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13 Download: 0

J.S.Mill의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Title
J.S.Mill의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Authors
최제윤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J.S.Mill공리주의자유주의철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경희
Abstract
희랍의 쾌락주의가 쇠퇴한 이후, 철학사에서 쾌락주의가 다시 등장하는 것은 19세기 영국에서이다. 이를 '공리주의'라고 부른다. 희랍의 쾌락주의가 개인의 쾌락에만 관심을 두었던 이기주의적인 쾌락주의였다면,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로 하는 사회윤리를 주장하는 윤리적 쾌락주의였다. 데이비드 흄에서부터 싹이 보였던 공리주의가 이론적인 체계를 갖추고 나타난 것은 제레미 벤담에서 부터였고, 벤담의 이론을 일부 수정하면서 새로운 공리주의 이론을 주장한 사람은 존 스튜어트 밀이었다. 벤담의 공리주의는 쾌락의 양적인 면만을 중시하는 양적 공리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 벤담의 입장은 쾌락의 양만 동일하다면 쾌락을 느끼는 주체가 동물이거나 인간이거나 간에 문제가 되지 않았으므로, 인간의 고귀함을 동물과 마찬가지로 취급하게 되는 결론에 이르게 되고, 결국 벤담의 공리주의는 '돼지에게나 어울리는 철학'이라는 비난을 받게된다. 공리주의에 대한 이와 같은 비난으로부터 공리주의를 구출하기 위해 밀은 벤담의 입장을 수정하여 쾌락에 질적인 차이를 중시하는 질적 공리주의를 주장하게 된다. 먼저 제2장에서는 공리주의 일반의 기본원리들을 검토해 보았다. 공리주의의 기본원칙은 결과주의와 쾌락주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입장이 기본적으로 주장하는 원리들을 검토하고 이들의 난점 및 반론들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와 양적 공리주의를 질적 공리주의로 수정하는 밀을 대비하면서 다루었다. 벤담은 쾌락에 있어서 양적인 평가만을 중시하며, 실제로도 각각의 쾌락에 대한 양적인 계산을 위하여 쾌락 계산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쾌락에 대한 양적인 평가는 실질적으로 정확히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쾌락에 대한 계산도 일관되고 객관적인 기준을 지니기는 어렵다. 벤담의 이론이 지니는 약점을 보완하고 공리주의에 가해지는 비난으로부터 공리주의를 구출하기 위해서 밀은 쾌락에 질적인 평가를 도입함으로써 벤담의 공리주의를 수정한다. 밀의 이런 입장을 질적 공리주의라고 부른다. 밀은 쾌락에는 질적으로 높은 쾌락과 질적으로 낮은 쾌락이 있으며, 인간의 고귀한 품성은 질적으로 높은 쾌락을 추구하기를 원한다고 한다. 밀의 주장은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한 것이었다. 벤담은 인간과 동물 사이에 분명히 존재하는 질적인 차이를 과소 평가하였으며, 관능적인 쾌락과 지적인 쾌락을 구분하지 않고 오로지 양의 차이만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고유한 삶의 형태를 간과하였다. 제4장에서는 밀의 수정된 입장에 나타나는 의무론적 요소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공리주의가 설득력있는 윤리형태로 주장되기 위해 밀이 공리주의 이론에 가한 수정작업에 주목하였다. 질적인 쾌락을 즐기는 주체인 인간은 밀의 논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밀의 인간관을 자세히 다루었다. 일의 인간관은 의무론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나는데, 밀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양적 공리주의가 중시한 개인의 쾌락을 넘어서 인간의 보편적인 존엄성을 강조하는 사회윤리로 나아간다. 또한「자유론』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개인의 이익과 사회의 이익에 조화를 찾고자 하는 그의 공리주의적인 사상을 함께 살펴보았다. 밀의 공리주의는 인간의 품성 개발을 위한 사회의 역할을 강조한다. 즉 질적 쾌락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의 조성에 대한 요구가 밀의 이론에는 실제적으로 함축되어 있다. 필자는 밀의 질적 공리주의에 대한 자세한 논의를 통해 공리주의 윤리가 자신의 이론에 가해졌던 비난들을 해결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밀은 개인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의무론적인 인간관으로, 개인과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는 자유에 기초한 논의를 통해서 해답을 모색한다. 물론 밀의 논의가 모두 설득력있게 들리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밀의 이론을 재검토해보고자 하였던 것은 공리주의 윤리가 어떤 모습으로 재정비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시사점을 밀에게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다.;After Greek Hedonism had declined, it was forgotto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for a long time. Hedonism appeared again in 19th century in England, but it′s theory was a little bit changed. It is called Utilitarianism. The difference between Greek Hedonism and Utilitarianism lies on their main concern. Greek Hedonism and Utilitarianism lies on their main concern. Greek Hedonism puts its importance on personal pleasure but Utilitarianism goes beyond the personal pleasure by putting more of weight on the social characteristic of human being. The basic doctrine of Utilitarianism is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Jeremy Bentham was the first person who gave the theoritical system to Utilitarianism. However, Utilitarianism was developed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Bentham′s original theory by John Stuart Mill who was one of Bentham′s followers. Bentham′s Utilitarianism is often called Quantitative Utilitarianism. It gives importances only to the quantity of pleasure that in his theory, every pleasure has same value when it produces same quantity of pleasure. It was not the Bentham′s concern who was the subject to feel or experience the pleasure ; the subject could be a man or an animal. His theory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 was possible that the dignity of human being could be disgraced. John Stuart Mill reorganized Bentham′s theory to escape from the criticism and protect the theory of Utilitarianism. Mill emphasized on the fact that pleasure has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fore, he insisted that qualitative aspect of pleasure cannot be ignored, and it should have more weight in calculating pleasure. So Mill′s theory is called Qualitative Utilitarianism. In this thesis, I first reviewed Mill′s theory of Utilitarianism. Then I demonstrate that Mill′s reorganized theory was the best possible ethical form of Utilitarianism. In chapter 2, I introduced two general doctrines of Utilitarianism : Consequentialism and Hedonism. First, two doctrines′ general themes are introduced. And second, the criticism about these doctrines are also argued. In chapter 3, Bentham′s Quantitative Utilitarianism is compared with Mill′s Qualitative Utilitarianism. Bentham valued only quantity of pleasure. He invented the device of ′hedonic calculus′ to calculate the quantity of pleasure, but it was too difficult to calculate pleasure objectively with his device. Mill thought that pleasure has high quality or low quality. He also thought that human nature wants to share pleasure with others and by sharing, human being achieved high qualitative pleasure. Mill′s theory of huamn nature included the Deontologocal factor which was excluded by the original Bentham′s Utilitarianism. In chapter 4, I introduced Mill′s 『On Liberty』, Mill included many aspects of Deontology in harmony with Utilitarian theory, so as to develop his theory to be a persuasive ethical form. Because of this Mill is criticzed of not being a real Utilitarian, but his importance in Utilitarian tradition should be focused on his improvisement of the theory. I wanted to show a defensible translation of Mill′s theory, so I showed the benefits of his theory. The work in this thesis is for right understanding of Mill′s the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