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문자-
dc.contributor.author金興美-
dc.creator金興美-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6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316-
dc.description.abstract繪畵의 主流를 전통적인 입장에서 大別한다면, 대체로 事實主義와 抽像主義로 나눌 수 있겠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그러한 古典的인 二分法은 점차 무너져 가면서 혼용되고 多元化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現象은 하나의 時代的 必然性의 所産이라 생각할 수 있다. 東洋 전통사회의 생활감정과 理念의 産物인 傳統繪畵도 現代에 들어 오면서 西歐의 物質文明의 導入과 함께 점차 現代的 造形으로서 새롭게 表現되고 있다. 그것은 종래의 東洋畵式의 表現에서 벗어나 人間의 感性을 바탕으로 한 主觀主義的인 경향을 띠고 進行되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傳統的인 繪畵樣式인 水墨畵도 기존의 樣式을 繼承하면서 한편으로는 造形性을 바탕으로 對像을 再構成하는 새로운 創作意識이 必要할 것이다. 그런데 藝術이란 時代的 産物로서 그 時代의 모습을 그리고, 그 社會의 共通된 情緖를 表現해야 하므로 '새로운 造形性의 再構成'이라는것도 現代化된 오늘날의 生活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美를 관조하는 方法이나 美를 解釋하는 鑑賞 또한 現代的이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本人은 傳統的 樣式인 水墨을 媒介로 하여 傳來의 素材나 觀念에서 벗어난 現代的 造形意識으로서 個性있는 表現技法을 使用하여 作品을 製作하고 그에 따른 硏究를 進行하였다. 具體的으로 첫째, 水墨의 發展過程 및 그 特性을 알아 보고, 둘째, 解放이후의 우리나라에서의 水墨의 展開狀況을 살펴 보았으며, 셋째, 具體的인 表現特性으로 具象的 造形性을 보여주고 있는 몇 作家들의 作品을 分析하고, 넷째, 그것을 토대로 本人의 作品에 대한 製作과 分析을 試圖함으로써 觀念的 樣式을 한단계 벗어난 現代水墨畵의 또 하나의 새로운 방향을 摸索하고자 하였다.;In general, we can classify the mainstream of the painting as realism and abstractionism. But recently this classical dichotomy has been vague and merged into together, so that the diversified works has appeared. This phenomena may be regarded as the inevitable demand of the times. The traditional painting, which has represented the feelings and thoughts of the oriental society, has been changed with the advent of the western materialistic culture. This trend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tive arts which tend to represent nature in the viewpoint of subjectivity rather than describe as it is. Under this circumstances the Indian Ink, the traditional mode of the painting needs the new creative power of reconstitution as well as succeds the original tradition. And this creativity must be based on the human life and real world of this day, because the arts describe the shape of the times and express the emotion of its people. From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produce my works through the Indian Ink with the modern techniques which emphsize the formative aspects of it and study its proces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 examined the develop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an Ink through the Chinese painting history; secondly, I investigated its inflows and development in Korea after Liberation in 1945 ; thirdly, I analysed some works of the Korean artists who has show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 and finaly, by this framework I produced my works and analysed them.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the new direction of the modern Indian Ink, which goes beyond the spirit-biased style of the conventional oriental pain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및 方法 = 1 Ⅱ. 本論 = 3 A. 氷墨의 發展過程 및 特性 = 3 B. 解放以後 水墨의 展開狀況 = 10 C. 氷墨山水의 現代的 變容 = 18 D. 作品에 있어서 具象的 造形性의 表現 = 25 Ⅲ. 作品分析 = 29 Ⅳ. 結論 = 50 參考文獻 = 51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175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수묵-
dc.subject조형작업-
dc.subject구상-
dc.title수묵의 구상적 조형작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ative Work of the Indian Ink-
dc.creator.othernameKIM, HEUNG-MI-
dc.format.pagevi,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