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여민락의 해금과 피리 쇠는 가락

Title
여민락의 해금과 피리 쇠는 가락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ring Melody of the Haekum
Authors
송정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여민락해금피리가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The varing technique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generally often understood as to be adjusted only to the piri (Korean oboe), but the haekum (a Korean fiddle) has also the mode of varing melody, as in the 'Yeomtnrak (a form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explored the varing process of the haekum ana the piri by analyzing comparatively the relations between 1) the original melody and the varing melody of the haekum, 2) the original melody of the haetum and the original melody of the piri, and 3) the original melody and the varing melody of the piri. The results we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when we compare the varing melody of the haekum with the original melody of it, the former may be said getting very briefer than the later. For, though the varing part of the haekum and the piri appear almost at the same part, the haekum shows a general characteristic that, among the four variations of it, that is, 1) to raise the original melody one octave higher as it is, 2) to abbreviate some parts of the original melody, 3) to abbreviate and vary parts of melody, 4) to follow the same variation with that of the pill, most cases of it take variations of the said 1) and 2). Second, If we compare both original melodies of the haekum and the piri, it can be said that the original melody of the piri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variegated with more usage of such decorative notes as' 't','z','N', ' ', and 'h' than that of the haekum, eventhough the two melodies of the haekum and the piri can be regarded as to be similar to each other from the point that the varing parts of both appear generally at the same positions. Third, if the original melody of the piri and the varing melody of At are compared, it is seen that the later becomes more complicated than the former. For, among the five variations of It, that is, 1) to raise the original melody one octave higher as It is, 2) to add decorative notes or other melodies, 3) to abbreviate, 4) co abbreviate and vary, and 5) to vary completely, the cases of 1) and 2) take the general parts of it. That is, should be pointed that the two instruments show a contrasted figure between each other: the varing melody of the haekum becomes more simple, but that of the piri becomes more complicated. In another saying, though the varing melody of the haekum may be expected as to become more complicated also than its original melody when we apply the phenomenon that the varing melody of the flute is more complicate than the original melody of it to the haekum without any alteration, the haekum becomes rather simpler in its varing memody on the contrary. The reason: in the haekum technique, when we sound such higher hotes as 'Namryu' , 'Chungwhangchong' and 'Chungtaechu', the higher notes become to be far beyond our access. But, the piri 'has its own advantage that even said higher notes can sound In it merely by adjusting the tongue with the stream of breath: hence, there occur no significant difficulties in execution of them.;한국음악에서는 본래의 선율을 변화시켜 연주하는 방법중에 쇠는 연주법이 있다. 해금도 전통음악 곡목중에 쇠어서 연주하는 경우가 몇곡 있는데 그중 여민락의 쇠는가락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흔히 여민락을 연주할 때에는 단지 피리만 쇠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해금 역시 그 가락을 일부 쇠어서 연주한다. 본 논문에서는 해금원가락과 해금쇠는가락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해금원가락과 피리원가락과의 관계 그리고 피리원가락과 피리쇠는가락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해금과 피리의 선율이 어떻게 변화 발전해 가는가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해금원가락과 쇠는가락을 비교하여 보면 해금과 피리의 쇠는부분은 거의 동일한 부분에서 나타나고는 있지만 해금은 ① 원가락을 그대로 옥타브 올려서 쇠는방법 ② 원가락일부를 생략해서 쇠는방법 ③ 원가락일부는 생략하고 일부는 변화해서 쇠는방법 ④ 피리쇠는 가락과 동일하게 쇠는방법의 네가지 형태가 보이는바 그 중 옥타브를 그대로 올리는 방법과 원가락일부를 생략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즉 해금에서는 원가락보다 쇠는가락이 훨씬 간단해진다. 둘째, 해금과 피리의 쇠는부분이 거의 동일한 위치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두 선율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장식음을 조사해본 결과 해금원가락 보다 피리 원가락은 'ㅅ(□)' 'ㄱ' 'ㄴ' '□' 'ㄷ' '□' 'N' '□' 'h'등의 장식음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피리원가락과 쇠는가락을 비교해 보면 피리는 ① 원가락을 그대로 옥타브 올리는형 ② 첨가형 ③ 생략형 ④ 생략·변화형 ⑤ 완전 변화형의 다섯가지 방법으로 소개되는데 원가락을 그대로 쇠는형과 원가락에 가락이나 장식음을 첨가한 첨가형이 대부분이다. 즉 피리는 원가락에 비해 쇠는가락이 오히려 복잡해진다. 해금에서는 쇠는가락이 더 간단해지는 반면에 피리에서는 쇠는가락이 복잡해지는 두 악기간의 서로 상반되는 모습이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다시 말해서 피리는 원가락보다 쇠는가락이 훨씬 복잡한데 피리의 이러한 현상을 해금에서도 그대로 적용한다면, 해금도 원가락보다 쇠는가락이 훨씬 복잡해져야 하는데 해금은 반대로 쇠는가락이 오히려 간단해진다. 그 이유는 해금연주법상 南呂이상 淸黃鍾 淸太簇등의 높은음을 낼 경우에는 力按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음의 선율을 연주하기가 어렵게 된다. 그러나 피리는 그 연주법상 南呂이상 淸黃鍾 淸太簇 등의 높은음을 낼 때에 서(舌)를 입김으로만 조정하면 되기 때문에 연주법상 높은음을 내기 어려운 해금보다 훨씬 유리한 주법을 피리가 지니고 있으므로 연주법상 별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