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응연-
dc.contributor.author이정현-
dc.creator이정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2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6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249-
dc.description.abstract정서장애란 정서 그 자체에 문제가 있다기 보다는 좀더 근본적인 장애에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서의 침해는 또 다른 부작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부분이다. 최근에 정서장애아를 비롯한 장애아동에게 음악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나오면서 음악을 이용한 치료법이 여러가지로 시도되고 있다. 아직은 연구의 축적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지만, 고래로부터 음악이 인간정서에 발휘해온 독특한 치료적 기능으로 미루어 연구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정서장애를 가진 유아에게 음악요법을 적용하여 정사와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음악요법의 효과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4세에서 6세의 남자자폐아 10명과 정서장애아 2명등 총 12명이며 음악요법 실시 초기와 말기에 각각 심리검사를 실시하여 정서와 사회성의 개선 상태를 보았다. 본 연구에서 다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성숙도를 비롯한 정서및 대인관계의 변화정도와 음악성의 변화정도 간에는 각각 어느정도의 상관이 있는가? 2. 사회성숙도와 정서, 대인관계영역은 음악요법을 적용한 초기와 말기에 각각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3. 음악요법의 적용은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라 사회성숙도, 음악성, 정서및 대인관계 영역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4. 각 아동의 진단명과 심리적 행동특징, 그리고 음악요법 프로그램에 따라 음악요법의 효과는 어떻게 달라지는가? 연구문제 1은 Spearman의 순위상관법을 이용하여 상관도를 냈고, 연구문제 2와 3은 각각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연구문제 4는 음악요법 평정척도와 음악요법에 참여한 치료사, 본 연구자, 자원봉사자의 관찰기록을 종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절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성숙도와 음악성 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및 대인 관계와 음악성 간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2. 음악요법의 적용 후 사회적 성숙, 정서, 대인관계 영역에서 사전, 사후검사간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3. 음악요법의 적용은 정서장애집단에 있어 가장 큰 변화를 보였고 유사자폐 집단은 사회성숙도 영역에서 보다 높은 변화를 나타냈으며 유아자폐집단은 대체로 낮은 변화를 나타냈다. 4. 유사자폐집단은 모든 치료방법에 대해 고르게 잘 적응했고 유아자폐집단은 현악기와 타악기에 대해 큰 흥미를 보였다. 정서장애 집단은 즉흥연주방식이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관찰되었다.;An emotional disorder doesn't mean that someting is wrong with just emotion itself. It is usually accompanied with other major disturbance. But it reguires special treatument because an emotional disorder may cause effects. The recent studies show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handicapped children including emotionally disordered children. Therfore music therapy has been tried out for the purpose of curing those handcapped children in various ways. The achievement the researches on music therapy is not so much satisfied yet. However, it is worth studying music therapy considering that music has acted as a treatment for human emotional problems since actient days. This thesis deals with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Iy disordered children's emotion and sociality.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totally 12 children - ten Autism toys from four years old to six years old, and two emotionally disordered children. Their emotionally and social maturity development was checked at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music therapy respectively by means of psycho-test. Main check points are as follows 1. How did music therapy affect on children's emotion, interpersonal relations, play and interest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it? 2. How did music therapy affect on children's social maturity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it? 3. What is the diffrence in the development of music sensitivity according to tile extent and the type of childrn's handicap? 4. What difference do the various therapy methods make according to the extent and type of children's handicap? The question 1 shows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 psychogram. In the question 2, the diffrent results have been tested with t-test. ln the question 3, childrn's development seen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has been tested with t-test. And in the question 4, music activity scale and observations have been put together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l. The emotional development by means of music therapy has been achived most effectively. Secondly development has been achived in the aspect of play and interest. And thirdly in the aspect of interpersonal rlations. 2. Social maturity has been considerably improved from pretest to the posttest. Especially a group of severe Autism children showed more remarkable improvement. 3. In the music sensitivity a group of mild Autism children has been improved more than a group of severe Autism children. 4. A group of mild Autism children has been improved equally through any kinds of therapy But in a group of severe Autism children, self-expression method with string instruments or percussion instruments has been found here effective. And in a group of emotionally disordered children impromptu playing has been found eff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정서장애아의 개념 = 3 B. 음악요법의 배경 = 4 C. 정서장애아를 위한 음악요법 = 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8 A. 사전-사후검사 실시방법 = 8 B. 자료처리 = 9 C. 음악요법 프로그램의 개발 = 10 D. 음악요법에 사용된 도구 = 10 E. 프로그램 진행절차 = 11 F. 음악요법 프로그램 = 11 Ⅳ. 결과 및 해석 = 18 A. 사회성숙도 영역 = 18 B. 정서 영역 = 21 C. 대인관계 영역 = 23 D. 사례별 연구 = 25 Ⅴ. 논의 및 제언 = 40 참고문헌 = 45 음악활동 평가표 = 47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44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서장애-
dc.subject유아-
dc.subject음악요법-
dc.subject사회성-
dc.title정서장애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음악요법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usic Therapy for the Emotional disorder Children-
dc.creator.othernameLee, Jung Hyun-
dc.format.pagevi,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