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弘禎禧-
dc.contributor.author金春美-
dc.creator金春美-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0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9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5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967-
dc.description.abstract19세기 말 발레가 하나의 예술 쟝르로 온전히 獨立하지 못한 채 過湖의 길을 걷고 있을 때 발레를 Total Theater개념의 핵심적 위치로 複活시킨 것은 디아길레프 발레 룻스에 의해서이다. 이러한 거대한 役割을 해낼 수 있었음은 디아길레프(Serge Diaghilev) 자신이 예술에 대한 뛰어난 意志를 갖고 있었음에도 基因하지만 그당시 디아길레프의 의지를 뒷받침 해줄 수 있었던 가장 큰 힘인 天才的 據舞家들과 전설적 무용수들이 적절한 時期에 登場해 주었다는 사실이다. 天才란 태어날 때부터 남다른 能力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러한 才能도 敎育의 힘없이는 發揮될 수 없는 것이다. 러시아는 비록 발레 敎育 草創期에 유럽 등지에서 유능한 교사를 招聘하여 그들에게 依存했었지만, 그들을 통해 體系的인 敎育 制度의 確立과 貴族들의 아낌없는 補助로, 오늘날 발레사를 빛낸 天才나 傳說的인 人物로 일컬어지는 Michel Fokine, Vaslav Nijinsky, Anna Pavlova, Tamara Karsavina 들과 그 이외의 무수한 英才들을 키워내서 진취적 예술 감각이 키워질 수 있었다. 특히 Tamara Karsavina는 St. Pertersburg에 있는 Maryinsky Theater Imperial School이 갖는 엄격한 클레식 전통하에서 교육받았는데, 그당시 Imperial School의 주요 교사가 Gurdt Koslogg, Christian Johannsen, Enrico Cecchetti였다는 사실에 주의해 볼 때 3개의 학파 즉 러시아, 프랑스, 이태리 등의 테크닉을 고루 익혔다는 의미이다. 그러한 교육을 받아 무용수로서 완성된 칼사비나는 발레 룻스와 運命을 같이하면서 1910년대에 발전된 擴舞, 음악미술 등의 새로운 화합을 최초로 반영해서 드러냈다. 디아길레프의 발레 룻스가 公演한 作品을 時期的으로 구분해 보면 제1기는, 로맨틱 발레의 精神을 繼承한 印象的, 浪漫的, 異國的 愼向을 띠고 있고, 제2기는 니진스키에 의해 按舞된 昌險的인 발레와 모던 발레의 위대한 안무가중의 한사람만 Leonlde Massine의 등장으로 가장 예술적이며 現代的 作品 傾向으로 흘렀고, 제3기는 Nijinska와 Balanchine의 등장으로 超現實主義와 곡예적인쪽으로 이동했다고 볼 수 있는데, Karsavina는 이러한 발레 룻스의 변천과 함께 그 어떠한 작품에서도 그 작품이 요구하는 특성을 아주 잘 소화해 표현해냈다. 그리하여 칼사비나는 발레 룻스와 함께 시대에 뒤떨어져 있는 발레 형식에의 자유를 탐구하면서, 현대적 감각을 갖고 학문적인 춤으로 재구성하여, 표현해 냈다. 또한 1909년부터 1913년 사이의 Nijinsky와의 파트너쉽은 오늘날까지 그 類例를 찾아 볼 수 없는 전설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考는 첫째로, 발레의 黃金期라 일컬어지는 로맨티시즘의 사상을 새롭게 부흥시켰고, 둘째로, 혁명으로 인하여 마린스키의 찬란한 전통이 단절될 즈음 영국의 로열 발레단에, 마린스키의 傳統을 전해 주었고, 세째로, 포킨이 추구했던 idea의 세계를 具體化시켜 새로운 러시아적 발레의 形成을 이루는데 일익을 담당했으며, 네째로, 20C 초 발레사에 등장하는 최초의 발레리나였다는 점을 넘어서 男性 무용수 우위 시절 매너리즘으로 흐를 위기에서 드라마 발레를 이를 수 있게 해준 칼사비나의 예술성과 그 예술성을 통한 業績을 考察하여 봄으로서 현대 발레의 理想的 무용수로서의 모습을 찾아보았다.;When the ballet as an subordinate genre retrogresse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Diaghilev renewed all the ballet as a nuclear in the "Total Theatre". It was not only because he himself had a firm belief in art also because the artistic genirses and the gifted choreographers emerged at the very proper time. A genius is a man gifted great talent. Nevertheless, his talent could not be developed without power of education. From the very beginning of ballet education Russia depened upon foreign choreographers invited from other European countries. But, on the foundation of their systematical education and the suppout of Russian aristocrats, it produced a lot of great dancers such as Michel Fokine, Vaslav Nijinsky, Anna Pavlova, Tamara Karsavina and the other countless dancers, who could encourage the progressive artistic sense in Russia. Especially, Tamara Karsavina was the first classical ballerina that lead the ballet to the 20th century. She was educated under a riged classical at the Imperial School of the Marynsky Theatre in St. Pertersburg. Her principal teachers were Gurdt Kosloff, Christian Jobassen and Enrico Cecchatti, which meant that her training coverea all the three schools-Russian, French, Italian-of which Russian school is the parent of all classical school in the world today. As a result of that education she applied her great artistry to the new combination of choreography, music, and design which were developed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is century. In essince, the first period of the Diaghilev ballet, from 1909 to 1914, was marded by impressionostic, romantic and exotic trends. It was still in transition to twentieth - century ballet. By the end of this perosd it was under taking many daring experiments the second period, Ballet Russe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Nijinsky and Massine. The third period Ballet Russe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Nijinsky and Balanchine. Tamara Karsavina was played the role with a period. Moreover, Tamara Karsavina possessed all the qualities essential to the prima ballerina. Like Diaghilev, she sought to free the ballet from its anachronism and to renew it as an anchedemic dance with a modern out-look. In addition, Karsavina and Ballet Russes had a close relationshipwith Nijinsky and other geniuses. Particularly, a partnership as an unparalleled legendary one. In the this paper, I pursuit how Karsavina reconstructed the thought of Romanticism known as the golden priod of the ballet, hoe she passed the Marynsky tradition to the British Royal Ballet when its tradition was in the risk of extinction because of the Russian Revolution and what an important part she played in forming the new Russian Ballet by incarnating Forkine's idea. Accorkingly, I deal with the artistic world of Karsavina and her achievements through all her life and at the same time I try to find out a model of the Modern ballet in Karsaivin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연구의 方法 = 3 Ⅱ. 理論的 背景 = 5 A. 19世紀 末까지의 발레의 변천 = 5 B. 러시아 발레와 발레 룻스의 誕生 = 11 Ⅲ. 本論 = 17 A. 러시아의 발레 교육 제도 = 17 B. 칼사비나의 生涯와 藝術性 = 26 1. 칼사비나의 生涯 = 26 2. Karsavina의 藝術性 = 31 C. 칼사비나의 업적 = 36 1. 1909∼1919 년의 파리 씨즌 = 36 2. Karsavina School = 45 D. 현대 발레에 미친 영향 = 51 Ⅳ. 結論 = 54 參考文獻 = 57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80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Karsavina-
dc.subject발레-
dc.subject러시아의 발레교육제도-
dc.subject.ddc700-
dc.titleTamara Karsavina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amara Karsavina-
dc.creator.othernameKim, Choon Mi-
dc.format.pagevii,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