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순-
dc.contributor.author南恩暻-
dc.creator南恩暻-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1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6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180-
dc.description.abstract17세기는 閥閱을 중심으로 한 양반관료문인들에 의해 문단이 주도되어 그 시대의 독특한 성격을 이룬 시기였다. 息庵 金錫胃(1634∼1684)는 당대의 대표적 老論系 정치가이자 文人으로서, 西人과 南人으로 갈리어 思想과 文學 양면에서 심각하게 대립하던 이 시기에 文學의 규범을 제시하고자 진력하였으며 동시에 選集活動도 시도했던 인물이다. 그의 文學觀을 본질론, 작가론, 창작론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검토해 보았다. 그는 文學에서의 懲創感發을 중시하였으며, 작가론에서는 文學이야말로 人間을 명예롭게 한다는 "詩能達人"의 주장도 아울러 전개했다. 따라서 그는 文學典範을 배우고 익히는 것에 주력하여 心手相應하는 것을 創作論의 重要方法으로 간주했다. 息庵은 辭賦에 능하여, 풍부한 歷史典故를 바탕으로 하는 諷諫적인 辭賦作織을 남겼고, 詩에서는 朝鮮과 淸나라와의 관계에서 기인된 憂國恤民의 정신을 노래하여 당대 지식인들의 對淸觀을 보여주고 있다. 文을 통해 明道立政하려고했던 息庵은 士風의 올바른 길을 제시하고, 당대 政治現實을 비판하고자 하였다. 그는 文學 形式面에서 다양한 典故를 적절하게 구사했고, 詩에서는 換骨奪胎法을 묘하게 이루어내 칭송받았었다. 또한, 對句法을 통한 形式美의 추구를 강조하기도 했다. 息庵의 文은 당대 및 후대에까지 큰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正祖에게 文體변모를 일으킨 인물로 비판을 받은 점이 주목된다. 이것은 息庵의 文體가 正祖時代 文體에까지 큰 작용을 하였음을 알게 하고, 이에 息庵 文의 고찰을 통해 그 동안 간과되어온 "文體反正"이 일어나게 된 당시의 文體의 諸性格이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息庵의 文은 正統漢文學에서 古文의 한 典範으로 인정되고 있는 바, 그의 문장은 規矩繩墨에 꼭 맞고 깎은듯이 쓰였으며 그 언어가 단순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점은 쉽고 간결한 문체를 正祖가 중시한 것과 대조된다. 이에 正祖에 의해 息庵의 文體가 비난받았던 것은 당연한 일로서 時代別 문장 중시의 경향이 달랐음을 알게 한다. 息庵이 中國 公安派 文學의 혁신적인 문학사조에 애호를 보인 점은 그의 개인적인 취향을 반영하면서, 동시에 文學이 經學에서 분리되어 近代文學으로 발전되어 나간 17세기 문단의 의미를 반영해주고 있다. 이와 함께 文體反正의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된 朴趾源과의 史的 연계를 암시하고 있어 앞으로 보다 더 심화된 고찰이 요구된다.;Seok-Joo Kim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civil servants in 17 century. As philosophical and literary fields were divided into two major fractions, "Nam-In" (南人) and "Seo-In" (西人), he had led the literal field representing the “Seo-In” part.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becoming famous in both political and literary fields at the same time enforced him to make efforts to refine writing skills and study moral and legal systems. Moreover, he intended to build up his character and enlighten people by means of literature. A lot of literary works called "Boo" (賦) were written by Kim in order to remonstrate against King as a minister. Sometimes, he depicted the sorrow and sadness caused by the humiliated relationships with “Cheong” (淸) in his patriotic poems. As a typical literary man of “Kwan-Kak” (館閣), he also produced a number of "Jeon-Beom" (典範) of the "Kwan- Kak" with excellent writing ability and firm intention to guide politics in figit direction. Under the chaotic situation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fractions, he produced some works which showed the rules to be observed by whole scholars. Especially, the artificial beauty of style was highly respected in his techniqe to shape his works which contained various contents. Affluent aphorisms were also cited in his works, in which he seemed to show up his profound knowledge and make a display of scholary influences. In fact, he regarded the rule of style like couplet as of importance, so that he tried to express well-organized literary framework. After grasping the comprehensive technique of modification in poems, he showed us the excellency of artificial skillfulness in writing more than simple imitation. It is quite worthy of noticing that his works, which is generally praised by later scholars, were seriously criticized by King "Jeong-Jo" (正祖). Because this means that the emphasis on the beauty of style, which was influenced by the collection of theworks of "Myeong" (明)period, formed a special trend in literature. In addition, we can imagine that not only “Yeon-Am” (燕巖) style but also Kim's one was causing a severe dispute over the literal style at "Jeong-Jo" period. Kim's preference to the literature of "Gong-An" (公安) school which was considered as a heretic implied the begining of the social recognition that literature should be separate from ethics. However, his adhesion to the status of a literary civil servant hindered him to creat concrete literal works which abided by the objective of the "Gong-An" school. In conclusion, the literature of Seok-Joo Kim included two differnt tendency at the same time. One is to suceed and improve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the other is to come out of old styles and to advance toward modern literature. Thus, the literary continuity and transition in 17 century can be found in his 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ⅰ 목차 = ⅲ Ⅰ. 序論 = 1 A. 硏究 目的 = 1 B. 자료의 검토와 연구방향 = 4 Ⅱ. 息庵의 생애와 시대배경 = 9 A. 17세기의 문단상황 = 9 B. 식암의 생애와 교우관계 = 11 Ⅲ. 文學論의 諸領域과 文學觀 = 19 A. 본질론 - 文以載道 = 19 B. 작가론 - 詩能達人 = 23 C. 창작론 - 傳神과 心手相應 = 27 Ⅵ. 息庵 文學世界의 特徵 = 33 A. 내용적 측면 = 33 1. 詠吏를 통한 諷諫 = 33 2. 憂國恤民 精神의 表出 = 49 3. 明道立政의 시도 = 60 B. 형식적 측면 = 68 1. 典故의 다양한 구사 = 68 2. 換骨奪胎의 典範 제시 = 77 3. 對句法의 중시 = 82 Ⅴ. 息庵의 文學史的 位置 = 87 A. 文體是非와 古文派의 繼承 = 87 B. 公安派 文學의 애호와 후대 문학에의 매개 = 101 Ⅵ. 結論 = 112 參考文獻 = 116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618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식암-
dc.subject김석주-
dc.subject문학-
dc.subject국어국문학-
dc.subject.ddc800-
dc.title息庵 金錫胄의 文學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iterature of Seok-Joo Kim-
dc.creator.othernameNAM, Eun-kyung-
dc.format.pageiv,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