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情報化 社會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保護와 情報公開

Title
情報化 社會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保護와 情報公開
Other Titles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he Freedom of Information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uthors
양영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정보화사회프라이버시정보공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尹厚淨
Abstract
現代情報化社會에 있어서는 다양한 情報體系와 情報處理技術에 의하여 個人情報의 광범한 蒐集, 蓄糖 및 그 利用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프라이버시侵害의 가능성이 증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라이버시保護의 요청이 더욱 더 커지게 되었다. 한편 오늘날의 정보범람의 상황 하에서 國民은 가치있는 情報의 선별·판단·형성 가능성을 박탈당한 채, 정보전달매체의 독점화로 인하여 정보의 객체로 전락하게 됨에 따라, 情報의 主體性을 확립하기 위하여 情報公開가 요청된다. 그런데 프라이버시의 保護와 情報公開는 民主政治의 基本原則에 있어서는 공통하나, 兩者는 本質的으로 相互矛盾·衝突을 일으키게 된다. 즉 情報公開는 行政機關 등이 保有하고 있는 각종의 情報를 原則으로 一般에게 公開하는 것으로 한편으로 프라이버시의 暴露이고, 프라이버시保護는 個人의 尊嚴 등 人格的 利益의 保護를 目的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과도하게 保護하게 되면 情報公開는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므로 兩者는 相反·對立하게 된다. 때문에 民主社會에 있어서의 프라이버시의 保護는 情報公開와 관련하여 國民의 알 권리와 알리지 않을 權利와의 合理的 調整이 요청된다. 本論文은 第1章 序論에 이어 第2章에서는 프라이버시權의 成立 및 展開過程을 보고, 情報化社會에 있어서 프라이버시權의 積極的 槪念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그 侵害領域 및 類型을 고찰하였다. 第3章에서는 情報公開의 必要性과 그 憲法的 根據 및 非公開事項을 다루었다. 특히 情報公開法의 制定時 가장 어려운 非公開事項을 美國의 情報自由法(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과 그 運用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第4章는에서 프라이버시의 保護와 情報公開의 상호충돌관계를 보고 兩者의 調整原理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情報先進國인 美國이나 西獨 등의 프라이버시保護와 情報公開에 관한 立法例와 그 運用의 實態를 살펴보았다. 第5章에서는 앞에서 고찰한 바를 전제로 하여 結論的으로 韓國의 現行法의 限界를 밝히고 그 法制化의 必要性 및 立法方向에 관한 약간의 提言을 하였다.;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various systems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kill have made it convenient to file, store, and use the information about private life of an individual.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privacy infringement has been increased and in opposition to this increase, so has the requirement for the protection of privacy. On the other hand, in these days, when people are deprived of the possibility of choosing, judging and forming valuable information, when people are reduced to the object of information due to the monopoly of massmedia, the freedom of information is also required to establish the subjecthood of information.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he freedom of information are common in the primary principles of democracy, but they give rise to mutual contradiction in themselves. The freedom of information makes it a rule to make public various information which each administration authority or public services have filed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it is an infringement on privacy), while the protection of privacy is needed for the interest or personality of each individual. If privacy is protected excessively, then the freedom of information cannot fulfil its function. Therefore, in the democratic society it is necessary to adjust reasonably the right to know and the right to conceal privat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freedom of information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In this thesis, introduction was presented in chapter 1. In chapter 2, after surveying the establishment and the development of the right of privacy, I represented positive conception of privacy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looked into the scope and the types of infringement. In chapter 3, I dealt with the necessity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its constitutional basis and items which should not be open to the public. In particular, I looked into these closed items with respect to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and its applicat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chapter 4, I investigated the mutual contradictory relation between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the freedom of information and considered the adjustment of both. Moreover I looked into the legistrative examples and their applications in the leading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In chapter 5, on the basis of what I considered before, I represented the limit of the existing law of Korea and proposed my opinion on the nessity of legistration and its dir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