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건강보호행위 (Health-Protective Behavior)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건강보호행위 (Health-Protective Behavior)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TUDENT'S HEALTH-PROTECTIVE BEHAVIOR (HPB)
Authors
허미영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강교육과
Keywords
대학생건강보호행위health-protective behavior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文仁玉
Abstract
사회·문화·경제 및 의학의 발달은 건강의식을 고조시켜, 질병이 발생된 뒤 질병치료에만 급급하던 과거와는 달리, 건강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최상의 건강을 향유하려는 매우 적극적인 건강태도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현대 보건의 연구방향도 건강행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가지로 노력하여 왔다. 본 연구자는 건강행위를 설명하려는 한 방편으로 선진외국에서 연구·개발중인 건강보호행위(Health-Protective Behavior) 개념을 우리나라에 소개하고, 건강보호행위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1988년 4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시내 소재 7개 대학교 9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건강보호행위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은 전공(계열)·성별·생활형편·부모님의 교육 정도 등이었다. 2. 건강보호행위에 영향을 주는 건강신념 변수는 건강관심도와 유익성이었다. 3. 또한 현재의 건강상태는 건강하고, 질병이 발생했을때 치료를 잘하는 사람일수록 건강보호행위도 잘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 다음을 제언한다. 1. 외국 및 국내의 여러 연구에서 건강신념모형으로 건강행위 및 치료지시 이행을 설명 하기에는 변수가 다양하지 못하고, 단독변수의 설명력이 낮아 그 한계성이 지적되었으므로, 앞으로의 건강신념 모형을 이용할 경우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고, 건강신념 모형만으로 건강행위나 치료지시 이행을 설명하려는 연구는 지양되어야 한다. 2.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보호행위 모형을 개발하였으므로, 일반성인을 대상으로 건강보호행위 모형을 개발하려는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wo folds; the first was to introduce HPB-concept and the second to develop HPB-Model through an identific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HPB. The data on which the analysis was based resulted from a survey of 933 college students of seven universitie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X-test,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ajor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HPB and its clusters were major field, sex, economic level and degree of parents' education. Other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rade, age, current residence, number of family had no great effect on the HPB and its clusters. 2.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ymptom and HPB, the non-symptom group had strong health concerns and benefits. Otherwise, the symptom group expressed more concern on susceptibility and severity than the non-symptom group. 3. In this stud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major variable which have effect on each cluster.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re health concerns and benefits. This means that both health concerns and benefit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promote the HPB. 4. Path Analysis using recursive model was carried out to identify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health conditions on the HPB. Conclusively, it was pointed out that recursive model was not appropriate for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