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1 Download: 0

나프탈렌 유도체들과 β-Cyclodextrin간의 착물 형성

Title
나프탈렌 유도체들과 β-Cyclodextrin간의 착물 형성
Authors
宋承姸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화학과
Keywords
나프탈렌유도체β-Cyclodextrin착물 형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준우
Abstract
나프탈렌 유도체들-Anilinonaphthalenesulfonate(ANS)와 1- 또는 2-치환된 naphthalene-과 β-cyclodextrin(β-CD)간의 착물 형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ANS로는 2-anilinonaphthalene-6-sulfonate(2,6-ANS), 2-anilinonaphthalene-7-sulfonate(2,7-ANS), 2-anilinonaphthalene-8-sulfonate(2,8-ANS), 2-(p-toluidinyl)naphthalene-6-sulfonate(2,6-TNS), 2-(p-anisidinyl)-naphthalene-6-sulfonate(2,6-MeOANS), 2-(N-methylanilino)naphthalene-6-sulfonate(2,6-MANS)를 사용하여 형광 측정을 통해 착물 형성 상수를 구했다. 이 화합물들은 β-CD와 착물을 형성함에 따라 형광의 세기가 증가하며 최대 발광 파장은 단파장쪽으로 이동한다. 2,8-ANS는 β-CD와 1:1 착물을 형성하나 나머지 ANS들은 β-CD와 1:1 및 1:2 착물을 형성한다. 각각의 착물 형성 상수는 비선형 최소 자승법으로 fitting해서 구했으며, 치환기의 위치에 따른 착물 형성 상수의 차이를 착물의 구조와 연관시켜 설명하였다. 1- 또는 2- 치환된 나프탈렌으로는 1-naphthoic acid(1-NA), 2-naphthoic acid(2-NA), 1-naphthylacetic acid(1-NAA), 2-naphthylacetic acid(2-NAA), 2-naphthalenesul fonate(2-NS^(-))를 사용했다. 이들과 β-CD간의 착물 형성 상수는 형광 측정 및 용해도 측정,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구했다. 2-치환된 나프탈렌 유도체들의 산성형은 각각에 대응되는 1-치환된 나프탈렌 유도체들에 비해 착물 형성 상수가 크다. 이는 2-치환체의 나프탈렌 고리는 β-CD의 공동에 깊게 삽입되나 1-치환체는 치환기의 입체적 장애로 깊게 삽입되지 못함을 반영한다. 사용된 나프탈렌 유도체들의 염기성형들은 모두 β-CD와 유사한 착물 형성 상수를 갖는다. 이는 해리된 카르복실기의 음이온성 부분은 β-CD의 공동 안에 위치하지 않음을 나타낸다.;Formation of inclusion complexes between anilinonaphthalenesul fonate (ANS's) and B-CD was studied by fluorescence measurement. The ANS's investigated are 2-anilinonaphthalene-6-sulfonate (2,6-ANS), 2-anilino naphthalene-7-sulfonate (2,7-ANS), 2-anilinonaphthalene-8-sulfonate (2,8-ANS), 2- (p-toluidinyl )naphtalene-6-sul fonate (2,6-TNS), 2 - ( p-ani s i di ny 1 ) naph thal ene-6-sul f onate ( 2.6-MeOANS ) , 2- ( N-me thy1 an i 1 i no - naphthalene-6-sulfonate(2,6-MANS). Formation of both 1: 1 and 1:2 (ANS:B-CD) complexes was suggested for ANS's except 2,8-ANS which forms only 1:l complex. The association constants for 1:l and 1:2 complexes have been calculated by non linear least squares fitting method. The increasing order of the association constants was 2,8-ANS < 2,7-ANS < 2.6-ANS < 2.6-TNS < 2.6-MeOANS < 2,6-MANS. Formation of inclusion complexes of 1- or 2-substituted naphthalene derivatives with β-cyclodextrin was studied by fluorescence, conductance, and solubilization method. The naphthalene derivatives investigated were naphthoic acids, naphthylacetic acids, and naphthalene sulfonate. 2-substituted compounds show greater stability than the corresponding 1-substituted compounds. Inclusion complexation of naphthoic acid with β-CD increases their pK_(a) val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화학·나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