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영희-
dc.contributor.author윤태자-
dc.creator윤태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1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6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194-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급속한 산업발달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교통사고 및 산업재해 발생율이 급증하고 있다. 교통사고 및 산업재해로 인한 근골격계 외상환자들은 운동장애를 초래하여 근위축 근력감소 및 대사장애 등으로 인한 폐용성 위축(disuse atrophy)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운동장애 환자의 사두근의 근소실 및 근력감소를 예방하고 소실된 근과 근력을 회복하기 위한 간호사정의 정련화 및 나아가 합리적 간호진단을 내리기 위한 객관적 측정 가능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근소실 현상의 객관적 측정방법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부하(Non weight bearing)를 할 수 없는 입원한 근골격계 외상환자의 사두근 근소실 및 근력감소와 혈중creatine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1988년12원14일부터 1989년 5월 8일까지 A 대학병원 정형외과에 입원한 정상부하를 할 수 없는 운동장애 환자 중 사전조사 6명, 본조사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근소실 현상은 해부학 및 근육생리이론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슬개골 상방 13㎝지점의 대퇴둘레, 45° 신전위 거상지속시간 측정 및 혈중 creatine 치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조사 대상자 6명의 입원15일간의 근소실 경향에서 입원 제5일, 입원 제10일, 입원 제15일에 두드러진 근소실 현상을 보였다. 2. 본조사 대상자 14명의 입원후 근소실 정도를 대퇴둘레로 측정한 결과 입원 제1일의 46.11 cm에서 입원 제5일에 44.52 ㎝(3.55%), 입원 제10일에 43.51 ㎝(5.69%) 입원 제15일에 42.19 ㎝(8.48%)의 평균 근소실도를 나타내었다. 3. 본조사 대상자 14명의 입원후 근력을 45° 신전위 거상지속시간으로 측정한 결과 입원 제1일의 125.07초에서 입원 제5일에 107.14초(15.23%), 입원 제10일에 87.86초(28.31%), 입원 제15일에 72초( 41.87%)의 평균 근력감소를 나타내었다. 4. 본조사 대상자 14명의 입원후 평균 혈중 creatine치의 변화는 입원 제1일의 1.02㎎에서 입원 제5일에 0.89㎎, 입원 제10일에 0.9㎎, 입원 제15일에 0.97㎎을 나타내었다. 5. 본조사 대상자 14명의 연령별 근소실 정도를 입원 제15일에 평가한 결과 20대가 7.39%, 30대가 8.72%, 40대가 10.08%의 평균 대퇴둘레 감소현상을 보였다. 6. 본조사 대상자 14명의 연령별 근력감소틀 입원 제15일에 평가한 결과 20대가 27.52%, 30대가 41.76%, 40대가 57.24%의 평균 45° 신전위 거상지속시간의 감소를 보였다. 7. 대상자 입원 15일의 총기간중 입원 제1∼5일, 입원 제6∼10일, 입원 제11∼15일간의 기간별 평균 근소실도는 입원 제1∼5일에 3.55%, 입원 제6∼10일에 2.14%, 입원 제11∼15일에 2.79%의 대퇴둘레 감소를 보였다. 8. 대상자 입원 15일의 총기간 중 입원 제1∼5일, 입원 제6∼10일, 입원 제11∼15일간의 기간별 평균 근력은 입원 제1∼5일에 15.23%, 입원 제6∼10일에 13.08%, 입원 제11∼15일에 13.56%의 45° 신전위 거상지속시간의 감소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고정에 따른 운동장애로 인하여 근소실 및 근력감소가 나타나는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근골격계 외상환자의 간호진단을 내릴때 근소실, 근력감소 및 혈중 creatine치는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한 자료로써 진단 특성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연령별 제특성은 간호계획의 방향설정에 도움이 되며, 입원기간별로 나타난 제특성은 간호계획의 기간별 목표설정에 도움이 될 것이며 나아가 간호계획시 기간별로 나타난 현상을 간호수행에 반영함으로써 근골격계 손상 환자에 대한 보다 합리적이며 체계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The Study problem was to assess quadriceps muscle atrophy in mobility impaired patients. The purpose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in mobility inpaired patient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Decomber 14, 1988 to May 8, 1989 at A University Hospital. Subjects were 20 mobility impaired and non-weight bearing patients admitted to the orthopedic surgical ward. Atrophy was measured by thigh circumference 13cm above the patella, muscle power was measured by the length of time able to hold the leg at a 45°angle, and serum creatine levels: through the literacture on muscle anatomy, pathophysiology. Data were analysed for percentage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thigh circumference of six patients was measured daily for 15 days. The observed changes in the pattern of atrophy directed the further measurement times of first, fifth, tenth and fiffeen days. 2. For the patients measured, the mean loss of thigh circumference was 8.48%. 3. In these 14 patients mean loss of time in ability to hold leg at a 45°angle was 41.87%. 4. Serum creatine was heighest (1.02) on the lst day after admission, lowest (0.89) on the 5th day, but increased to 0.97 on the 15th day. 5. Thigh circumference reduction increased from patients in 20s to those in their 40s. 6. The loss of muscle power and atrophy was greatest from the lst to 5th days after admission. When nursing diagnosis is impaired mobility. it is recommended that muscle atrophy, muscle power and the level of serum creatine be measured. and nursing intervontions to minimize or prevent muscle atrophy be initiated within the first tive days of admission. When nursing diagnosis is impaired mobility, it is recommended that muscle atrophy, muscle power and the level of serum creatine be measured, and nursing interventions to minimize or prevent muscle atrophy be initiated within the first five days of admi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5 A. 운동장애에 따른 골격근의 변화 = 5 1. 근소실의 일반적 현상 = 6 2. 근소실 측정의 합리적 근거 = 8 Ⅲ. 연구방법 = 11 A. 연구설계 = 11 B. 연구대상 = 11 C. 연구도구 = 12 D. 자료수집 절차 = 12 E. 자료 분석방법 = 13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4 A. 사전조사 = 14 B. 본 조사 = 14 C. 추가분석 = 20 Ⅴ. 결론 및 제언 = 24 참고문헌 = 27 ABSTRACT = 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76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운동장애-
dc.subject환자-
dc.subject사두근-
dc.subject근소실-
dc.subject임상-
dc.title운동장애 환자의 사두근 근소실에 대한 임상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linical research of quadriceps music atrophy in mobility inpaird patterns-
dc.creator.othernameYoun, Tae-Ja-
dc.format.pagevii, 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