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추상적 상징형식(Symbolic Form)에 의한 '초월성' 추구

Title
추상적 상징형식(Symbolic Form)에 의한 '초월성' 추구
Other Titles
(The) Pursuit of 'Trenscendence' by Abstract Symbolic Form
Authors
조송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상징형식초월성Symbolic Form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희영
Abstract
In each age, the freedom of art has been changed in its range. Specially, since Manet(1832-1883), occidental paintings were liberated from the matter of representation and acquired a freedom to quest for the essence and form of painting, and, under this situation, it has developed, showing various and complicated appearances, by way of abstract expressionism in 1950's, pop Art in 1960's, Minimal Art and Support surface etc. in 1970's. Post-Modernism which has appeared recently, has become more various and it released all kinds of thoughts, motives and impulses which were rejected by Modernist. New arts, appeared with the fact that "the Abstract had been recovering" since 1986, have involved in the arts which were achieved in 1970's and have developed into more complicated aspect. In the state of various basis, I have looked forward to investigating my own ideology and expression language. Therefore, in this article, I used the word 'tanscendence' to designate transcendent world, that is, ideal world pursued by a human desire for transcendence in a chaotic state, and the way with more proper understanding on "how to visualize 'trancendence'", my work would have to be understood by means of symbol. Concerning the aspect of contect, I studied the role of symbol on the basis of theories of E. Cassirer(1874-1945) and, getting bearing this understanding, I made researches in transcendence and geometric form as an objective style.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I investigated the invitation of each plastic element as a means for expressing mentality and, by using subjective expression of 'transcendence', I've tried to draw my works into the form of artistic symbol, not only a system of simple symbols. Finally, from a standpoint that art should explicity express artist's subjective world, as a reflection of a free mind, I wish this study would provide a momentum in finding 'my own expression' further.;시대가 바뀔 때마다 예술의 자유는 그 범위를 달리하여 왔다. 특히 마네(Manet 1832~1883)이후 서양회화는 재현의 문제에서 해방되어 형식적인 창조의 문제와 회화 본질 탐구의 자유성을 획득하였고, 이 같은 맥락에서 1950 추상표현주의, 1960 팝아트, 1970년대 미니멀 아트, 쉬포르 쉬르포스 등과 같이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며 전개 되어 왔다. 최근 대두된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은 모더니스트들에 의해서 거부 되어온 영역을 모든 유형의 사고, 동기, 충동으로 부터 개방시킨^(1) 문화의 한 경향으로, 미술에 있어서 과거의 양식과 현재에 존재하는 양식을 서로 결합한다는 점에서 그 어느 시대보다 다양함을 나타낸다. 1986년 이후 추상이 복귀되고 있다^(2)는 선언과 더불어 나타난 새로운 미술은 1970년대 얻은 것을 통합하고 합성하는 보다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인은 이 같이 다양하게 전개되는 상황이 과거의 미술과는 달리 더 이상 따를 만하다고 여겨지는 노선을 제공하지 않음을 의미한다고 보고, 나름대로의 모색을 통해, 현상계를 초월하고자 하는 욕구가 반영된 이념으로서 '초월성' 추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관념의 세계인 '초월성'을 어떻게 가시화하는가에 대해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고 내용적 연구 A-a에서 관념의 가시화로써 카시러(Cassirer 1874~1945)의 상징형식 이론과 추상적 상징에 대해 살펴보고, A-b에서는 보링거(Worringer)의 이론을 토대로 초월성과 기하형상의 관계를 밝히고 그 증거를 미술사속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방법적 연구 B-a에는 '초월성'에 대한 주관적 상징으로써 나타난 내적 형상의 의미와 표현기법을 샘프란시스(S. Francis) 작품과 비교하고 B-b에서는 상징적 조형요소-수직, 수평과 색채-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작업의도와 표현성과를 C절의 본인의 작품분석 통해 살펴 보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