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7 Download: 0

직관적 통계모형을 이용한 범주강조효과에 관한 연구

Title
직관적 통계모형을 이용한 범주강조효과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Accentuation on the Perception of Intercategory Differences through Intuitive Statistical Model
Authors
홍주연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직관적 통계모형범주강조효과Statistical Model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태련
Abstract
본 연구는 범주화 과정에서 생기는 편향현상 중 범주강조효과에 촛점을 두고 이를 직관적 통계모형이라는 역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살펴 보고자 하였다. 강조효과란 어떤 구성원에 대한 지각이 그 구성원의 소속범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상이한 범주구성원간의 차이를 유지, 확대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범주간의 구분을 감소시키는 정보와 범주간의 구분을 증가시키는 정보를 지각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나는가, 만약 나타난다면 이러한 효과가 범주간의 구분을 증가시키는정보에 대해 선택적 주의를 주어서 일어난 것인지, 아니면 범주간의 구분을 감소시키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간과해서 일어난 것인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여자대학생 101명으로, 이중 34명은 범주의 집중경향이 감소한 집단, 34명은 집중경향이 증가한 집단에 배정되었으며 이렇게 배정된 집단은 다시 각각 높은 맥락범주와 낮은 맥락범주 조건으로 반씩 나뉘었다. 범주강조효과의 과정을 밝히기 위해 33명은 기저율 조건에 배정되었다. 평균인 다른 두 범주의 누가평균을 체계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을 통하여 피험자들은 각 범주의 특질을 형성하였다. 누가평균의 추정과정 중에서 전반부에서 제시된 숫자들은 수리적으로 안정된 평균이었다. 후반부에서 그 중 한범주의 평균은 전반부와 동일하게 제시되고 다른 한 범주 평균의 집중경향은 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범주의 평균에 대한 추정은 두 범주간 구분이 감소될때 보다는 증가될때 많이 변한다고 가정을 하였으며 이와 아울러 사람들의 직관적 통계능력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관적 통계능력은 비교적 정확한 것으로 보인다. 범주학습 단계에서 범주별로 추정한 평균과 실제평균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범주화로 인한 편향이 생긴다면 이것이 단순히 지각적 왜곡 현상에 의한 것이 아님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이 된다. 둘째, 숫자로 범주를 형성함으로서 맥락효과는 배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높은맥락을 제시하였을 경우와 낮은맥락을 제시하였을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째, 중심범주의 변화방향과 맥락범주의 위치간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일어났다(F(l,63)=5.9, p <.02). 범주간의 구분을 증가시키는 정보에 비해, 범주간의 구분을 감소시키는 정보를 더 작게 지각하였다. 이는 두 범주간의 구분을 확대시키는 범주강조효과가 나타난 것을 보여준다. 네째, 범주강조효과는 약호화 편파에 의해 두 범주간 구분을 증가시키는 정보가 선택적으로 통합되어 생긴다고 본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신념 형성의 인지적 기초로서 범주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되고, 왜곡된 방향으로 현실에서 편견을 일으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의 수정에 대한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ccentuation caused by categorization process through the use of an intuitive statistical metho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average estimation between information which reduced intercategory difference and the information which enhanced it. Also the process of accentuation effect was explored by determining whether this accentuation effect occured through selective inattention to intercategory reduction information or selective attention to intercategory enhancement information. A total of 101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half of the subjects, the information increased the central tendency of the focal category and for half the subjects the information in the category decreased the central tendency of the focal category. Within each of these conditions, 1/3 of the subjects were given contextual mean which was higher, 1/3 lower and the rest received baseline contextual category which was incomparably higher than the focal mean. Through systematically estimating the cumulative mean, the subjects formed impresssions of each category.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procedure, the means were mathematically stable, but in the second half of the procedure, the mean of one set was modified and the mean of the other set remained unchang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uitive statistical ability of people seem quite reliable. In the category learning phase, the estimated mea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estimated mean. This gives support to the theories which proposes that if accentuation effect occurs, it is not merely due to perceptual process. Second,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position of the contextual category and the direction o f the focal category. In other words, the percept ion of information which enhanced intercategory differences differed from the perception of information which reduced intercategory differences. Third, this accentuation effect seems to occur by selective attent ion to information which enhances intercategory differences rather then selective inattention to intercategory reduction information. Lastly the theoretical support for accentuation effect, and the implication for possibility of change in social beliefs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