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5 Download: 0

이중구조(Ambi-Structure)에 의한 표현성 연구

Title
이중구조(Ambi-Structure)에 의한 표현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xpression by ambi-structure
Authors
배윤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이중구조표현성Ambi-Structur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화진
Abstract
20C 현대 미술의 흐름은 형식적으로는 구상과 추상, 내용적으로는 주관성과 객관성이라는 개념들의 표현이라는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추상 미술은 흔히 이중성으로 설명되어 왔다. 추상 미술은 크게 개인의 감정과 직관에 의해 주관성을 강조한 서정적 추상과 이지적·합리적 정신에 의한 최소한의 형태와 색채를 가지고 표현하는 기하추상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이러한 추상 미술의 흐름은 1950년대 이후 Abstract Expressionism, Informel, 60년대의 Pop Art, Minimalism, Support/Surface에 걸쳐 70년대 Conceptual Art, Neo Expressionism의 등장은 Minimalism과 Modernism에 대한 반동으로 개념적이고 양식적인 새로운 영역이 등장되었다. 최근에 80년대 현대 미술의 경향은 주도적인 양식이나 형식이 없고 정설적인 비평의 입장도 없는 가운데 현행 예술 추세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자유로운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이들은 다원주의(Pluralism) 또는 후기 모더니즘(Post Modernism)이라고 불리운다. 이러한 상황의 인식하에서, 본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다차원적인 이미지의 표현, 즉 이질적인 요소들의 대립과 공존은 회화에 있어서 다원적이라는 말로 사용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내용적인 면, 방법적인 면, 본인 작품의 분석으로 나누어 구성되며, 먼저 내용적인 면에서는 본인의 작품 제작에 있어서 동기가 되는 이원론적인 양상의 흐름을 생활환경 속에서 전의된 구조적인 형(形)과 본인의 경험에 의해 내재된 감성적인 경험으로서의 내적 공간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두 요소의 절충을 회화에 있어서 이중성이 갖는 대립과 공존이라는 측면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방법적인 면에서는 본인이 작품 제작에 있어서 이성적인 사고에 입각하여 표현한 구조적인 형(形)을 초기의 사각의 나열에서 시작되는 격자형(Grids)에서 수직과 수평적인 색띠(Stripes) 작업으로의 전환과, 동적인 공간의 표현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캔버스 작업에 있어서 여러개의 캔버스를 연결하는 Diptych형식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품 제작에 있어서 표현된 이질적인 요소들을 회화의 이중성의 공존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The trend of modern art has been developed through concreteness and abstraction in form, and through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n contents in the 20th century. Meanwhile this sense of duality is the main point commonly explained in the current abstract art. Abstract art can be largely differentiated between emotional abstraction, which put emphasis on subjectivity based on personal feeling and intuition, and geometric abstraction expressed by form and color based on intellectual and rational minds. Such trend of abstract art had gone through Abstract Expressionism and Informel in late 1950s, Pop Art, Minimalism, and Support/surface in 1960s, but the advance of Conceptual Art and Neo Expressionism in 1970s as a reaction to Minimalism and Modernism became conceptual, formative compass. In latest 1980s the tendency of modern art had no leading mode and form. and did not establish its own firm critic viewpoints. In other words, the art trend of modern era was unrestricted. That is what we call Pluralism or Post Modernism. Under these backgrounds, the expression of multi-dimensional image in my works, namely, opposition and co-existence of heterogeneous factors, can be regarded as pluralistic ones in paintings. This study consists of a theoretical aspect, a methodological aspect, and analyses of my own works. In a theoretical aspect, dualistic trends which motivated my working has been studied by means of structual form transferred from living circumstances and inner space drawn in emotional stages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Mutual compromise of these materials was experimented to convey the phase of opposition and co-existence of duality in my paintings. In methodological aspect, it will be explained how structual form carried by rational thoughts progresses from grids and was initiated from an array of squares through stripes position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how shifting space can be produced. For further reference and explanation for the effect of canvas function Diptych format is supplemented. In this study, heterogeneous materials represented in my works, will be re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co-existence and duality In a pai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