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3 Download: 0

중환자의 절망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중환자의 절망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Phenomenological Nursing Study on The Critical Ill Patient's Feeling of Hopelessness
Authors
이미숙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중환자절망감현상학간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영희
Abstract
Critically ill patients face unexpected situational crises. In crisis , patients suffer psychological disequilibrium and if they succumb to crisis , they experience grief and despair but if they overcome the crisis , they develop hope and confidence. The purpose of phenomenological study was provid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patients perceptions of hopelessness in the crisis of critical illness a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nursing diagnosis or hopelessness and eventually to culltually appropriate interventions toward hopefullness. The research problem was to define hopelessness as perceived and experienced by korean patients during an critical illnes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2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Data wa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10, 1989 by intensive interview. Interviews were done by the researcher and all were tape-recorded.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Penomenological method from Van kaam Validity assured by confirmation of the internal cosistency of the ststements and category by nursing collegues in educational and clinicions in the intensive care. From the emic data, 274 descriptive statements were organized into 51 theme cluster , 29 theme and 5 categories. The five categories were phenomema related to the hopelessnes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hopelessness, fellings and responses, motivation to overcome the hopelessness, motivation t o have lost the hope,. 1. The themes comprising the categor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hopelessness included having no hope for life , helplessness and giving -up. More specically, there is no hope to live and there is no possible treatment available so in the face at death, they give up their hold on life. 2. The themes comprising the category "Phenomena related to the hopelessness" included the internal factors, loss of physical wellbeing, negative fellings about the future, the extended illness , loss of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low self-esteem. The external factors included transference of other's negative attitudes, unsatisfactory relationships with nurses and doctors, loss of economic stability and an isolated environment. 3. The themes comprising the category "Felling and responses" included several to death - passive acceptance of death, Worry about family after one's death, hoping for a quick death, suicidal tendencies ;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cluding felling of helplessness, futility, regret, apathy, low self-esteem ; grief ; inability to make decisions ; withdrawal ; depression and anxiety. 4. The themes comprising the category "motivation to overcome the hopelessness" included restoration of physical wellbeing, support from professionals and family, searching for reasons to hope and solution of economics problems. 5. The themes comprising the category "motivation to have lost the hope" included positive outlook on the future, support from others, searching for reasons for hope and religious belief. Defining characteristics for critically ill koreans patients, diagnosis "hopelessness" need to be considered by the nurse in the assesment process. The definition of characteristic culturally specific to korean client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nursing knowledge.;현대 간호는 신체 위주의 간호에서 탈피하여 대상자를 총체적 인간으로 보면서 생리학적, 정서적, 사회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전인간호를 지향하고 있다. 중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중환자와 24시간 함께 있으면서 급박한 생리적 욕구 충족 뿐 만 아니라 정서적 측면을 포함한 전인적 간호를 해야 할 위치에 있으나, 중증질환으로 인해 중환자의 신체적 측면의 간호가 급한 상황에 있음으로서 정서적 측면의 간호에 소홀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질병을 앓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적 취약성을 깨닫게 되면서 절망감과 좌절을 경험하게 되는데 질병에 대한 이러한 정서적 반응은 환자 자신의 통합성과 신체의 질병으로 몸이 아프게되면 사람은 절망감과 좌절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감정은 질병경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중환자는 신체적 상태가 심각하므로 절망감을 자주 경험하게 되어진다. 더우기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중환자는 중증질환이라는 예기치 못한 상황적 위기를 맞이하게 되어져 위기 상황시 심리적인 불균형으로 위기에 완전히 굴복하는 경우 슬픔과 절망으로 가득차게 된다. 그러므로 절망감은 중환자의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서로서 중환자의 전인간호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중재를 요하는 정서적 간호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의 전인간호 실현을 위해 중환자의 정서적 측면의 간호진단중 하나인 절망감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감을 증진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절망감 개념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 임상에서 절망감 간호진단을 내릴 수 있는 사정의 기초자료와 더불어 중환자의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서인 절망감을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중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989년 8월 1일부터 9월 10일 동안 서울 시내 대학부속병원의 중환자실에 24시간 이상 입원한 20세∼ 59세의 성인 중환자 22명으로, 비구조적인 개방식 질문의 면담으로 면담내용을 녹음하면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Van Kaam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틀을 이용하여 분석되어졌으며, 분석된 내용의 신뢰도, 타당도 검정은 박사과정생 3인, 석사과정생 2인 및 경력10년 이상의 석사학위 소지자인 중환자실 수간호사 2인과 책임간호사 1인에 의해 검정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74개의진술에서 52개의 부주제와 29개의 주제 그리고 5범주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가 절망감에 부여하는 의미는 포괄적으로는 희망이 없는 상태, 불가능함 그리고 자포자기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삶이나 생명에 대한 희망이 없으며 치유가 불가능하여 죽음에 직면하게 되어져 삶이나 생명을 포기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2. 중환자의 절망감 발생의 내적 요인으로는 신체적 안녕감 상실과 부정적 미래관, 장기적 투병기간, 역할이행 능력의 상실, 가치감 저하로 나타났으며, 외적요인으로는 미래에 대한 타인의 부정적 태도 전이, 의료인과의 불만족 관계, 경제적 안녕감의 상실, 고립된 환경으로 범주화되어져 나타났다. 3. 중환자의 절망감을 경험할 때 나타나는 느낌과 반응은 죽음의 수동적 수용, 죽음 후 가족 생각, 죽음이 빨리 닥치기를 원함, 자살의지 등 죽음에 관련된 태도와 무기력, 후회감, 허무감, 무감동, 자존감 저하 등 부정적인 감정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슬픔, 의사결정 장애, 위축, 우울, 불안으로 범주화되어져 나타났다. 4. 중환자가 절망감에서 벗어나게 된 동기로는 신체적 안녕감 회복, 타인의 지지, 희망의 동기 유발, 경제적 문제해결 등으로 범주화되어져 나타났다. 5. 중환자가 절망감을 경험하지 않도록 도와주었던 요인으로는 긍정적 미래관, 타인의 지지, 희망동기 유발, 신체에 대한 비위협적인 인지, 신앙 등으로 범주화되어져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환자의 절망감을 예방하거나 간호진단을 내리는데 있어 고려되어야 할 사정요소의 기초자료가 제시되었으며, 절망감의 효율적인 중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서구문화에서 내려진 절망감 간호진단이 아닌 한국인을 대상으로 절망감 현상을 분석하여 절망감 간호진단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서 한국적 간호지식체의 개발에 기여하기를 바라며 또한 중환자로부터 살아있는 경험의 자료이므로. 문헌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간호진단을 임상에서 보다 쉽게 활용이 가능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론과 실무의 간격을 좁히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