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익환-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3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7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331-
dc.description.abstract자연언어의 영어 표현에서 Barwise and Cooper(1981)는 모든 명사구를 보편 양화사로 처리한다. 이러한 보편 양화사가 쓰인 문장은 의미적인 중의성을 보여 집합적 혹은 배분적인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은 특히 복수 명사구가 갖는 배분적인 의미에 촛점을 두어 이 명사구가 배분적인 의미를 갖게 되는 요인이 무엇인가 살펴 보고자 한다. 통사적인 접근법으로 Lakoff(1970), May(1977, 1985)는 영향권과 배분적인 의미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영향권에 따른 배분성 이론을 제시한다. 그러나 영향권은 배분적인 의미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하나의 원리임이 반증을 통해 제시된다. 의미론적인 접근법으로 이전 연구 중 Bennett(1974)의 술어 유형 분류와 Scha(1981)의 관사 분류에 따른 어휘적인 속성에 기반을 둔 배분성 이론이 제시된다. Bennett는 그룹 혹은 개체 단계의 술어 유형으로 양분하여 배분적인 의미는 개체 단계의 명사구와 술어가 결합하여 나오는 것으로 파악한다. Scha는 집합 혹은 배분 관사로 양분하여, 배분 명사구만이 배분적일 의미를 갖는 것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이들 두 이론은 특정 어휘를 배분성 유발 요인으로 분석하므로 일반성이 결여 된다. Roberts(1987)는 이전의 의미론적인 접근법을 통합하여 서술이론을 제시한다. 그는 Link(1987)의 복수개체 개념을 받아들여, 모든 명사구를 하나의 개체로 취급한다. 이 복수개체가 갖는 배분적인 의미는 독특한 어휘적인 속성이 아니라, 주어에 있는 양화 관사나 술어 위에 있는 부사적인 연산자가 그 요인이 되는 것으로 처리한다. Davies(1989)는 진리 조건적 의미론에 촛점을 두어 자연언어와 논리 언어간의 관계를 보여 준다. 그는 영향권과 배분성을 두 개의 독립적인 원리로 설정하여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지금까지 살펴 본 기존연구를 토대로 하여 배분성 이론을 제안한다. 이 이론은 Roberts(1987)의 이론을 확장한 것으로 복수 명사구문의 배분해석에 대해 포괄적이고도 일반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복수 명사구가 갖는 배분적인 의미는 의미적인 연산자 D에 의해서 나오는 것으로 파악한다. 이 D 연산자는 명백히 드러난 경우와 잠재 적으로 내재해 있는 경우로 나뉜다. 명백한 D 연산자가 나타나는 경우는 복수 명사구문에 양화관사, 'floated-all'과 'floated-each', 그리고 배분적인 술어가 들어 있는 세 경우로 나뉜다. 잠재적 D 연산자가 내포된 경우는 개체 혹은 그룹 지칭 복수 명사구가 혼합 술어와 결합했을 경우로 본다. 그리고 이 이론 내에서 또 하나의 원리로 작용하는 영향권은 May(1985)의 이론을 받아 들여 모든 명사구가 영향권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갖도록 처리한다. 결론적으로 이 수정된 이론은 그 적응 범위가 외존 복수 명사구에 까지 확대된다는 것이 입증된다.;This thesis deals with distributivity and scope interactions arising from English plural NPs. It is known that sentences with plural NPs have an ambiguity of distributive and collective readings. This thesis especially focuses on the distributive reading and its triggers in a sentence with plural NPs in English.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 I introduce in perspective four of the most important prior approaches to distributivity. George Lakoff and Roberts May each provide interesting analyses of the distributive-group distinction. They set up a direct relation between distributive reading and scope interactions. However, the function of QL/QR as an indication of the scope of an NP is incompatible with the proposal that it is restricted to distributively interpreted NPs. As another approach, Bennett treats the distributive-group distinction as a function of predicate type. Bennett accounts for this type of contrast by distinguishing two kins of predicates, individual level and group level. But building this view of the distinction into formal structure of a semantic theory is, on the one hand, unnecessary because it is redundant, and, on the other hand, it fails to capture some important generalizations about the nature of distributivity. Remko Scha locates the group-distributive distinction in a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determiners. Scha classifies determiners into two groups, distributive and collective. As a special case, Scha claims that the source of the distributive reading of collective plural subjects is meaning postulate applying to predicates. But empirical problems occur with the mixed predicates where the subject is a definite plural. Roberts tries to unify predicate type theory and determiner theory. He develops a very simple theory of distributivity. Distributivity is a property of predications, combinations of a subject and a predicate. The predicate may not be the syntactic VP, but may be derived via lambda abstraction. Distributivity may be triggered either by a quantificational determiner in the subject NP or by the presence of an explicit or implicit adverbial distributivity operator on the predicate. He distinguishes quantificatioal force from NP scope. And this theory account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ity and the possibility of discourse anaphora. Davies makes semantic proposals within the framework of truth-conditional semantics. He draws a boundary between semantics and pragmatics and represents only semantically possible meanings of English plural NPs. Finally, I propose that distributivity comes from an interaction between semantic operators and NP scope. The semantic operators on predicates are of two types, explicit and implicit. To conclude, My selection of the scope interactions is motivated by May's Scope principle. It also includes five Hypotheses on distributive readings of English plural NPs. The proposed theory accounts for all previous data uniformly with the aid of D operators and scope interac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전 연구 검토 = 5 A. 영향권 상호작용 (scope interaction)과 배분성 = 5 1. Lakoff의 양회사 내립규칙 = 5 2. May의 양화사 상승규칙 = 9 B. 어휘적 속성 (lexical property)과 배분성 = 15 1. 술어 유형 분류 = 15 2. 관사의 속성 = 20 Ⅲ. 의미적인 연산자 (Operator)와 배분성 = 31 A. Link의 복수 개체 = 31 1. 격자 구조 = 31 B. Roberts의 서술(Predication)의 속성 = 36 1. 관사와 배분성 = 37 2. 부사적인 대분성 = 42 Ⅳ. 영향권과 분산성 상호작용이론 = 48 A. Davies의 진리조건적 접근 = 48 Ⅴ. 영향권과 의미적인 연산자 상호작용이론 = 57 A. 배분성 이론의 확립 = 57 1. 명백한 D 연산자와 영향권 상호작용 = 59 2. 잠재적 D 연산자와 영향권 상호작용 = 65 B. 이론의 확대 적용 = 73 1. 의존 복수 명사구 = 74 Ⅵ. 결론 = 77 참고문헌 = 79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53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영어-
dc.subject복수명사구-
dc.subject배분적 의미-
dc.subject.ddc800-
dc.title영어 복수 명사구의 배분적 의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istributive Reading of English Plural NPs-
dc.creator.othernameKim, Jee Yeon-
dc.format.pagev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