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꽃의 형상을 응용한 의상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꽃의 형상을 응용한 의상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Costume Design Applying Floral Image
Authors
문영순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Keywords
의상디자인형상응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문숙
Abstract
자연은 누구에게나 정신적 물질적인 풍요함을 부여함으로써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자연에서 관찰하고 발견한 것을 독창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해왔고 감동적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왔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간단한 선이나 형태로, 생활용품에서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계획하고 표현하였으며, 조형예술로서 미적가치 현상은 의상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자연의 형상중의 꽃은 가장 많이 애호되어 왔으며, 꽃을 표현하는 것은 자연과의 일치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꽃을 소재로 형태의 변형을 통해 의상에 반영함으로써, 의상의 조형예술로서의 추구와 표현기법을 개발하고져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자연과 조형의 관계, 자연대상의 관찰 및 변형, 표현 등에 관해 고찰해 보고, 꽃을 이용한 디자인의 발달배경과 변화, 꽃무늬의 내용 및 표현방법 등을 연구하여, 이를 근거로 실제작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작품은 실물 5점과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 3점으로 총 8점의 작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품은 꽃을 그 모티브(motive)로 선정하고, 꽃에서 느끼는 이미지의 표현기법을 위해서 직물과 철사, 구슬, 로우프(rope),모피(Fur) 등을 소재로 조형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꽃의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내적 생명력을 가진 새로운 차원의 의상을 디자인 해보고져 하였다.;As Nature is rich enough to endow everman with spiritual and material things, man has created moving new world by expressing, originally and diversly, finding and observation in Natur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He has expressed and projected beauty of Nature with simple line and form in the architecture as well as the necessaries of life, phenomenon of aesthetic value as the formative arts is no exception in costume. Among the Figures of Nature, especially flower has been loved most deeply. And we can suppose that expression of flower means unanimity with Nature.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chnique of expression and pursuit of formative arts in costume. For the purpose of these intention, the present researeher, firs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odeling, observation, modification, and expression of natural object, secondly, looked into the development backgrounds and transformation of design using flower, in addition to, studied contents and method of expression of floral design, lastly, made real substances on the basis of these studies. 5 real substances and 3 illustrations, totally 8 works have been produced in this way. The presented researcher selected flower as motive of real substances and made them with diverse materials like textile goods, wire, and beads for the purpose of expressional technique of image felt in flower. The present researcher and maker emphasized (formative quality) and intended to present modeling effect. With diverse expressional method in production and designed new dimentional costume having inner vitality by expressing floral im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