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Morton과 Kurtz의 교육적 수퍼비젼 모형에 따른 사회사업 수퍼비젼 사례연구

Title
Morton과 Kurtz의 교육적 수퍼비젼 모형에 따른 사회사업 수퍼비젼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Social Work Supervision According to the Model of Morton & Kurtz's Educational Supervision
Authors
박현옥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MortonKurtz수퍼비젼사회사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인숙
Abstract
Since social work is practical science, field work is very important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social work. However, field education in Korea encounters a lot of difficulties, such as insufficient institutions for social work, disqualified supervisors, lack of close connection between colleges and agencies, ambiguities of its purpose, contents, and process, etc. We have many problems because in Korea, unlike in the U.S.A. or U.K., there is no professional supervisor wholly responsible for field work. All supervisors in agencies or colleges have to bear burdens of extra works apart from their own proper work of supervision. Under these situations it can hardly be expected for the technical supervision to be performed. Though vigorous supervisor try to clarify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at which will be a working guide for the field education, they suffer many problems caused by lack of the experimental study about it. Because, even in colleges, field work is required just once a week, in one or two semesters, students should acquire the technique in a short period and more effective method of supervision must be developed. Now there is urgent need that new theory of supervison useful for its practice by its experimental case study should be introduced. In addition to these for in supervision, field work is one of the required curriculum, more systemized supervision is required. As most of field works are for unexperienced students, educational func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functions of supervision. Morton & Kurtz suggested a model of educational supervision based on the theory that better educational function could be carried out through practices of learning theory. This model is asserted to help in carrying out more systematic and orderly supervision. Regarding this model as the most suitable one under our situation, I utilized it in supervision. I think the ambiguities and unsystemacity of the field work purpose, contents, and process, which makes main problems, can be overcome through this model. One of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xample of experiential study of based on the educational supervision model of Morton & Kurtz and the case study of supervision of this writer. The other object is to seek feasibility of application of Morton & Kurtz's model. To accomplish this purpose, what I first studied were the theoretical basis of Morton & Kurtz's educational supervision model applied through learning theory. Secondly, I applied the model of Morton & Kurtz on and analyzed my case of supervision. Thirdly, I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supervision based on the model. The cases in this study are referred from the supervisions practiced in colleges by twelve student field workers in the first semester in 1986. This supervision is consist of thirteen supervision, practiced once a week in group or individually with its purpose that field workers develop their theory and skill in field and self-consciousness as technicians. It was performed step by step with the order of assessment, planning, and i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 model of Morton & Kurtz applied through learning theory. I could learn how to apply the model of Morton & Kurtz on the case of this study through examining the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I suggested an example of experimental study which is analyzed in the order of assessment, planning, and instruction on the basis of Morton & Kurtz's model. I sought the validity of this model throug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t on the college supervision in Korea. I also had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tudents who used the Morton & Kurtz's model and those who did not use the model.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to research the student workers' understanding for the improvement of field work object. In consequence, I found that the student workers showed much satisfaction for achieving field work object and the model is proved to have possibility for a practice. There are lots of limitations in this study. And they are as follows: insufficient superintendent for fabricated reports, limitation about generalization, technical immaturity of field work supervisors, poor understanding of limitation of college education and lack of systematic preliminary surveys. In conclusion, I suggest for the development of college education for field work as follows: 1. Respective files for each student workers have to be made for individualization. 2. Student workers' needs have to be considered in allotting field and instructor (questionnaire), lesson (orientation, field, agency work, field work, prospect, etc.), individual interview (only for necessary students). 3. More concrete program of field work is required. 4. More concrete and continuous individual instruction is needed. 5. For presentation of case study, it is good to divide into small groups according to similar fields or relations. 6. Wholly responsible supervision staff is required who has experiences in field and in supervision and has a qualification above Master's degree of social work.;사회사업은 실천학문이므로 사회사업교육과정에 있어서 실습 교과목 과정은 매우 중요하고 실습교육이 차지하는 비중도 대단히 크다. 그러나 한국의 사회사업 실습교육에서는 실습기관과 실습지도자가 부족하고, 실습기관의 배려와 실습지도자의 자질이 미흡하고, 학교와 기관의 연계가 결여되어 있으며, 그리고 실습목적과 내용 및 그 절차가 명확하지 못하여 체계가 서 있지 않는 등의 문제들을 지니고 있다. 한국 실습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인정하면서도 미국이나 영국과는 달리 기관이나 학교에 전담 실습지도자가 전혀 없기 때문에 문제해결에 아직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관과 학교의 거의 모든 실습지도자가 각자의 업무 이외에 수퍼비젼 업무를 추가로 부과받고 있어 업무과중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실정 하에서는 전문적인 실습지도를 시행하기가 몹시 어려우며 의욕적이고 열성있는 실습지도자들이 전문적인 실습교육의 지침이 되는 실습목적과 내용 및 그 절차를 명확히 하고 체계화하려 해도 이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거의 없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실습과정에서 학생은 대학마다 1 주일에 1일씩 1,2학기에 그치게 되므로 짧은 시간에 실천업무를 습득해야 하고 실습지도자는 과중한 업무로 실습지도에 할애할 시간이 아주 부족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효과를 올릴 수 있는 수퍼비젼의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또 수퍼비젼 실천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수퍼비젼 이론의 도입과 그 이론에 의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학교 수퍼비젼에서는 실습이 필수적인 교과과정의 하나이므로 수퍼비젼의 체계화에 한층 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실습은 실무경험이 없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수퍼비젼 기능 중 교육적 기능이 우선한다. 1980년 Morton과 Kurtz는 이 기능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타 이론에 비해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결과 측정으로 학습목표를 분명히 세울 수 있는 학습이론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학습이론을 적용한 교육적 수퍼비젼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 의거할 때 학습목표를 분명히하고 질서있는 지도를 할 수 있는데 이것은 한국 실습교육에서 가장 두드러진 문제인 실습목적과 내용 및 그 절차의 불명확성과 비체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 모형을 본 연구자는 수퍼비젼 실시에 활용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보다 명확하고 체계적인 학교 수퍼비젼 실천을 위하여, 첫째, 학습이론을 적용한 Morton과 Kurtz의 교육적 수퍼비젼 모형을 이론으로 탐구하고, 둘째, Morton과 Kurtz의 모형에 본인의 수퍼비젼 사례를 적용하여 분석 연구하고, 셋째, 그 모형의 수퍼비젼 실천에 있어서의 성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Morton과 Kurtz의 모형에 의거하여 본 사례를 분석하는 경험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는 1986년 1학기 학부 4학년 실습생 12명을 대상으로 실천한 학교 수퍼비젼 사례이다. 수퍼비젼은 실습생들이 실무에서의 이론과 기술을 개발하고 전문가로서의 자아인식을 개발하도록 지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매주 1회씩 13회에 걸친 집단 수퍼비젼과 개별 수퍼비젼으로 이루어졌다. 학습이론을 적용한 Morten과 Kurtz의 모형에 의거하여 사정, 계획, 지도의 순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Morton과 Kurtz의 모형을 이론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이 모형을 본 연구의 사례에 적용시킬 방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 이 모형에 의거하여 사례를 사정, 계획, 지도의 순으로 분석함으로써 실험적 연구가 거의 없는 한국의 상황에서 실험적 연구의 한 예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Morton과 Kurtz의 모형을 실제로 한국 학교 수퍼비젼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 모형의 실제 적용의 타당성을 탐색하여 보았다. 효과 측정은 위 모형으로 수퍼비젼을 실시한 실습생들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그렇지 않은 다른 실습생들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실습목적 향상에 대한 실습생들의 인식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1986년 당시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사용하는 실습생들이 작성한 실습평가서가 사용되었고, 비교집단의 경우에는 권영미가 1985년 서울 시내에 소속된 6개 대학에서 실습경험이 있는 4학년 실습생 118명을 대상으로 한 실습생 인식도 조사가 사용되었다. 이 두 집단의 조사를 비교해 본 결과, 실습목적 달성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실습생들이 비교집단의 실습생들보다 아주 높은 만족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실험집단에서 사용한 Morton과 Kurtz 모형의 실제 적용 가능성도 알 수 있었다. 학교 수퍼비젼의 일반적 제한점인 실습생들의 조작보고와 게임에 대한 통제 이외에,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단일 사례 연구에서 오는 일반화에 대한 문제, 수퍼비젼 성과 측정면에서 동일한 항목의 설문지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지 못한 점과, 동일한 연구자에 의한 동일한 시기에 통제집단을 사용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끝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실습의 장(field)은 기관인데 비해 수퍼비젼의 장(field)은 학교이기 때문에 오는 실습생들의 조작보고를 체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2) 본 연구를 통하여 Morton과 Kurtz 모형의 적용가능성과 그 효과는 밝혀졌으나 일반화를 위해서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대학에서 다양한 실습지를 대상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 3) 학교와 기관에서 동시에 같은 모형을 사용하여 수퍼비젼을 실행한다면 보다 나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4) 동일한 항목의 설문지로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이 모형의 보다 정확한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5) 동일한 실습지도자에 의해 수퍼비젼이 실시된 통제집단을 두어 이 모형의 보다 정확한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밖에도 더욱 효과적인 실습지도를 위해서는 이러한 교육적 수퍼비젼을 보완하는 행정적 수퍼비젼이 필요하다. 학교 실습지도는 실천의 장이 없어 기관에 실습지도를 위탁시키는것이므로 효과적인 실습교육을 위해서는 기관과의 긴밀하고 의도적인 유대관계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앞으로 기관과의 관계형성에 관한 행정적 수퍼비젼의 연구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