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Post-modern dance에 관한 연구

Title
Post-modern dance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st-Modern Dance
Authors
宋仁娥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Post-modern dance사회적 배경무용사적 배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육완순
Abstract
본 논문은 1950년대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일어난 Post-modern dance의 형성배경과 전개과정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 주류가 우리나라 무용계에 미친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Ⅱ, Ⅲ장에서는 Post-modern dance의 이론적 배경과 Post-modern dance의 형성 및 특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Post-modernism은 일종의 Modernism 비판 혹은 새로운 상황인식에 의한 새로운 Modernism의 추구로써 범주화되고 역사화된 개념이다. 1차대전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예술의 반동운동은 2차대전을 기점으로 50년대 부터 미국의 뉴욕으로 그 물결이 이동하였고 이들은 바로 전대의 고급 Modernism과의 결합을 뿌리치면서 유럽 아방가르드 예술의 유산을 소생시키려 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독자적인 미국의 형식을 접맥시킴으로써 보다 미국적인 문화구조를 통해 현실화된 이념을 구현하려 하였다. 또한, 20C 중엽에 들어오면서 근본적인 예술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거의 한계점에 도달한 현대예술은 위기를 맞이하였고 변화와 분리의 다양성을 가지고 새 물결을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이런 역사적 상황에서 탈 모던 이념의 Post-modern dance의 출현은 필연적이었다. Post-modern dance는 이전의 현대무용과는 이질적인 새로운 경향의 무용이며 정확히 그 구성의 내용성을 단정짓기 어려운 일종의 전위(abant-garde) 무용으로서 창작적 실험을 총괄하는 개념이다. Ⅳ장에서는 Post-modern dance의 전개과정을 Judson Church Group을 중심으로 1기, 2기, 3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 1기(1950∼1960)에서는 Post-modern dance의 형성기반을 마련한 Merce Cunningham, Ann Halprin, James Waring에 관하여 살펴보았고, 제2기(1960∼1970)에서는 Post-modern dance의 중추적 역할을 한 Judson Church Group에 관하여 살펴보고, 제3기(1970년 이후)에서는다양하게 등장하는 Post-modern 안무가들의 활동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한국의 Post-modern dance에 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 현대무용 발전사와 Post-modern dance의 수용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1980년 이후 우리나라는 Post-modern dance가 형성되었던 당시 미국의 사회적 상황과 비슷한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고, 무용계에서는 중견안무가들의 실험적·전위적 작업, 거리의 춤, 타 예술과의 교류등 Post-modern dance의 요소를 내포한 작업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있다. 외래사조인 Post-modern dance의 현상적인 외양의 차용이나 이념의 무매개적인 수용이 아닌 자기 나름대로의 직관적 파악이 수반된 수용이 있어야 할 것이며, 이는 현재의 춤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시도와 창작으로 작품활동을 하며 새롭고 발전적인 무용계로 이끌고자 하는것에 의미가 있는 것이며, 앞으로 우리나라 무용계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theoretic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Post-modern dance which began to formulate in the 1950's aroung New York as the center, and to define what influences it had on the Korean dance community. Chapters Ⅱ and Ⅲ are mainly on the Post-modern dance's theoretic background, it's short history and development over the years. Modern dance was a rebellion against the formalities of early 20th century ballet, but was only an escape from the ballet techniques, and was itself caught in its own techniques and limited to the mechanisms of a limited style of the theater. The anti-establishment movement of the Arts, which started in Europe after World War Ⅰ slowly moved to New York City from the 1950's --- with World War Ⅱ as the turning point. This led to an effort to recreate a new kind of European avant-garde arts, but with American forms and, consequently with American cultural structures. Also, as the forms and contents of modern arts began to reach it's limits in the 1950's a new movement of change started to appear. With this historic change going on, the emergence of Post-modern dance was inevitable. In Charter Ⅳ, the development of the Post-modern dance is divided into 3 periods. The first period(1950∼1960) is devoted to the people who had major influences on the formation of Post-modern dance ; Merce Cunningham, Ann Halprin, James Waring. In the second Period(1960∼1970) the works of Judson Church Group is closely examined. The third period(after 1970) is on the works and activities of the Post-modern choreographers. Despite their diversity, the Post-modern choreographers all seemed to share the common goals and strive for the following three objectives. First, an expansion of dance language through acceptance of normal movements and a deeper understanding of dance movements. Secondly, the liberation and outer/inner expansion of stage space. And thirdly, by applying practical methodology to bring the expressions of the dancer and audience into a cooperative sphere where anti-arts and arts can co-exist. Thus, they endeavored to formulate a new creative field that would exist on the boundaries between the thoughts of dance and practical dance,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dance and its ant i-thesis. Chapter Ⅴ is devoted on the acceptance and accomodation of Post-modern dance in Korea. In Korea, Post-modern dance started to make its appearance after 1980 through already established choreographers and reflected American social situation of that times. They presented experimental and avante-garde works, dance performances in the streets, and exchanges with other fields of the arts sharing the common trends. In sum, it can be said that as a froeign trend of thought, Post-modern dance must be closely examined and necessary adjustments made in order to have a lasting and effective influences on tile Korean dance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