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춘희-
dc.contributor.author유동원-
dc.creator유동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2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3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301-
dc.description.abstract제왕절개술시 마취시행은 일반수술을 위한 마취와는 달리 임산부와 태아를 동시에 안전하게 하여야 하는 위험부담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위험율이 높은 임산부의 응급마취를 해야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 상태에 대해 수술전에 충분히 검사를 할 수 없기때문에 환자를 평가하기가 어려우며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에 따른 마취과적 문제가 있다. (Datta 및 Alper, 1980;Cosmi ,1981a). 임신한 경우에는 순환계, 호흡계, 소화기계 및 신장계 등에 여러가지 생리적 변화가 나타난다. 이로인해 일반환자와는 달리 흡입마취시에는 과량의 마취제가 흡입되기 쉬우며, 마취유도시 무호흡 상태에서 동맥혈산소 분압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고, 호흡성 알칼리증의 경향을 나타낸다. (Datta 및 AlPer, 1980; Albright, 1978b; 김 등,1986). 전신마취시에 임산부의 저산소증, 과호흡, 대동정맥의 압박으로 인한 저혈압, 마취제 과량투여 및 마취유도 분만시간지연 등에 의한 자궁과 태반의 혈액순환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신생아의 저산소증 및 산혈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Motoyama 등, 1967). 이에 저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 교실에서 기관내 삽관에 의한 균형마취하에 제왕절개술을 받은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산부의 마취유도직후 및 태아만출직후의 동맥혈 가스분석치는 PH, 이산화탄소분압, 염기과잉 및 산소포화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태아만출시 산소분압이 감소되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2. 신생아의 제대정맥혈 가스분석치는 PH 7.36 ± 0.04, 이산화탄소 분압 39.8 ± 3.7torr, 산소분압 36.8 ± 3.4torr, 염기과잉 -2.8 ± 0.7mEq/ℓ, 산소포화도 72.2 ± 5.8%였고, 신생아 제대동맥혈은 PH 7.31 ± 0.03, 이산화탄소분압 49.1 ± 4.8torr, 산소분압 25.9 ± 4.7torr, 염기과잉 -2.6 ± 0.6mEq/ℓ, 산소포화도 36.2 ± 3.4%였다. 3. induction-delivery time (이하 IDT라 칭함)에 따라 1군(6분이하), 2군(7-8분) 및 3군(9분이상)에서 각군의 마취유도직후 및 태아만출직후에 임산부의 혈액가스 분석치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4. IDT에 따른 1, 2, 3군에서 태아의 제대 정맥혈 및 동맥혈 가스분석치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 5. IDT에 따른 1분 Apgar점수는 1군(9.9 ± 0.3)에 비해 3군(8.8 ± 0.8)이 낮았고 통제학적 의의는 있었으나 임상적 의의는 없었다.;Anesthesia for Cesarian section entails many consideration not pertinent to surgical patients. The anesthesiologist is required to provide anesthesia for mother and fetus simultaneously and to perform emergency anesthe sia in high risk parturients without preoperative evaluation. Variable physiologic changes of pregnancy in cardiovascular respiratory, gastro-intestinal and renal system enhance the up-take of anesthetic gases and in apneic status, PaCO_(2) decreases significantly. During general anesthesia, by maternal hypoxia, hyperventilation, aortocaval compression of enlarged uterus and prolonged induction-delivery time, circulatory changes were resulted and fetal hypoxia and acidosis were induced. Kalapa et al (1971) and Gibbs (1981) reported that balanced anesthesia is safe for Cesarian section so long as the time from induction to delivery (IDT) is not prolonged. We observed the maternal arterial blood gases after induction, delivery and fetal umbilical arterial blood gases and venous blood gases in 30 parturients undergoing Cesarian section with thiopental-SCC-N_(2)O-O_(2) anesthesia (general balanced anesthesia). The relationship between IDT and apgar score is studied als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arturient's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fter induction and after delivery, didn't have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2. Blood gas analysis of umbilical vein of fetus was PH 7.36±0.04, PCO_(2) 39.8±3.7 torr, PO_(2) 36.8±3.4 torr, BE -2.8±0.7 mEq/l and oxygen saturation was 72.2±5.8%. Umbilical arterial blood of fetus was 7.31±0.03, PCO_(2) 49.1±4.8 torr, PO_(2) 25.9±4.7 torr, BE -2.6±0.6 mEq/l and oxygen saturation was 36.2±3.4%. 3. The results of blood gas tension and acid-base status of parturient according to IDT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all groups. 4. The results of blood gas tension and acid-base status of fetus according to IDT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all group. 5. Results of apgar score according to IDT, 1 minute apgar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not clinically. 5 minute apgar score v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A. 연구대상 = 3 B. 연구방법 = 6 Ⅲ. 연구성적 = 7 1. 임산부의 혈액가스 분석 = 7 2. 태아의 혈액가스 분석 = 7 3. IDT에 따른 임산부의 혈액가스 분석 = 7 4. IDT에 따른 태아의 혈액가스 분석 = 10 5. IDT에 따른 Apgar 점수 = 10 Ⅳ. 고안 = 14 Ⅴ. 결론 = 20 REFERENCE = 22 ABSTRACT = 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24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제왕절개술-
dc.subject전신마취-
dc.subject임산부-
dc.subject신생아-
dc.subject혈액가스-
dc.subject-
dc.subject염기-
dc.subject.ddc600-
dc.title제왕절개술을 위한 전신마취하에서의 임산부와 신생아의 혈액가스 및 산-염기 평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HANGES IN THE BLOOD GAS IN PARTURIENT WOMAN AND FETUS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FOR CESARIAN SECTION-
dc.format.pagevi, 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