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어머니의 취업이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취업이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other's Employment on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Authors
장윤선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어머니취업자녀학업성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Th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s considered somehow exceptional and many people tend to think that the employment of mother's will have various disadvantages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Consequently, they think it will bring negative impact on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But these consequence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stage of children, and family system and can be controlled by variable such as family income and life plans. This research is concerning about fol lowing question. What kind of impact have mothers on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related to emotional attribute? Can maternal behaviour make differences in it? And also are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al attribute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when considering family background variables? After having examined these, there will be comparison between employed mothers and non-employed ones, In this research, provided background facts are like following. Is mother employed or not? Is father alive? What is mother and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How many hours does mother work? What is child's sex? And the number of children, family monthly income,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 children's working hours on study, and parent-teacher conferences? etc.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following assumptions are hypothesized. First, mothers'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is practical and more over,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paternal behaviour have large influence on emotion attribute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state of mothers' being employed(or not),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parents'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will influence on emotional attribute related to i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ose 2,148 second year's students in middle school residing in Nothern Seoul area. They were handed out test papers on self-conception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Final data were handled by col looted data SPSS+Program that is regression, F-test. Research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back-ground variables which were set up from conceptual model of Milne et al have been clarified to he more practical when it is said that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 rather than the fact whether mothers are employed or not or children have their fathers or not, have more impact on emotional attribute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It's been proved that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parents' expectation and children's sex are influential in children's establishing self-concepts. And mothers' spending hours on their children's study is influential in children's attitudes toward learning.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parents' expectation fo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and mothers' sparing hours on children's studying which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children's studying habits. Second, between two set up facts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of employed mothers and non-employed ones,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is proved to be influential. And parents' expectation for children's study is prove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children's achievement motive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accordance lui th what kind of educational expectation they have in particular. Among emotional attribute which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parents'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s studying are proved to have impact on children's self-concepts, parents's expectation of their children's success in studying is influential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learning and for study habits, it is parents'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hat has meaningful influence on it. In Conclusion, Parents' care and maternal behaviour have more impact upon children than family background. Also. it is proved to be only a vague idea to maintain that the employment of mother's and its family envioronment will exert negative effect on children. Rather when they have the right view point and expectation for children, there won't be much difference in emotional' attribute related to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no matter they are employed or not. So, it will be helpful to have proper understanding and the way of bringing up children in order to reduce the effect of variables from out side.;기혼 여성의 취업은 일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예외적인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어머니의 취업은 자녀교육에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막연히 믿고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결과적으로 학교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들의 근거를 재검토하여 나이와 가족구조에 의해 다른 결론을 얻을 수 있으며, 수입과 시간이용에 따른 변수들에 의해 조정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세가지 결론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1)어머니의 취업이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자녀에 대한 교육적 기대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가? (3)가족배경 변수들을 고려하였을 때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을 어느정도 설명해 줄 것인가? 이 세가지 질문은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비교함으로 대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배경적 요인은 어머니의 취업여부, 부모의 유무, 어머니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시간, 자녀의 성별, 자녀의 수, 가정의 월 수입, 부모의 교육적 기대, 자녀공부에 보내는 시간, 부모-교사 협의 등으로 설정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아래와 같은 연구가설을 증명함으로서 달성된다. 첫째, 어머니는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가 있을 것이며, 가족배경 변인이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순위가 있을 것이다. 둘째, 어머니의 취업여부, 어머니의 교육수준, 그리고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2,1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자아개념 및 학업에 관한 태도 검사지를 배포·회수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regression), F검증(F-test)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선행연구에 의하면 가족배경 요인은 자녀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ilne 등은 개념 모형에서 설정한 열한가지 배경 변인들 중 어머니의 취업여부나 부모의 유무보다는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자녀에 대한 교육적 기대가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 중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는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학업에 대한 태도는 어머니가 자녀 공부에 보내는 시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습습관은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 어머니가 자녀 공부에 보내는 시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취업모와 비취업모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 영향을 줄 것으로 설정한 두가지 요인 중에서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 역시 부모가 자녀에게 어떠한 교육적 기대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자녀의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 중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는 주효과 중에서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학업에 대한 태도는 자녀에 대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습습관은 주효과 중에서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교육적 기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어머니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당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는데 부모의 관심과 어머니의 행위는 자녀들의 가족배경 보다 크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취업이나 가정환경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막연한 사고 보다는 어떠한 상황이든 부모가 자녀에게 올바른 관점을 가지고 기대를 한다면 자녀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정의적 변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자녀교육에 대한 바른 태도와 양육은 외부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