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8 Download: 0

全鳳健 詩에 나타난 불 이미지의 變容硏究

Title
全鳳健 詩에 나타난 불 이미지의 變容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FIGURATION OF 'FLAME IMAGE' APPEARED IN THE POETRY BY JEON, BONG-KEON
Authors
朴旼英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전봉건이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자
Abstract
본 논문은 全鳳健 詩世界의 내적 구조를 그의 詩 전작품에 걸쳐 나타나는 불 이미지의 變容을 중심으로 체계화시키고, 상상력의 원형의식과 지향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Ⅱ장의 A에서는 전봉건 詩의 상상력의 출발점으로서의 '종다리'가 불 이미지로 변용되어 상승, 天上에서 수직의 높이를 획득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B에서 이 새는 '노을' 속에서 타올라 '핏빛'이라는 生命의 무게를 지닌 색채를 부여받는다. 새는 자신의 屈光性으로 노을의 불에서 타올라 피 이미지로 전이되고 서쪽 하늘이라는 공간이 주는 하강의 지향성을 갖게 된다. C에서는 지상의 불이 변용되어 나타난 피와 꽃의 이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봉건의 詩에서 피는 生命의 '핏빛'과 전쟁과 죽음을 상징하는 '검은빛'으로 나타나며, 이 두 이미지는 대립의 긴장을 거쳐 검은 피에서 向日性을 지닌 '핏빛 꽃'이 피어남으로써 변증법적 통합을 이룬다. 죽음 위에서 피어난 핏빛 꽃의 生命力에 대하여, 시인은 그 힘의 근원이 '女人의 母體'에서 비롯된 것임을 인식한다. D에서는 女性化된 불과 그 불에 대한 시인의 접근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시인은 꿈 속에서 자신의 아니마(Anima)의 인도로 죽음과 재생의 순환을 보여주는 母性的 불을 찾아 고향으로 가는 한편, 生命力의 일환으로서 女人이 지닌 에로스를 추구하고 生命의 불이 타오르는 母胎에까지 들어가 無化를 꿈꾼다. 이때 나타나는 것이 '母胎(자궁) 회귀본능'이다. 母胎인 '紺靑빛 불의 바다'에서 타오름으로써 새 生命으로의 轉換을 시도하는 시인은 불에 대한 사랑과 존경, 에로스적인 욕망과 타나토스적인 본능이 함께 타오르는 '앙페도클 콤플렉스'를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전봉건의 상상력의 원형으로서의 이 앙페도클 콤플렉스는 새의 屈光性이나 핏빛 꽃의 向日性 등 시인의 詩작품에 나타나는 詩的 대상들의 불에 대한 지향성을 종합해주며, 불타오름의 소멸에서 새로운 가치로 탄생되는 재생의 기회를 창조한다. E에서는 앙페도클 콤플렉스로 인하여 타올랐던 불이 石化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돌 이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봉건의 돌은 불 속에서의 죽음을 완성시킴과 동시에 그 소멸의 과정에서 새 生命으로 轉換한 '存在의 씨앗'이며, 이 돌 안에 石化된 불은 물과 피라는 매개체에 의하여 '꽃'으로 피어나고 '불새'가 되에 비상한다. 따라서 불 이미지의 변용을 통하여 살펴본 전봉건 詩의 상상력의 구조는 종다리의 불새로서의 비상에서 시작하여 다시 불새로 돌아오는 하나의 '순환체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승하는 불의 力學性에 의하여 가벼움을 지향하는 전봉건의 詩世界는, 침묵하는 돌 속에 石化된 불의 무거움을 금빛·은빛의 '피리소리'로 확산시킨다. 이러한 피리소리는 전쟁과 죽음을 극복하고 평화와 에로스의 세계를 열어주는 '오르페우스'의 음악소리로, 시인 자신이 지향하는 詩世界를 완성한 이미지라고 볼 수 있다.;This thesis has for its object, with laying stress of the 'flame image' appeared in the poetry of Jeon, Bong-Keon, to illuminate the archetype and the directivity of imagination by the poet. The archetype of imagination by Jeon, Bong-Keon may be explained as 'Empe"docle Complex'. Because of this complex, birds and butterflies are ablazed in the flame, flowers are possessed with heliotropism, and the poetic persona enters into the mother's womb to seek for the flame. This means to convert it into a new life, not a simple extinction. The stone image of Jeon, Bong-Keon made by such an ablazing may be metaphorically allegorized as 'stone of life', and birds would be hatched out. With this process, the imagination by the poet begins from the 'fire bird' and eads with the fire bird as constitute a circulation system. In addition, it would transfigure the rising power of fire into 'the sound of a flute'. This sound of a flute is the musical sound of' Orpheus' that would overcome the war and the death and bring the peace and the world of Eros. This particular sound of a flute is the very image for which the poet Jeon, Bong-Keon would ultimately aim so as to perfect his poetic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