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漁隱譜의 還入 硏究

Title
漁隱譜의 還入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F HWANIP IN OUNBO
Authors
金南恩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어은보환입음악음악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善漢
Abstract
尾還入과 細還入은 步虛子에서 파생된 曲으로서, 細還入은 尾還入을 8度 올려서 연주하고, 연주법상 가락을 약간 바꾼 曲이다. 이 曲이 步虛子에서 分立되어 나타나는 최초의 樂譜는 『韓琴新譜』(1724)이며, 이 樂譜에 수록된 尾還入과 細還入의 명칭은 步虛子本還入과 보허자 數還入이다. 그리고 『韓琴新譜』이후 여러 古樂譜에는 還入이 몇 가지 다른 명칭으로 전해오는데, 이를 살펴보면 『漁隱譜』(1779)에서는 本還入과 小還入 大還入으로 전하고, 『遊芸志』(18세기말)에서는 大絃還入, 『三竹琴譜』(19세기 중엽)에서는 本還入·小選入이란 명칭으로 전한다. 그리고 『玄琴五音統論』(1886)에서는 本還入과 細還入으로 되어있고, 『竹醉琴譜』(1890)에는 孱道道里로, 『園客遺韻』(연대미상)에는 本還入과 細還入으로 되어있다. 또한, 『學圃琴譜』(1910)에서는 本還入과 細還入으로 전하며, 『方山韓氏琴譜』(1916)에는 下聲細還入으로, 『玄琴譜』(연대미상)에서는 壽延長之曲·頌九如之曲 등의 명칭으로 전하고 있다. 이상 古樂譜 中 『漁隱譜』는 肅宗과 英祖무렵에 거문고의 명인으로 알려진 金聖器의 가락을 後에 그의 弟子들이 편집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合字譜와 肉譜로 된 이 樂譜는 一名 『滄浪譜』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다른 古樂譜와는 달리 세 종류의 還入이 수록되어 있다. 그것은 本還入·小還入·大還入으로서, 本還入과 小還入이라는 명칭은 다른 古樂譜에서도 볼수 있지만, 大還入은 『漁隱譜』에만 나타나는 曲이며, 이 曲에 관한 연구는 前無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漁隱譜』의 本還入과 小還入에 대해서도 現行 尾還入과 細還入과의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本人은 『漁隱譜』이후로 탈락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는 大還入이 어떠한 曲인지를 밝히고, 『漁隱譜』의 本還入과 小還入이 과연 現行 尾還入과 細還入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現行 尾還入·細還入과 『漁隱譜』의 本還入·小還入을 살펴보고, 그 다음 本還入·小還入·大還入의 旋律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本還入과 尾還入이 同一曲이고, 小還入과 細還入이 同一曲임이 확인되었으며, 『漁隱譜』에만 전하는 大還入이 小還入을 거문고의 大絃만으로 연주하도록 變奏된 曲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小還入과 大還入에 나타나는 符號 "□"와 "□"은 □의 표시로서, 小還入에서는 "□"이 7□에, "□" 은 8□에 해당되며,大還入에서는 "□"이 2□에, "□"은 3·4·5□에 해당(주로 5□에 해당 됨)된다는 점을 알게되었고, 停聲(丁)이란 音의 持續表示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Mihwanip(尾還入) and sehwanip(細還入)are the melodies derived from pohoˇja(步虎子), and the Sehwanip is played by raising scales of ponhwanip(本還入) and changed the melody for the way of performance. The very first musical score appeared ofter being separated independently from the pohoˇja is 「Hangumsinbo」(韓琴新譜) (1724) and the name of Mihwanip and Sehwanip recorded in the musical score pohoˇja - ponwanip(步虎子本還入) and pohoˇja - suhwanip(步虎子數還入). And the name of Hwanip(還入) haw been introduced as some names in the old musical scores since Hangumsinbo, such as 「OˇUˇnbo」(漁隱譜) (1799) - pohwanip(本還入). Sohwanip(小還入)·Taehwanip(大還入), 「Yuyeji」(遊芮志) (the end of the 18th century) - Taehyonwanip(大絃還入), 「Samjukguˇmbo」(三竹琴譜)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 pomhwanip·sehwanip(大絃還入), 「Chukch'winguˇmbo」(竹醉琴譜) (1890) - chandoduri (孱道道里), 「Woˇngaekyu un'」(園客遺韻) (the times unknown)- ponhwanip. Sehwanip, 「Pangsan-Has'igumbo」(方山韓民琴譜) (1916)- Hasoˇngsewanip, 「Hyoˇnguˇmbo」(玄琴譜) (the times unknown) - Suyoˇnjangujigok(壽延長之曲)·Songuyoˇjigok, (頌九如之曲) Among them, the 「OˇUˇnbo」 is estimated to be compiled the melody of Kim, Soˇng - gi, Known as the master of koˇmun'go(玄琴) during the period of king Sukjong and Yoˇngja, by his disciple. This musical score is consisted of Hapjabo(合字譜) and Yukpo)肉譜), and it is also called as「Changnangbo」(昌浪譜) as alias. Not ike other old musical notes, three kinds of Hwanip are recorded in it. they are ponhwanip. Sohwanip and Taehwanip, and the name of Taehwanip can be seen only in「OˇUˇnbo」, while the ponhwanip and Sohwanip can be seen in other old musical scores. And the studies on this melody Taehwanip have not been performed at all, and also the ponhwanip and Sohwanip in 「OˇUˇnbo」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studied with Mihwanip and Sehwanip. Therefore,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manifest what the melody Taehwanip is, which has been omitted and not introduced since 「OˇUˇnbo」, and to examine the present Mihwanip. Sehwanip and ponhwanip in 「OˇUˇnbo」 to confirm wheather the pon-hwanip and Sohwanip in 「OˇUˇnbo」are the present Minhwanip and Sehwanip. And then the melodies of ponhwanip. Sohwanip and Taehwanip were been compa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nhwanip and Mihwanip were indentical melodies, while the Sehanip were the same melodies. In addition, the Taehwanip which is introduced only in 「OˇUˇnbo」 was the variation for being played the Sohwanip by the Taehyoˇn(大玄) of KOˇmun'go only. One additional aspect of the results that the code of “□” and “□” seen in the Sohwanip and Taehwanip were the manifestations of Kae(□), and that in the Sohwanip“□” was the Kae 7 and “□” was the Kae 8, “□” in the Tachwanip was the Kaw 2 and “□” was the Kae 3·4·5.(mainly the Kae 5). and that they also must have been interpreted as the continuous manifestation of the sound of Choˇngsoˇng(停聲)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