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희-
dc.contributor.author이정조-
dc.creator이정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7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42-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일상적인 생활을 통해 다양한 색을 경험한다. 자의든, 타의든 색은 그 자체로서 가지는 특성 외에도 심리적인 작용을 하며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결정짓기도 한다. 또한 종교나 관습, 지역의 특성 등 생활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므로 색과 인간이 맺는 필수적인 관계를 관측하고 이에 다양한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 색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요성을 인식하고 색채와 인간이 맺는 필수적인 관계 때문에 일어나는 심리적 현상을 생활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흥미롭게 접근해 보고자 한다. 특히, 여성(女性)은 색채감각이 뛰어나고 색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게 작용함으로 색채로 표현되어지는 것들에 대한 여성 특유의 심리적 특성이 발생한다. 여성이 색채에 대하여 가지는 인상, 조화감 등은 시각적 자극에 대응하여 감수성이 일어나는 것으로 감각의 예민성을 통한 감정적, 정서적 반응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성의 색채 감수성을 다각적이고 복잡 미묘한 여성의 심리적 현상으로 보고 R.들로네의 동시성주의(Simultanisme)에 입각하여 그 범위를 결정지었다. 그 형식은 기본적 이해가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기임을 감지하고 물리적 현상이 시각적 형태로 전환됨에 따라 기초적인 조형의 원리에 더욱 충실하였다. 또한, 색채 표현의 새로운 변화와 가능성을 표현하고자 다양한 색의 변화를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개인적 경험에서 비롯되는 문화적 시각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였고, 색채 표현을 중심으로 총 8점의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작품 전체적으로 조형성, 질감 등을 가미(加味)시켜 색채와 접목된 이미지시각화를 이루었다. 형태에 있어서는 추상성에서 보이는 우연성과 생명력을 시각적으로 재해석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R.들로네의 동시성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색 자체만으로 충분히 보여지는 이미지들을 정해진 평면의 공간 속에서 의도성이 내재한 우연성을 표현하여 생동감있게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색채가 차지하는 역할과 효과를 빛과 주변이 구성하는 색의 조화에서 비롯됨을 감지하고 각각의 관계가 전체를 결속하는 에너지로 표현되어 감수성을 자극하고자 함이다. 둘째, 일상적으로 볼 수 있는 문화적 시각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였다. 돌, 물, 바람, 나무, 길 등 일상적으로 보여지는 형상을 다양한 시도와 접근을 통해 감각의 전이(轉移)를 생성하여 감성 교류를 자연스레 이끌어 냄으로써 조형적 해석과 시감각의 형성을 자극하였다. 이로써 색채와 질감 등이 다양하게 표현되어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다. 셋째, 내용으로는 여성의 다각적인 심리를 색채 이미지로 연상되도록 시도하였다. 「기억(memory)보고서」라는 제목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도록 색채 자체의 표현이 시각적 전달을 위한 이미지 창출을 하도록 하였다. 인접한 색채간의 상호작용은 시간성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색채는 주제를 부각시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여성의 심리를 색채자체를 통하여 표현하였다. 경험과 자극을 그대로 작품에 반영함으로써 색채표현의 진실한 유연함과 자극을 용이하게 해석하였고, 색채의 민감한 감수성에 대하여 우연성을 가장한 이미지 표현을 시도하였다. 이는 문화적 시각이미지와 색채의 접목이 이미지를 전달하는 효과를 주는 것으로 여러 가지 현상의 관계 속에서 율동적인 요소와 더불어 시각화한 일상적 색채 표현에서 비로소 여성이 지니는 감수성과 함께 본 논문의 중요한 연구 목적의 역할이 되기도 한다.;People experience various colors through their everyday life. Besides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color has psychological influences and decides the image of objects. In addition, i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areas of life such as religions, customs and local features. Thus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color and attempt various approaches to the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various influences of color and try an interesting approach to psychological phenomena caused by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color through materials found everywhere around our daily life. In particular, women have a keen color sense and response sensitively to color and, as a result, there are women specif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are expressed in color. The impression and sense of harmony that women feel in color rise in response to visual stimulation, representing the degree of emotional and affective response caused by the sensitivity of feeling. Viewing women's color sensitivity as their many sided, complicated and delicate psychological phenomena, R Delaunay defined the scope based on simultanism. As he recognized that the basic understanding of formation principles was more necessary than ever and as physical phenomena turned into visual forms, he stuck more firmly to formation principl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various changes of color in order to explore new changes and possibilities of color expression and, by doing so, attempted the mutually synesthetic transition of visually expressed images going beyond the distinction between painting and design. Based on this, the author took as motives cultural visual images coming from the author's person experiences and created eight pieces of works focused on color expression. As a whole, the works visualized images by combining form and texture with color. As for form, these works attempted to express visually reinterpreted accidentality and power of life found in abstraction. The present research was carried out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ook R. Delaunay's simultanism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By expressing accidentality, which retains intentionality, on a plane using images that can be depicted in just color itself, the author tried to secure a space full of movement. This was to ascertain that the role and effect of color come from the harmony of color created by light and surroundings and to stimulate sensitivity by expressing each relation as energy that unites the whole. Second, this study took cultural visual images found in daily life as motives. It made formative interpretation and stimulated visual sense by inducing natural sensitive exchange through creating the transition of sense through various attempts and approaches to common images such as stone, water, wind, tree and road. As a result, color and texture were expressed in various ways and visual communication was achieved on themes to be expressed. Third, this study attempted to associate women's many sided psychology to color images. It suggested a theme named 'Memory' and created images for the visual communication of color expression that coincides with the theme. Visual communication was induced as the sense of time was aroused by interaction between neighboring colors and the theme was emphasized by various colors. As presented above, the present author expressed women's psychology in color itself. By reflecting experiences and stimuli as they were on works, the author interpreted plainly the true flexibility and stimulation of color expression, and for keen sensitivity to color it attempted image expression pretending accidentality. The combination of cultural visual images and colors has the effect of image communication. Daily color expression visualized together with rhythmic factors in relationships among various phenomena is an important objective of this research along with women's sensi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방법 = 3 2. 색채의 동시대비성 = 4 2.1 R.들로네의 회화에서 보여지는 색(色)사용언어 = 4 2.1.1 오르피즘(Orphism)의 개념과 특징 = 4 2.1.2 R.들로네(Robert Delaunay : 1885-1941)의 작품세계 = 7 2.1.3 R.들로네의 회화에서 보여지는 동시대비성 = 9 2.2 색채 동시대비성의 특징 및 효과 = 17 2.2.1 색채의 동시대비 = 17 2.2.2 색채 동시대비성을 지니는 회화의 특징 = 19 2.2.3 동시대비성을 응용한 브랜드 - 미쏘니(Missoni) = 21 3. 여성의 색채 감수성 = 28 3.1 색채 감수성의 특성 = 28 3.1.1 색채의 공감각적 특성 = 28 3.1.2 유동적인 색채감정 = 30 3.1.3 색채 감수성(sensitvity)의 작용 = 32 3.2 동시대비성에서 보여지는 여성의 색채 감수성 = 35 3.2.1 여성의 색채 활용 = 35 3.2.2 동시대비성에서 보여지는 여성의 색채감수성 = 37 3.2.3 색채 중심으로 감수성을 표현한 여성미술가의 작품 사례 - 천경자(千鏡子), 박래현(朴崍賢), 루시 아놀드(Lucy Arnold) = 39 4. 작품제작 - 기억(memory)보고서 = 52 4.1 제작 의도 - 색채 자체에서 보여지는 감성표현 = 52 4.1.1 R.들로네의 색채언어를 바탕으로 한 연구자(여성)의 감정이입 = 52 4.1.2 특징적인 여성의 색채 감수성의 정의 = 53 4.1.3 동시대비성에서의 시간성 유추 - 「기억(memory)보고서」 = 54 4.2 제작 과정 = 56 4.2.1 주제표현을 위한 질감(Texture)과 문화적 시각이미지 중심으로 = 56 4.2.2 다양한 색채를 통한 감성 표현 = 57 4.2.3 작품 「기억(memory)보고서」 연작 시리즈의 시각화 58 4.3 작품 제작 및 분석 = 59 5. 결론 = 75 참고 문헌 = 77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719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여성(女性)의 색채 감수성에 대한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R.Delaunay의 색(色)사용언어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Women's Color Sensitivity : Focused on R. Delaunay's color language-
dc.creator.othernameLEE, Jung-jo-
dc.format.pageⅸ,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