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흥-
dc.contributor.author권위정-
dc.creator권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7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04-
dc.description.abstract페비안주의의 이데올로기적인 전통은 도덕적인 근거에서 자유시장 자본주의를 부정하고 의회제 민주주의제도를 통한 사회개혁 과정을 통해 평등주의적인 사회정책으로 특징지어지는 사회주의 사회의 창설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전후 영국의 복지국가는 이러한 페비안주의의 사상에 근거한, 1945년 노동당정부의 사회입법활동을 기초로 형성된 것이었다. 그리하여 전후 30년 동안 '사회행정'으로 구체화된 페비안주의는 양당간의 '합의'의 근거로 작용하여 2대정당의 정권교체 과정에서도 유지되어 왔다. 또한 이 기간에는 경제성장과 정치안정 그리고 사회복지의 확대로 표면적인 빈곤의 타파와 사회 평등이 달성되어 페비안주의자와 노동당이 목표로 한 사회가 달성된 듯 보였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이후 오일쇼크의 영향으로 세계자본주의가 쇠퇴하기 시작하자, 영국도 이에 영향을 받아 경제가 쇠퇴하고, 정치가 불안한 '위기'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동시에 사회복지가 이러한 불안의 원인을 제공하였다는 인식이 좌·우파로부터 제기되어 '복지국가위기'가 도래하였다. 이에 노동당정책을 통해, 전후 영국 복지국가의 근거를 마련하였던 페비안주의자에 대한 비판도 함께 제기되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처음에는 사상적, 방법론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였던 페비안주의자들은 1980년대중반에 들어서면서 서서히 대응을 모색하게 되었다. 페비안주의자들이 모색한 '복지국가위기'에 대한 대응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하나는, 페비안 정통파의 입장으로, 종래의 페비안주의가 내세운 복지는 국가를 통한 사회서비스의 급여로 이 과정에 교육받은 전문가가 개입하고 의회제등의 국가기구를 통한 사회주의 달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사회서비스 급여의 관료제와 전문가개입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페비안 정통파들은 서비스급여의 책임성과 민주성을 강조하는 지방분권적인 서비스급여 체계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 역시 페비안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채 이상주의와 전체 사회구조의 분석을 결여한 증상의 치유에만 그치고 있다. 다른 하나는, 페비안 좌파의 입장으로서 페비안주의의 복지사상은 사회조사를 통한 경험주의에 근거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 결과 사회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을 결여하고, 표면적인 문제의 해결에만 치중하게 되어 자본주의의 모순이라든지, 계급관계의 문제등은 간과하였다. 이에 페비안 좌파들은 1980년대들어 사회문제를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급진적 사회행정'의 연구방법을 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역시 페비안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이상주의의 한계점과 문제를 구조적으로 인식은 하였지만, 사회의 구조를 사회변화의 동력으로 활용하는 실천성은 모자라는 관념적인 대안에 불과한 한계를 지닌 것이다. 이와같이 페비안주의자들의 '복지국가위기'에 대한 대응은 페비안주의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동시에 계속적으로 선거에서 노동당이 패배하는 정치적인 상황과 노동자의 부유화등 영국사회의 변화 그리고 동구권의 사회주의의 붕괴등으로 인한 세계자본주의 국가의 보수화의 물결에서 그들의 향후 방향모색에 고심하고 있는 형편이다.;Fabianism offered a basis for the postwar British Welfare State. It took a definite form by an outcome of the Labour party Government's social legistration activities in 1945. From 1950's to mid 1970's, fabianism was embodied to 'social administration' and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British Welfare State. For 30 years after the war, this was foundation of "consensual politics" inter two parties. And that period in the British Society was the time of economic growth, political stability, extension of social welfare. And then, through relieving poverty and accomplishing social equality, it seemed to be making an outward show of accomplishing 'equal society' that fabianist and the Labour party had as their goal. However, after mid 1970's, the effect of the oil shock made world capitialism become declining. Britain was not a exception, and she was faced with the 'crisis situation' that economic degeneration and political insecurity showed from. At the same time, the view that the welfare state provide the cause of the insequrity was presented from the Left and the Right. As a Result, the 'crisis of the welfare state' came. The criticism on the fabianism that provied the basis of the postwar British Welfare State through the Labour party's policy was presented, too. As that start, fabianists could not react to this criticism methodologically, and ideological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mid 1980's, fabianists have tried to find the way of reaction. The fabian reaction to the 'crisis of the welfare state' is divided into two position. The one is an othodox fabian position. They explain like this.: The existing welfare state has insisted on delivery of social service through nation. Educated professionals have intervened in the process and welfare benefits have delivered through nation mechanism. As a result, there have been presented the problem that social service benefits have become bureaucratized, and the problem of professional intervention. Therefore resposibility to the beneficiary and democracy in the social service delivery is required as an alternative. However, the altenative cannot overcome the limits of the orthodox fabian position. That is, their position is an idealism and they only cure symptom without analyzing whole social structure. The other is the fabian-left's position. They explain like this. : They existing welfare states have been founded upon empiricism and social survey. As a result of it, there was not structual analysis on the social problem. Because the existing welfare state concentrated on the solving superficial problem, the contradiction of the capitalism or the problem of class relation were not considered. Accordingly, the fabian-left's study that have brought in the method of analizing social problem structual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80's. However, this position have the limitation, too. That is, it has limitation of the idealism and though fabian-left's recognized social problem structually, they lacked the power of execution that treated on social structure as energy of social change. As above mentioned, fabian reaction after the crisis of the welfare state have limitation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political phenomenon of the Labour pary's defeat in the election and accordingly to social phenomenon of laborer's embourgeoisification, the intern1 situation of British has been changed as a whole. And owing to break-down the socialism in the Eastern Europe, capitalist nation become conservative. Fabianism are at great pains to find their future course. In order for fabianism revive in changed intra, international order, fabianists have to present thought and policy alternatives that go with current situ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과 연구내용 = 5 C. 연구방법과 한계점 = 6 Ⅱ. 페비안사회주의의 개요 = 7 A. 페비안협회 (Fabian Society)의 형성 = 7 1. 1880년대 영국상황 = 7 2. 페비안주의에 영향을 미친 사상 = 9 3. 협회의 구성과 성격 = 11 B. 페비안사회주의의 특징 = 13 1. 페비안사회주의의 이념 = 13 2. 방법론 = 14 (1) 점진주의 = 14 (2) 국가책임주의 = 15 (3) 경험주의 = 18 3. 경제이론 -산업국유화론- = 19 Ⅲ. 전후 영국 복지국가에 영향을 미친 페비안주의의 사상 = 22 A. 1945년 노동당정부가 영국 복지국가에 미친 영향 = 22 1. 노동당과 페비안협회의 관계 = 22 2. 페비안주의와 소극적 집합주의 = 23 3. 1945년 노동당정부의 사회개혁활동 = 25 (1) 1945년 노동당정부의 사회개혁활동 = 25 (2) 1945년 노동당정부 사회게혁활동에 대한 평가 = 26 B. 페비안주의가 전후(戰後) 영국 복지국가의 전개과정에 미친영향 = 29 1. 사회행정의 출현과 특징 = 29 2. 영국 사회정책에 대한 영향: 티트머스를 중심으로 = 32 (1) 영국 사회정책에 대한 티트머스의 영향 = 33 (2) 영국 사회정책에 대한 티트머스의 영향 평가 = 38 Ⅳ. 복지국가위기에 대한 페비안주의의 대응 = 41 A. 복지국가위기론과 전후 '합의'의 붕괴과정 = 41 1.전후 복지국가에 대한 ‘합의’형성기간 = 41 2. 복지국가위기론과 ‘합의’붕괴 = 44 B. 복지국가위기에 대한 페비안주의의 대응 = 49 1. 페비안주의의 일반적인 대응 = 49 (1) 페비안주의의 정책대안을 통한 대응 = 50 (2) 페비안주의의 이념수정을 통한 대응 = 55 2. 주요 논점 = 57 (1) 페비안 정통파의 논점 = 60 (2) 페비안 좌파의 논점 = 62 Ⅴ. 결론 = 66 참고문헌 = 70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308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복지국가위기-
dc.subject페비안주의-
dc.subject페비안사회주의-
dc.subjectFabianism Reaction-
dc.title복지국가위기에 대한 페비안주의의 대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bianism Reaction to the 'Crisis of Welfare State'-
dc.creator.othernameKeon, Wi Jeong-
dc.format.pagev,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