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희영-
dc.contributor.author김은미-
dc.creator김은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2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6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244-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echanical instruments have brought the result that the human reason has replaced the God. The modern art has started from this condition. It has changed man into an omniscient being and on the other hand, man has been bewildered by that. 'Freedom' is an accomplishment of modern times, but there is also 'conceit' of rejecting any restrictions. It has brought about the less of conviction of every value system. The principle of reason as a process of subjecting nature to man has given man freedom, but it has mad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fall into an oppressing-submitted one, not a conciliatory one. This oppressive and degenerative 'instrumental' Vernunft' has made a deep gap between man and nature. And the history that man has ruled over man has prevailed all over the world. It has gone t o extreme i n the modern industrialized society that has become completely rational and organized. As a result, it has brought the 'Vertinglichung' phenomenon, the existential feeling of uneasiness and the alienation. They are essential qualities in modern times. Perceiving inhuman alienation from the obstract form of the modern art, I am searching for the escape from the absurd, with the 'form', the second word. Above all I have used 'contradicting' and 'paradox'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absurd. It is an expression of thirst for the conviction of the lost value system. The deeper the thirst , the more symbolical the allegory. My works have two theoretical backgrounds; One is the existentialism, which tries to find out the lost self among modern essential qualities. The other is Adorno aesthetics, which is based on the criticism and contradiction. In method, I emphasize the style of eclectic unity and the effect of color and composition that shows the symbolic essence of space. The attitude of contradiction and paradox i n my works may seem very cool and placid, but I expect to find out the open world and the true aspect of being through it.;현대의 과학적 학문과 기계적 발명의 발전은 인간의 이성이 神의 자리에 오르는 결과를 낳았다. 이로부터 시작되는 현대미술은 인간의 위치를 自由하고 전능한 위치로 바꾸어 놓았던 동시에 아무런 방향감도 갖지 못하게 만들었다. 현대가 이룩한 성과가 '자유'라면, 한편으로 모든 제약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데에 현대의 '교만'이 있다. 그것은 개인의 자아를 넘어선 일체의 가치체제에 대한 신념상실의 문제를 가져왔다. 자연을 극복하는 과정으로서의 이성의 원칙은 인간을 해방시키기도 하였으나, 결국 억압하고, 지배하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화해가 아닌 지배권을 행사하는 관계로 전락 하였다. 이러한 억압적이고 퇴행적인 도구적 이성 (Instrumental'e Vernunft)^(*1)으로 인하여 인간과 자연사이에는 메울 수 없는 간극이 생겨나게 되고, 인간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영속화하는 역사의 강제성이 지배하게 된다. 이러한 강제성은 철저하게 합리화되고 조직화된 현대 산업사회에서 극단적인 상승을 봄으로써 물화(物化: Verdinglichung)현상을 낳고, 그것은 현대의 본질을 이루는 실존적 불안의식과 고독, 소외현상을 낳게 되었다. 本人은 현대미술의 추상형식에서 비인간화된 현상을 느껴왔고, 그로 인하여서 '형상'이라는 제 2언어로서, 그 부조리속의 탈출을 모색하고자 한다. 本人은 먼저, 그러한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부정'과 '역설'을 선택 하였다. 그것은 잃어버린 가치체계에 대한 신념들에 대한 갈증들의 표현인데, 그 갈증이 심하면 심할수록 더욱 더 강한 알레고리적 상징으로 나타난다. 本人작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현대의 본질 속에서 잃어버린 자아를 찾으려는 실존철학과, 비판과 부정에 기초하고 있는 아도르노 미학을 그 기반으로 하였다. 방법적인 면에서는 절충주의적 통합의 양식과 공간의 상징성을 살리는 색채와 구성의 효과에 역점을 두었다. 本人의 작업속에 내재해 있는 부정과 역설의 태도는 매우 차갑고 냉정하게 다가오지만, 그를 통하여서 열린세계와 존재의 참모습을 발견하게 되리라고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1. 서론 = 1 A. 연구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C. 연구의 방법 = 4 2. 본론 = 6 A. 내용 연구 = 6 1. 회화언어로서의 형상성 연구 = 6 2. 空虛 - 그 不定的 思性 = 10 3. 이미지의 의외성에 의한 알레고리적 상징 (Allegorical symbol) = 16 B. 방법 연구 = 20 1. 절충주의적 화면 = 20 2. 중성적 화면구성의 원리 = 23 3. 人間 不在의 空間 = 25 C. 本人의 作品 分析 = 30 3. 결론 = 49 참고문헌 = 51 AE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017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알레고리-
dc.subject존재공간-
dc.subject상징-
dc.title알레고리적 상징을 통한 존재공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ISTENT SPACE THROUGH ALLEGORIC SYMBOL-
dc.creator.othernameKim, Eun Mi-
dc.format.pagevi, 5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