰도 검증 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을 포함하여 총 63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pc*을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기법으로는 빈도분포,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본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회에 다니고 있는 기혼남녀의 신앙심과 부부간의 결혼만족도와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부간에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사이에는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인들의 신앙심과 부부의사소통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인들의 부부관계에 있어서도 부부의 스트레스수준과 결혼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상관관계는 p<.001로 나타난 반면 남성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두 변인 간에 상관관계가 없었다. 한편, 교인들의 신앙심과 부부의 스트레스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남녀 모두에게서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부의 스트레스 수준과 부부의사소통과의 관계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우리나라 개신교인 부부들에게 있어서 신앙심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부부의사소통과 부부스트레스와 같은 변인과 부부간의 만족도간에 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변인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이 결과를 바탕으로한 사회사업측의 전문적인 방법 및 기술이 개신교인 부부나 가족을 위하여 접근, 활용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The contemporary family couple relationship puts more value in emotional satisfaction and couple happiness than in carrying on the family. Therefore spouses tend to expect more from each other and when this becomes a problem conflict and dissolution occurs which leads to divorce. In the present time when all these changes are accuring, the protestant couples who believe that no one could divide a marriage, experience much more conflict. Recently, in our country Christian population increses incredibly, and now protestant make up 25% of the whole Korean population, so the research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protestant couples and the variables that effect it are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ligious Commi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married protestant couples. Also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couple communication, couple stress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By doing this trying to understand the protestant couples relationship orientations and provide professional social work service for them.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10 churches that located in Seoul, 350 were selected first and 287were the final participants. Sampling depend on cluster sampling method and subjects selected from random sampling among married men, women missionary subgroup. Instrument used in the study was (1)The Spritual Maturity Scale which developed by Ellison, (2)Marital Satisfaction Scale was taken from the ENRICH Inventory by Olson et al., (3)Couple Communication Scale also from the ENRICH Inventory, (4)Couple Stress Scale developed by McCubbin. Scales translated by researcher and took reliability test. Questionare consist of 63 items included biographical data. The collected data analyzed by Frequency, Pearson's coefficients, Regression through using spss/pc^(+)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rions between the Religious Commitment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Religious Commitment, the greater the Marital Satisfaction.. 2.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uple Communication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at a high level.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ligious Commitment and Couple Communication were found. 3.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uple Stress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but there is no statistic significant found for men.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level was shown in the Religious Commitment and the Couple Stress for men and women. But high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ouple Stress and the Couple Communication. In over-all results, Christians in our country are effected more from practical variables as is, Communicaion or Stress than Religous Commitment itself. Also, the women were more effected by all of these variables than men. Thu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appropriate social work skill and approach should be used for the protestant couple and fami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서론 = 1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4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1. 결혼만족도와 신앙심 (Religious Commitment) = 6 2. 결혼만족도와 부부 의사소통 = 11 3. 결혼만족도와 부부 스트레스 = 14 Ⅲ. 연구가설 및 주요용어 정의 = 17 1. 연구가설 = 17 2. 연구 설계 = 17 3. 주요 용어 정의 = 18 Ⅳ. 연구 방법 = 21 1. 연구 대상 및 연구절차 = 21 2. 측정도구 = 22 3. 자료처리 방법 = 26 Ⅴ. 조사결과의 분석 및 해석 = 2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 27 2. 가설 검증 = 31 Ⅵ. 결론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2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38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개신교-
dc.subject교인-
dc.subject결혼만족도-
dc.subject부부관계-
dc.subject신앙심-
dc.title한국개신교 교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arital Satisfaction Among Korean Protestant Couple-
dc.creator.othernameLim, Young Lan-
dc.format.pagevi,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