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응연-
dc.contributor.author양혜정-
dc.creator양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7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8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7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죽음불안을 연구함에 있어, 그 관련 변인으로 내외 통제성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5개 노인학교와 3개 노인정의 만 60 세 이상의 노인으로 남자 50명, 여자 99명, 총 149병이었다. 검사도구는 차재호, 공정자, 김철수(1973)의 내외 통제 척도,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와 Collett & Lester(1969)의 Fear of Death Scale을 서혜경(1987)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t-검증, 이원변량분석,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죽음불안 수준에서 성별, 연령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건강수준별 집단간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건강수준별 차이를 각 하위요인별로 보면, 자신의 죽어가는 과정에 대한 공포에서 가장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타인의 죽음, 타인의 죽어가는 과정에 대한 공포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신의 죽음에 대한 공포에서는 건강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지 못했다. 2. 내외통제성 수준에서 성별, 연령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사회적 지지 수준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연령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남녀간 차이를 각 하위요인별로 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에서는 남녀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4. 내적 통제 신념을 가진 사람이 외적 통제 신념을 가진 사람보다 죽음불안 수준이 낮았다. 5.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한 사람은 낮게 지각한 사람보다 죽음불안 수준이 낮았다. 6. 사회적 지지의 네 하위요인 중 평가적 지지가 죽음불안과 가장 상관이 높았다. 즉 평가적 지지를 높게 지각한 사람은 죽음불안이 낮았다. 본 연구 결과, 개인의 내적 통제감을 증진시켜 죽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죽음에 대한 준비교육을 실시하는 동시에, 가정과 사회에서 노인을 존중하고 지지해줄 때, 죽음불안 수준은 낮아지며 노인의 심리적 안녕을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is research has its objectives in inquiring into the general trend of “Death Anxiety” among the Korean elderly. Thus its has made investigations into the relations between Death Anxiety,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in total 149 senior citizens over the age of 60 from 5 senoir student schools and 3 senior citizen centers in Seoul; 50 amles, 99 females. The measurement scales used are from Cha J. H., Gong J. J., Kirn C. S.s‘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cales. Park J. W.’s Social Support scales and Suh. H. K.’s Fear of Death scale(1987) translated from Collet & Lester( 1969). The data has been analyzed by use of the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read as follows: 1. There is no significant sex, age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ath Anxiet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hown in the different health level groups. Among the four sub-scale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Fear of one’s own dying process. And while the two subscales of Fear of another person’s process of dying and Fear of another’s death also show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nxiety, the Fear of one’s own death subscal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2. No significant sex, ag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s of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3. 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ag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ex difference is significant. Among the subscales, females were found to perceive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ve support higher than males, and no sex difference was found among material and evaluative supports. 4. Internal Locus of Control persons show lower Anxiety of Death than External persons. 5. Subjects perceiving higher social support show less Anxiety of Death than those who perceive lower. 6. Evaluative support showed to have the strongest correlation to the Anxiety of Death among the four sub-scales of social support. That is highly perceived persons in evaluative support rate lower in the Anxiety of Death.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may suggest that when we provide adequate education for the acceptance of death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Internal Control Belief, and when senior citizens are accepted as whole members of the community as well as the family, only then can the goa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be thrived for substanti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죽음불안 = 4 B. 내외통제성 = 9 C. 사회적 지지 = 11 Ⅲ. 연구 방법 = 15 A. 연구대상 = 15 B. 측정도구 = 16 C. 자료처리 = 18 Ⅳ. 연구결과 = 19 A. 죽음불안 수준 = 19 B. 내외통제성 수준 = 22 C. 지각된 사회적 지지 수준 = 23 D.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죽음불안 수준 = 25 E.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과 죽음불안과의 관계 = 26 Ⅴ. 논의 = 28 참고문헌 = 33 부록 = 39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56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내외통제성-
dc.subject노인-
dc.subject죽음불안-
dc.subject사회적지지-
dc.title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인의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eath Anxiety of Elderly Accdrding to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dc.creator.othernameYang, Hae Chung-
dc.format.pagevi,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