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한국 창작 춤 공연에 관한 관객의 인식도 고찰

Title
한국 창작 춤 공연에 관한 관객의 인식도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gnitive Degree of Audience towards Dance Performance
Authors
安銀美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창작춤관객공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육완순
Abstract
This study is primarily aimed at foreseeing the proper way of direction with the means of reexamining the dancing performance of Korea through pursuing the congnizance by general audience towards Korean dance performance at present in more realistic and positive manner. It is therefore intended to reestablish, through conducting a survey-on-the spot(or site), the position of audience as recreator to generate the significance and text of audience as the notive power of production (writers, dance works) into proper performance among the new elements of dance, i. e., writer(choreographer, or dance composer, director), works, audience, etc., through a series of theretical studies on the audience as the nucleus in accommodating artistic works. In this conjunction, an theoretical framework has been built that general audience, depending on personal, social characteristics, may variably cognize the dance performance, and their cognition about the dance performance may also vary depending on general cognitive degree towards the dance performanc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varify such a theoretical framework through establishing a concrete hypothesis from the theoretical structure. Though a number of new studies are under process as to classify a genre, in this survey, a series of attempt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udience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who are to watch, creative dancing performance by limiting 'creative dance' other than traditional dance and classical ballet among various applications to the activities of dancing performance as the capacity of artists quartering Korean traditional dance, Korean classical dance, contemporary dance and ballet.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the objects of seven performance of creative dance taken place in March and April, 1989. As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first of all, the number of respondents were counted up to 331 men in total. A method was considered to exclude the analysis in the case of nonrespondents by each variable through using 'Listwise' device. The collected data produced following survey, results through the process of computerization : 1. General audience variably appeared to respond to the danc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elements of individu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while there was a certhan degree of difference in responce extent or critical degree on the performance by age and academic career, the difference of appraical on the performance by sex and occupation was not significantly appeared otherwise. 2. It was revealed that the cognition on the dance performance, depending on general cognitive degree, did not directly influence, while there emerged a difference in the appraisal by each part of the performance. Such phenomena are described as follows : Firstly, the appraisal of sympathy on theme and subject matter and another appraisal on the harmony of various element other than the dance itself, depending on the cognition of significant value in the dance performance, were variably emerged as a whole. Secondly, It was furthermore revealed that the responses variably appeared, depending on the appreciation attitude on the performanc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in the appraisal to dancer's talent, the appraisal on the harmony of various elements other than dance, the appraisal on a certain freshness or impact, and the final appraisal on the overall performance as a whole.;본 연구는 현재 한국 창작춤 공연에 대한 일반 관객의 인식을 보다 현장적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한국 창작춤 공연을 재검토하고 올바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조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예술작품을 수용하는 주체로서의 관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춤의 세 요소, 즉 작가(안무가), 작품, 관객 중 생산(작가, 작품)의 원동력으로서의 관객의 의미와 텍스트를 작품으로서 생성시키는 재창조자로서의 관객의 위치를 현장 연구를 통하여 정립하고자 한다. 일반 관객의 개인적, 사회적 특성에 따라 춤 공연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것과, 춤 공연에 대한 일반적 의식 정도에 따라 춤 공연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것이라는 이론적 틀을 세웠다. 이 이론적 구조로부터 구체적인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가 설계되었다. 쟝르의 구분에 대하여 많은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본 조사에서는 예술가로서의 춤 공연 활동을 한국 전통 무용, 한국 무용, 현대 무용, 발레로 四分하는 것을 적용, 그 중 전통 무용과 고전발레를 제외한 "창작춤"으로 국한하여 실제 공연되는 창작 춤 공연을 보러온 관객을 조사 대상자로 하여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조사는 1989년 3월과 4월에 공연된 창작 춤 공연 7군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에 응한 응답자의 총수는 331名이다. Listwise방법을 사용하여 각 변수마다 무응답자의 경우를 분석에서 제외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산 처리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조사 결과가 나타났다. 1. 일반 관객은 개인적, 사회적 특성에 따라 한국 창작 춤 공연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연령과 학력에 따라 공연에 대한 공감의 정도나 비판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 직업별에 의한 공연의 평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한국 창작 춤 공연에 대한 일반의 의식정도가 한국 창작 춤공연에 대한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연에 대한 부분별 평가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창작 춤 공연에서 중요한 가치를 인지하는 것에 따라 주제나 소재에 대한 공감의 평가와 춤 이외 요소들의 조화에 대한평가는 달리 내리고 있다. 둘째, 공연 감상 태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무용수의 기량에 대한 평가, 춤 이외의 요소들의 조화에 대한 평가, 신선함이나 충격에 대한 평가, 그리고 공연 전체에 대한 평가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