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형상을 통한 인간의식 표현연구

Title
형상을 통한 인간의식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xpression of Human Consciousness through the Figure
Authors
손정연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형상인간의식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희영
Abstract
예술은 단지 '형식'이 아닌 어떤 내용의 형식으로서만 비로소 존재한다. 이는 형식이 없는 내용은 내용이 아니고 그 자체가 상상할 수 없는 것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젤페인팅의 환영적 재현이 아닌, 존재론적 조건(ontological condition)으로서의 단순한 회화(평면성)를 추구해오던 E.Manet(1832~1883)이후의 모더니즘이 그 존재론적 실천을 거듭하여 짜여진 캔바스를 사용한 F. Stella(1936- )에 이르러 그 평면성의 한계에 부딛히게 되었다. 이와같은 조형요소들의 엄격한 縮約은 대중의 반응과는 무관한 비인간적 형식만 남겨놓게 되었다. 이것은 예술의 양면성(내용/형식, 구성/미메시스, 자을성/사회성 등)을 兩者擇一식으로 이분화 함으로써 그 존립기반을 스스로 파괴한 결과가 되었다. 그러므로 예술의 생성과 발전에 대한 양면성들의 적대관계를 통한 변증법적인 발전과정하에서 새로운 선택이 불가피해졌다. 이 새로운 선택은 1970년대 말 독일, 이태리, 미국 등 각국에서 共時的으로 발생한 회화의 물결이다. 이는 Minimal Art, 개념미술의 지나치게 이성적이고 관념적인 미술에 반대하여 등장하게 된 주관적 본능적, 개성적인 회화로서 풍부한 감정과 사상을 주관적으로 왜곡해서 표현한 직설적인 형상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인은 예술에 있어 적대적인 요소들의 긴장관계가 소멸하면 자율성을 잃게되며, 그러한 긴장관계의 변증법적과정 내에서만이 예술이 존속할 수 있다는 아도르노의 예술의 자율성이론을 근거로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후기모더니즘회화의 형상성과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적 측면에서는 사진의 사용, 드로잉적 요소를 통해서 형상과 현대와의 연계성을 찾아보았다. 사진의 사용에 있어서는 F. Bacon, D. Salle, R. Longo를 참고작가로 들어 그들의 작업과정에서 사용되는 사진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선택에 의한 회화적 조형성안에서 인간의 강박관념, 무기력함 등 내부에 존재하는 복잡한 인간의식을 제시함으로써 인간현존에 대한 소통과 갈등극복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Art doesn't exist simply as a 'form' but do exist only as a certain form of some content. We can say that the content without form is not really any content and is not imaginable in itself . The modernisim from E. Manet (1832-1883) had not pursued the 'simple-painting'(flatness) as an illusory representation of easel painting but as an ontological condition of it. The modernism made ontological commitments unceasingly and began to use a shaped canvas. Such a thorough reduction of painterly element leaves after it only an inhuman form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any reaction of mass. Having forced us to choose between the two essential elements of art (content/form, construction/mimesis, autonomy/sociality) : it leads to such a result that it destroys its basis of being. Therefore we are faced to the dialectical development process through opposition of the two elements of art. And we are brought to a new choice. The wave of painting, which rose concomitantly in Germany, Italy, USA and so on at the end of 1970s is considered a new direction. Such subjective, instinctive and characteristic painting has opposed to the theory of exceedingly rational and idealistic painting of Minimal art and Conceptual art. It has a characteristic of representing itself through straight-speaking form which true emotions and ideas in favor of subjectivity. T. Adorno said that when the tense relationship of opposing elements of art disappears, art becomes to lose its autonomy and he argued that art can exist only in such a dialectical process of tension. I attempted to examine the 'form and content' of post-modernisim painting on the basis of Adorno's theory of art autonomy. On methological side, I Look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figurative painting and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use of photography and drawing element. On the use of photography, I tried to explain the roles of photo in case of F. Bacon, D. Salle and R. Longo. I wish that such attempts would give us a moment of communication on human living and of conflict-conquering. For such attempts on the painterly elements of the new choice would be able to illuminate the complicate human consciousness which exists as a human obsession, helplessness et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