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한국인의 결혼구조 변화에 대한 분석

Title
한국인의 결혼구조 변화에 대한 분석
Other Titles
(THE) STUDY ON VARIANCE PATTERN OF MARRIAGE STRUCTURE IN KOREA : from 1935 to 1985 population census data
Authors
申惠誠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강교육과
Keywords
한국인결혼구조변화MARRIAGE STRUCTUR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初江
Abstract
본 연구는 가족보건 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위해 지닌 반세기동안의 (1935 ~ 1985년) 인구센서스 자료와 최근 20년간의 인구 동태 신고자료를 기초로, 15~34세 연령집단의 결혼구조를 분석 연구한 것이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5-34세군의 미혼구조중 남·녀 미혼율은 1935년에 각 35.7%, 12.8%에서 1985년에는 70.8%, 51.3%로 지난 50년간 남성이 약 2배, 여성은 약 4배로 증가했다. 같은기간 도시 대 농촌의 미혼율은 여성이 1935년에 각 27.9%, 11.5%에서 1985년에 52.0%, 46.1%이며, 남성은 1935년에 각 50.6%, 34.2%에서 1985년에 66.0%, 71.9%로서 지역별 결혼 패턴은 도시에서 보다 농촌에서 미혼율의 증가가 더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성별 결혼연령차이에서 남자가 3~4세 위인 점을 감안하여 1985년 미혼남녀간에 짝지울 대상으로 예상되는 성비는 남성이 30-34세, 여성이 25-29세에서 제일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어 1950년 6.25동란과 그 후에 나타난 「베이비 붐」은 현재의 결혼 양상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15-34세군에서의 남녀 사별율은 1935년에 각 1.2%, 1.7%에서 1985년에 0.1%, 0.4%로 지난 반세기동안의 사망력 개선과 사회적 안정도(전쟁, 소요의 유무를 …)가 통제해 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15-34세군의 남녀 이혼율은 1935년에 각 1.5%, 0.8%에서 1985년에 0.2%, 0.4%로 결혼의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성별 평균초혼연령는 1935년에 남성 21.2세, 여성 17.2세에서 1985년에는 27.8세, 24.7세로 점차 늦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섯째, 성별 지역별 평균초혼연령의 차이는 1935년 남성의 경우 도시 대 농촌이 각 24.1세, 20.1세였으나 1985년에는 27.8세, 27.9세로 상승되었고, 같은 기간중의 여성은 1935년에 도시가 19.8세, 농촌이 16.9세이고 1985년 25.0세, 24.0세로서 현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그 양상은 농촌에서 현저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국인의 결혼구조는 과거의 조혼성향에서 만혼으로 이행되고 있으며, 평균 34세 이전에서 결혼의 안정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the necessary data for the approach of family health by analyzing the marriage mechanism through the marital status and the age at marriage, with the materials of population census(1935-1985) and vital statistics during the past 20 years. The following results came from the analysis of population for the married people, age of 15-34. 1. During the past half century, the single rate increased about two and four times in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That is, 35.7% in male, 12.8% in female 1935, and 70.8% in male, 51.3% in female 1985.) During the same period, in urban and rural society, the single rate of female was 27.9%, 11.5% in 1935 and 52.0% 46.1% in 1985, and that of male was 50.6%, 34.2% in 1935 and 66.0%, 71.9% in 1985. This indicate that the increase in single rate is greater in rural society than in urban society. 2. In 1985, between male of 30-34 years and female of 25-29, the mating sex ratio of single population records the lowest point, which indicates that Korean War and "Baby Boom" had influence on marriage. 3. On the group of 15-34 years-old, the widowed rate decreased twelve times in male and four times in female during the past half century. (That is, 1.2%, 1.9% in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in 1935 and 0.1%, 0.4% in 1985) This indicates that the decrease in mortality and social stability (War etc...) had controlled the factor of bereavement. 4. The rate of divorce in the group of 15-34 years-old was 1.5% in male, 0.8% in female, in 1935 and 0.2%, 0.4% in 1985. 5. The singulate mean age at marriage in male and female was 21.2, 17.2% respectively in 1935 and 27.8, 24.7% in 1985. 6. In male, the singulate mean age at marriage was 24.1 in urban society, 20.1 in rural society in 1935 and 27.8, 27.9 in 1985. During the same period, in female, 19.8 in urban society, 16.9 in rural society in 1935 and 25.0%, 24.0 respectively in 1985. Especially, we see that the delay in the singulate mean age at marriage is greater in rural society than in urban society. On the above results, we see that the marriage structure in Korea has been transformed from tendency of early marriage to that of late marriage and the marriage stability was under the average age of 34.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