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태련-
dc.contributor.author박경숙-
dc.creator박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0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4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Sex-role Identity)에 따른 심리적 적응 및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울러 각 영역간의 지각차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4개 대학교와 지방의 2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성역할 정체감의 측정은 Bem Sex Role Inventory(B.S.R.I.)를 자아존중감은 정원식의 자아개념검사(Self-Concept Scale)를, 사회적 적응도는 정원식·김호권의 성격진단검사(대학생·성인용)중 적응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으로는 t-test, One Way ANOVA, Two Way ANOVA, 그리고 X^(2)검증을 사용하였고, 추후분석으로 Scheffe´ Test를 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적응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r을 산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역할 정체감 유형분류 실제적 나의 영역에서 남녀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역할 정체감의 유형은, 양성형, 미분화형, 여성형, 남성형의 순서로 수가 많았다. 또한, 사회적 나의 영역에서는 양성형, 미분화형, 남성형, 여성형의 순서로 수가 많았다. 이것을 성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실제적 나와 사회적 나의 두 영역에서 우리나라의 대학생은 영역별로 성역할 정체감을 동일하게 지각하지만, 두 영역에서 자신과 반대되는 성유형을 가장 적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성역할 정체감과 자아존중감 우리나라의 대학생은 양성형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고, 미분화형의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향성·여향성 모두 높은 집단이 더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고 있어서, 자신을 보다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성역할 정체감과 사회적 적응도 우리나라의 대학생은 양성형의 사회적 적응도가 가장 높고, 미분화형의 사회적 적응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향성·여향성 모두 높은 집단이 더 높은 사회적 적응도를 갖고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회적인 적응을 잘한다고 볼 수 있다. 4. 영역별 지각에서 일치-불일치집단 성역할 정체감의 영역별 지각에서 남녀 대학생 모두 일치집단이 불일치집단 보다 휠씬 많았지만, 남·녀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영역별 지각에서 일치·불일치의 여부가 자아존중감이나 사회적 적응도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5.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적응도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적으로 적응을 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sex-role identity and to present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in each range. For this study, a group of college men and women from 4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from 2 universities in other areas was randomly sampled. Three and a half hundred available data collected from that group were used through this study. The measurement of sex-role identity was accomplished through use of the Bem Sex Role Inventory (B.S.R.I.), and self-esteem through the Self-Concept Scale by Won-Sik Jung. Finally, the Adjustment Scale from Personality Diagonistic Test proposed by Won-Sik Jung and Ho-Kweon Kim was employed to measure social adjustment. Throughout this study t-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chi-square techniques were carried out for the pre-data analysis, and Scheffe' test was used for the post-data analysis. The Pearson's product moment coefficient r was also calculat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lassification of sex-role identity type In "real self", sex-role identity type perceived by college man and women showed that androgyny type was the highest scores, undifferentiated type the second highest scores, femininity type the third highest scores, and masculinity type the lowest scores, respectively, and that in "social self", androgyny type was the highest scores, undifferentiated type the second highest, masculinity type the third highest, and femininity type the lowest scores, respectively. Classified this result according to gender, Sex-role indentity type equally perceived by college men and women in both "real self" and "social self", but least perceived gender type opposed to theirs. 2.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In college men and women, the self-esteem of androgyny type showed the highest scores, and that of undifferentiated type presented the lowest scores. It was found that a group of college men and women having high masculinity and femininity perceived itself more positively, since it possessed high self-esteem. 3. Sex-role identity and social adjustment In college men and women, the social adjustment of androgyny type was the highest, but that of undifferentiated type the lowest in sores. It was found that a group of college men and women having high masculinity and femininity adjusted itself more effectively in society, since that group had higher social adjustment. 4. Consistent and inconsistent groups in perception between both ranges In perception between "real self" and "social self", consistent group's showed higher than inconsistent group's for all college men and wome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nsistency or inconsistency had no effect on both self-esteem and social adjustment in "real self" and "social self" 5. Self-esteem and social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self-esteem, the better social adjus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성역할 정체감 = 3 B. 성역할 정체감과 심리적 적용 = 5 1.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 = 5 2. 성역할 정체감과 심리적 적응 = 6 3. 지각차와 적응 = 7 C. 성역할 정체감과 사회적 적응 = 8 D. 자아개념과 사회적 적응의 관계 = 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1 A. 연구대상 = 11 B. 측정도구 = 11 C. 실시절차 및 통계적 분석 = 13 Ⅳ. 결과 및 해석 = 16 A. 성역할 정체감의 유형분류 = 16 1. 영역별 성역할 정체감의 유형 = 16 2. 남·녀 대학생의 영역별 비교 = 17 B. 성역할 정체감과 자아존중감 = 19 C. 성역할 정체감과 사회적 적응도 = 25 D. 영역별 지각에서 일치집단과 불일치집단 = 30 1. 대학생의 영역별 지각에서 일치집단과 불일치집단 = 30 2. 영역별 지각에서 일치 - 불일치집단의 자아존중감 = 31 3. 영역별 지각에서 일치 - 불일치집단의 사회적 적응도 = 32 E.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적응도 = 33 Ⅴ. 논의 및 결론 = 35 *참고문헌* = 38 부록 = 44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78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대학생-
dc.subject성역할 정체감-
dc.subject심리적 적응-
dc.subject사회적 적응-
dc.title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이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s According to Sex-Role Identity in College Students-
dc.creator.othernamePark, Kyeung-Sook-
dc.format.pagevii,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