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기웅-
dc.contributor.author이영진-
dc.creator이영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9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3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6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36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의 승패를 좌우하고 선수의 잠재 역량을 결정해 주는 인지적인 기술(cognitive skill)로서 동작의 신속성과 순간적인 상황 판단의 결정요인으로 추정되는 정보처리 역량(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이 경기력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문헌 섭렵을 근거로 하여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경기력에 차이가 있는 집단간에 통제 반응시간은 차이가 없다. 2. 주과제와 부과제를 동시에 수행하게 했을 때 주과제의 계획시간인 주과제 반응시간(RT_(1))은 기술수준이 다른 집단간에 차이가 없다. 3. 주과제와 부과제를 동시에 수행하게 했을 때 부과제에 대한 계획시간(RT_(2))은 기술수준이 다른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4. 주과제와 부과제를 동시에 수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방해의 정도, 즉 주(부)과제 반응시간 - 주(부)과제 통제 반응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여자대학교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준거집단 설계하에서 일반학생, 아마츄어, 선수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시각과 청각 자극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반응버튼을 누르는 과제를 컴퓨터(Computer)로 프로그램하여 반응시간(reaction time)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총 60회의 시행을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1차 과제 20번, 2차 과제 20번, 1차 과제와 2차 과제를 혼합하여 20번을 실시하였다. 이를 근거로 세집단별로 반응시간의 중앙치(median)를 계산하며 일원변량분석(onewayANOVA)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력 수준에 특징적으로 각기 다른 세집단(일반학생, 아마츄어, 선수)간에 1. 제1차 및 제2차 과제에 대한 통제 반응시간은 차이가 없었으며, 2. 1차 과제 반응시간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3. 2차 과제 반응시간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4. 제1,2차 과제 수행시 발생한 방해정도점수(즉 1차 과제 반응시간 - 1차 과제 통제 반응시간)은 각각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행자의 정보처리역량의 정도는 경기력의 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강력히 시사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정보처리역량의 계량화가 신인발굴 및 선수선발에 직접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지수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뒷바침 해 주었다.;Sports performance is theorized to be the outcome of many interacting factors including physical fitness, physique and skill. Skill, among others, is postulated to be the interactive endresult of many motor abilities and practice. As a potential predictor of skill,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is hypothesized to be a critical factor which influences the quality of sports performance especially in highly dynamic team sport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length of reaction time(RT)as well as the elongation of RT in both independent and simultaneous performance of two tasks in double stimulation paradigm, the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measures were compared between three groups differing in skill level under criterion-group design. It was predicted that the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measures derived from RT data. The results were congruent with the proposed predictions; 1) RTs for the simultaneous performance of two RT tas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with the skilled shortest, and 2) the degree of interference(lengthening of RT) in RT 2 due to simultaneous performance of two tasks was smallest in the skilled group while the effect was largest in the unskilled group largest. The results, taken altogether, suggested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may be an important determinant of sport performance, thus can be used as an index of identifying sport tal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1 Ⅰ. 서론 = 3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정보처리역량 = 6 1. 정보처리 = 6 2. 정보처리의 과정 = 7 3. 정보처리역량 = 11 4. 정보처리역량의 측정 = 13 B. 정보처리역량과 경기력 = 14 1. 정보처리역량과 경기력과의 관계 구명방법 = 14 2. 정보처리역량과 경기력 = 15 C. 가설 = 18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실험기재 및 과제 = 19 C. 실험절차 = 20 Ⅳ. 결과 = 22 A. 통제 반응시간 비교 = 22 B. 1차 및 2차 과제 반응시간 비교 = 23 C. 세 집단간의 방해점수 비교 = 25 Ⅴ. 논의 = 27 참고문헌 = 29 ABSTRACT = 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46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보처리역량-
dc.subject경기력-
dc.subject정보처리-
dc.subject.ddc700-
dc.title정보처리역량과 경기력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to Motor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Lee, Young Jin-
dc.format.pageiv, 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