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준만-
dc.contributor.author이원경-
dc.creator이원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2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3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5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303-
dc.description.abstract최근에 많은 연구들에서 언어는 상징기능의 일부이며 상징놀이가 언어발달에 필수적이라고 제안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와 정상아의 조기 언어발달과 상징놀이에 대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정신지체아의 조기 언어지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그들의 언어발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지적 발달 수준이 같을 경우, 평균발화 길이가 한 단어 단계인(MLU: 1.0∼1.49) 아동들과 두 단어 단계인(MLU: 1.5∼1.99) 아동들간의 상징놀이 수행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언어 표현 수준이 같을 경우,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는 상징놀이 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는 평균 발화길이가 한 단어 단계인 정신지체아와 정상아 각 10명씩 그리고 두 단어 단계인 정신지체아와 정상아 각 10명씩 모두 40명을 대상으로 제시된 9개의 사물 가운데 7개 사물에 대한 아동들의 상징놀이 수행을 4가지 조건, 즉 표준사물, 유사사물, 비유사물, 무사물 조건에서 살펴보았다. 사물에 대한 아동의 수용어휘가 7개 미만일 경우를 위해 9개 사물을 준비하였다. 통계적인 방법은 t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도를 사용하였고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아 집단내에서, 한 단어 단계인 아동들과 두 단어 단계인 아동들간에 상징놀이 수행은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즉 두 단어 단계인 아동들이 한 단어 단계인 아동들 보다 상징놀이 수행이 의의있게 더 높았다. 2. 정신지체아 집단내에서, 한 단어 단계인 아동들과 두 단어 단계인 아동들간에 상징놀이 수행은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즉 두 단어 단계인 아동들이 한 단어 단계인 아동들 보다 상징놀이 수행이 의의있게 더 높았다. 3. 한 단어 단계 집단에서, 정신지체아 집단과 정상아 집단간에 상징놀이 수행은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두 단어 단계 집단에서, 정신지체아 집단과 정상아 집단간에 상징놀이 수행은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정신지체아 집단과 정상아 집단 모두 상징놀이 수행과 MLU간에 의의있는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언어발달은 상징놀이 수행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언어발달 수준이 같을 경우엔 정신 지체아와 정상아간의 상징놀이 수행에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언어발달 수준이 다를 경우엔 두 집단간의 상징놀이 수행에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지체아의 조기 언어지도에 있어서 비언어적인 인지훈련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Recently, many studys suggest that language is a part of symbolic function and symbolic play is necessary to language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language development and symbolic play behaviors in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 for the early language educ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symbolic play performance between the one word stage group and two word stage group in the same mental development level?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symbolic play performance between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group in the same language development level (MLU)? Subjects were 20 normal and 20 educable mentally retarded youngsters, 10 each at one word stage (MLU stage pre-I) and two word stage (MLU stage I). 7 of 9 objects were used to investigate children's symbolic play on 4 object substitute conditions (standard object, similar object, dissimilar object, no-object condition).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e word stage normal group and two word stage normal group. Two word stage norm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ymbolic play performance than one word stage normal group.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e word stage mentally retarded group and two word stage mentally retarded group. Two word stage mentally retard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ymbolic play performance than one word stage normal group.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ne word stage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group in symbolic play performance.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word stage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group in symbolic play performance. 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ymbolic play and MLU both normal and mentally retarded group. In conclusion,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and symbolic play performance.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uggest the necessity of non-linguistic, cognitive training. Thus,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is the necessity of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the early language educ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문제 및 가설 = 5 C. 용어의 정의 = 6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상징기능에 대한 이해 = 7 B. 정상아동의 언어와 상징놀이 = 19 C. 정신지체아의 언어와 상징놀이 = 29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대상 = 38 B. 검사도구 = 41 C. 검사 절차 및 채점 = 42 D. 결과 처리 및 분석 = 46 Ⅳ. 논의 및 제언 = 53 A. 논의 = 53 B. 제언 = 55 참고문헌 = 56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97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지체아동-
dc.subject언어발달-
dc.subject상징놀이-
dc.subject.ddc300-
dc.title정신지체아동의 조기 언어발달과 상징놀이의 관계에 관한 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Language Development and Symbolic Play of the Educable Mentally Retarded Children-
dc.format.pagev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