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9 Download: 0

사이버스페이스의 디지털 패러다임에 대한 작품 연구

Title
사이버스페이스의 디지털 패러다임에 대한 작품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art work for the digital paradigm of cyberspace
Authors
하재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Keywords
사이버스페이스디지털패러다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본 논문은 작품의 주제인 사이버스페이스와 디지털 패러다임 그리고 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본인의 생각과 개념을 논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인의 작품은 모두 디지털 영상편집으로 제작된 단채널 영상작품이다. 컴퓨터를 통해 정보로 변환된 이미지와 사운드는 디지털의 무한한 변용으로 재구성되어 작품으로서 보여지고, 소리, 영상, 텍스트 등을 통한 복합매체는 감상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적인 소통을 하게 한다. 우선 본인 작품의 DNA라고도 할 수 있는 디지털에 대해 고찰한다. 쌍방향 미디어를 구현하는 디지털 세계의 중심은 개인과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디지털은 하나의 패러다임이며, 디지털 패러다임은 기존의 존재개념의 변화를 야기한다. 본인은 이러한 변화를 물리적인 세계, 비물리적인 세계 그리고 가상세계로 설정하고 논한다. 물리적인 세계는 시공간 영역에 있는 물질 세계를 비물리적인 세계는 개인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기억, 꿈, 상상 등의 의식 경험의 세계를 말한다. 그리고 가상세계는 신화, 책, 그림, 스크린 등에 존재하는 세계로서 비물리적인 세계를 물리적인 실체로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디지털을 통해 물리적이건 비물리적이건 모든 것은 가상공간(cyberspace)의 정보 (database)로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존재개념은 작품을 통해 드러난다. 본인이 작품에서 만들어낸 가상세계, 과의 커뮤니케이션은 모든 작품을 포괄하는 개념을 함축하고 있다. 은 정보전달의 최소 단위인 비트(bits)를 의미하는 B와 비트를 이루는 '0'과 '1'을 합성하여 만든 하나의 기호이며, 이는 디지털 세계를 의미하는 상징성을 띤다. 물리적인 세계를 포착하고 촬영을 한 후, 컴퓨터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변환된 정보를 재조합하는 것은 비물리적인 마음의 세계를 구체화된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물리적인 부분과의 상호작용은 컴퓨터 가상공간 안에서 이루어진다. 본인은 가상공간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한 방편으로 인터뷰라는 방식을 택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많은 사람을 참여시키고, 그 자체가 작품으로 완성된다. 그리고 인터뷰의 과정은 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교두보가 되며, 인터뷰한 사람들의 메시지를 으로 발신하는 것과 그것으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어 오는 것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표현은 의 존재를 실체화시키는 은유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고, 본인 및 본 작품에 참여한 사람들이 사이버스페이스에 던지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과의 커뮤니케이션은 디지털 세계의 존재방식의 표현이며, 은 가상공간으로 인도하는 상징성을 띤 코드이다. 본인은 이러한 일련의 작품들이 현시대를 제대로 짚어냄으로써 모든 이들의 관념과 소통되고자 의도하였으며, 개인의 상상력을 도모하여 언제든지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가능성을 함축하고, 물리적인 관람의 개념이 아닌 누구나 언제든지 접근 가능한 소유(인터넷의 정보와 같이), 혹은 공유의 개념으로 나아가고자 한다.;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theoretical study and general idea for understanding my works. My works are shown bias by digital image. The infinite possibility of digital metamorphosis is the superior way that can materialize the cyber space and the complex medium using a digital(sound, image, text) make multimedia communication possible for an appreciator. For me, digital completely revised not only the way of thinking but also the sense of sight about existence. Therefore we will deal with an inquiry into digital, DNA of the my works. There is no a personal identity and structure in the multimedia digital times,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cation are only in existence. These digital paradigm have u s meditate the concept of existence. I divided the existence into three. Then, they are physical world, metaphysical world and cyber space. The physical world is the objective world existing in time domain and the metaphysical world is the subjective world so as memorization, dream, imagination. Cyberspace is the alternative realistic world existing in mythology, book, painting, screen is what metaphysical world is regarded as physical world. Meantime, digital creates cyber space that removes boundary of imagination and reality by changing everything with the information cord. From now we are present not also by the natural man in the physical world but also the information man in the cyber space. The communication with fictional virtual world, which was made by me is implying the concept for all works. Following the capture and the picture-taking of physical world, it is represented the metaphysical mentality as to be the materialized image to mix the information rearranged with computer programs. By being a link in a chain of it, I synthesized dream, memorization and imagination with image and sound. These expression of mentality is introduced into the virtual world by the interaction with metaphysical world. I have a choice of interview for expressing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I have many people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and it is itself completed with the works. It is desired that one's own these tryout is been mutual understanding with the thought of all by feeling the present age. For this, I will expect that the works imply the open-possibility with imagination and that it is developed into the public concept whoever has access to it, such as interne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