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아동의 어휘발달과 인지발달의 관련성에 관한 일연구

Title
아동의 어휘발달과 인지발달의 관련성에 관한 일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Cognitive Development and Language Acquisition of Preschool Children : (The) Cognitive Basic of the Acquisition of Relational Words
Authors
朴向淑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아동어휘발달인지발달관계어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재은
Abstract
단어의미의 획득과 발달에 대한 연구는 인지발달연구와 상보적 관계에 있다. 어린이의 지각적·인지적 기능의 발달이 언어획득의 기초로 제안되어 왔으며, 이와같은 이론의 기본가정은 어린이가 자신의 환경내 여러 영역과 관계들을 이해하는 비언어적 책략(nonlinguistic strategy)에 의해 단어 의미를 점진적으로 획득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능력과 언어획득의 관련성에 관심을 갖고, 관계어를 중심으로 어린이가 이해하고 사용하는 어휘의 발달정도와 인지 발달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아울러 아동의 어휘발달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크기)관계어는 어떻게 발달되는가? 2. 관계어 획득의 비대칭현상은 양극적 차원의 형용어들에서 두루 찾아 볼 수 있는가? 3. 관계어 의미이해는 인지적 조작의 복잡성과 관련이 있는가? 연구의 목적에 따라 3∼6세 아동 120명을 대상으로 개인용 그림 어휘검사 및 과제에 따른 관계어 이해검사를 실시했다. 통계처리는 어휘검사의 연령별·개별어휘별 평균을 산출하고 F검증 및 t검증 하였다. 과제별검사는 연령별·과제별·조건별 평균을 산출하고 변량분석 및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어린이는 단어의 정확한 사용에 앞서 먼저 단어의미를 이해했다. 2. 크기관계어의 이해 및 사용은 총체적 어휘에서 구체적 어휘에로 점진적으로 획득됨을 알 수있었다. 아울러 초기에 아동들이 사용하는 '크다·작다'에는 '길다·짧다', '넓다·좁다'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관계어의 이해와 사용에서 각각 상이한 비대칭성이 발견되었다. 관계어의 이해에서 유표적(marked)요소와 비유표적(unmarked)요소에 유의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3∼4세 아동의 유표적 요소에 유리한 점수를 얻었다. 이에 반해 관계어의 사용에서는 비유표적요소에 유의의하게 나은 수행을 보여 관계어 획득의 비대칭성을 입증했다. 과제별검사에서도 정적인(Positive)것과, 부적인(negative)것의 의미이해에 비대칭현상을 보이는 연령단계가 실제로 존재함이 입증되었다. 4. 학령전 아동의 관계어 이해는 과제가 요구하는 인지적 조작의 복잡성에 관련이 있었다. 다시말해 아동의 '많다','적다'에 대한 의미이해는 밀도·길이·수사이의 관계조정능력에 의해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언어획득의 인지적 기초를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The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perceptual and cognitive skills has been suggested as the basis of language acquisition. The fundamental premise of these theories is that children gradually learn to assign meanings to words as a consequence of certain nonlinguistic strategies which are a function of their understanding of dimensions and relationships within the environment. The child does not acquire all the adult meaning of a word simultaneously, but makes systematic errors in comprehension based on a failure to differentiate critical features of the conceptual category or relationships to which the word refer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ancy of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word, to find the cognitive basis of language acqusition and provide basic data of the vocabulary development. Specific objectives o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 1.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change in comprehension of word-meaning for dimensional adjectives and their production. 2. To observe the asymmetry i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dimensional adjectives. 3. to find that child'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al words is related to the complexity of cognitive operations required for comprehension. Method and procedures the subjects were 120 preschool children who were attending half-day nursey school and day care center in Seoul. In Expressive and Comprehensive Vocabulary Test, three pairs of dimensional adjectives (big-little, long-short and wide-narrow) were assessed. And the comprehension of words related to relative quantity was tested with sets of stimuli which varied the relationship of mumber, length and density.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Anova and t-test were employed. And percentage ratio by tests and items was obtained.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 1. Comprehension of word-meaning preceded its production. 2. The order of acquisition of dimensional adjective pairs corresponded with their order of semantic generality ; 'big and little', the most general of the terms were acquired before, and for a time employed as a substitute for 'long and short' and 'wide and narrow', the more specific dimensional adjectives. 3. In language comprehension,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mbers of the adjective pairs, but in production, there was asymmetry in favor of the positive pole adjectives. 4. Comprehension of the relational words was related to the complexity of cognitive operations required by the task. Specifically, comprehension was easier in the situations in which length and numb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an when length provided no cue to number. Comprehension was most difficult when length and number were negatively correlated. These data can be interpreted as providing support for theories of the cognitive basis of language acquis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