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봉호-
dc.contributor.author송혜순-
dc.creator송혜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7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2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7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2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집권적인 교육과정의 개발과 결정에 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탐색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자료를 분석적으로 검토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계속되는 교육과정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교육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비효과성의 문제를 교육과정 개정과 개발을 결정하는 주체와 실제 교육과정을 수행하는 교사, 교수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육현장의 관계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개발과 결정에서 교사역할과 학교현장의 역할이 비효과성과의 관계하에서 분석되었다. 두번째, 실례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과 결정절차에서 교사의 참여가 분석되었다. 세번째, 중앙집권적 교육과정의 개발, 결정에서 교사의 참여가 낮아 교사들이 새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새교육과정이 현장교사에게 쉽게 수용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비효과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써 교육과정 개발과 결정에서 교사참여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그래스루우트 모델 (grass-roots model)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개발, 결정 방식은 교육과정의 개발과 결정이 행정적 모델(administrative model)에 근거하여 상위 행정자에 의해 개선이 제안되어 학교에 제공되는 하향식 절차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행정적 모델은 교육의 실질적인 변화를 일으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한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교육의 실질적인 변화는 교육의 현장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게 달려있다고 볼 수 있는데 행정적 모델에서는 상위 행정자가 주체가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교사에게 교육과정의 계획이나 개발, 결정의 권한이 적을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상위 행정자가 주체가 되어 개발. 결정되는 교육과정에 교사의 참여 수준이나 참여도도 제한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의도가 실천으로까지 연결되어 효과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교사가 교육과정 개정의 제안이나 개발 그리고 교육과정 개정에서 주체가 되어야 한다. 바로 이러한 생각에 기초하고 있는 그래스루우트 모델(grass-roots model)은 중앙 집권적 교육과정의 비효과성 문제의 해결방법을 시사해 주고 있다.;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analyze the development and decision-making of the centralized curriculum curriculum in the light of critical approach and to present th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curriculum. To this ends, literature review was employed to criticaly analyze tile documents and literature relevant to the development and decision-mains of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s, the research topic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question why successive reforms of school curriculum have failed in a substantial change of education was explored in the light of teachers providing the newly developed curriculum at schools as well as decision-maker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us tile role of teachers and local schools in the development and decision-making of curriculum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ineffectiveness of curriculum which was developed. Second, for instance,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ing and making decisions of curriculum. Third, given that teachers' participation was discouragingly low in the development and decision-making of curriculum and teachers have little idea of the new curriculum, the new curriculum was not easily accepted by classroom teachers. Therefore, it was required to explore grass-roots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ineffectivenes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grass-roots model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maximizing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decision-making of curriculum, grass-roots model was presented here. The development and decision-making of the centralized curriculum has been based on the administrative model and thus top-down approach from higher levels of administration to classroom teachers has been dominent. The limits of administrative model are revealed that it was ineffective to give use to the substantial change of education. Considering that actual change ineducation hinges upon school teachers, teachers have little relative power in planning, developing and deciding curriculum in the climate the dominance of administrative model. Besides, because higher administrators play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curriculum, the participation level and degree of teachers is neglectably low. Accordingly in order the intention of curriculum to be effectively achieved in local school setting, teachers should play a pivotal rol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deciding curriculums. In brief, grass-roots model based on those ideas has the great implications for solving the ineffectiveness of the centralized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 1 B. 연구의 방법 및 분석의 기준 = 3 C. 용어의 정의 및 연구의 제한점 = 5 Ⅱ. 교육과정의 비효과성 = 7 A. 교육과정의 개발 결정과 교사 = 7 B. 교육현장 = 17 Ⅲ.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 결정에서의 교사의 참여수준, 형식과 참여도 = 21 A. 교육과정 개발 결정의 절차 = 21 B. 교사 참여의 수준과 형식 = 27 C. 교사 참여의 비율 = 28 Ⅳ. 개선방향의 탐색 = 32 Ⅴ. 요약 및 결론 = 37 참고문헌 = 39 부록 = 42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17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중앙집권적-
dc.subject교육학-
dc.subject교사-
dc.title중앙집권적 교육과정에 관한 비판적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ritical analysis on the centralized curriculum-
dc.format.pagevi,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