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은-
dc.contributor.author이경숙-
dc.creator이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4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94-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was purposed to find out effect of stimulation variables on task performance of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10 second-grade hyperactive children and 10 second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esent experiment. The subjects in each group screened through the rating scale of hyperactivity and intelligence scale in pretest. Between subject variables were hyperactivity group and normal group. Within subject variables were locuc of stimulation at it were, no-stimulation, within-task stimulation (color), distal stimulation(auditory background). Dependent variables were task performance time and errors of three tasks: coding(A) subtest of KEDI- WISC, BGT, RNS task. Using a repeated-measure design, performance was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task performance time of coding (A) subtest of KEDI-WISC, hyperactive children performed slower than normals. 2. In task performance time of coding (A) subtest of KEDI-WISC, hyperactive children slower in no-stimulation and distal stimulation than in within-task stimulation. 3. In errors of coding(A) subtest of KEDI-WISC, hyperactive children made more errors than normals. Error analyses indicated poorer performance by hyperactive than by normals. 4. In errors of coding(A) subtest of KEDI-WISC, the locus of stimulation effected task performance in hyperactive children but did not in normals. Within-task stimulation(color) actally had a facilitative effect on performance in hyperactive children but none of stimulation did not effect on performance in normals.;본 연구는 학령기 과잉행동증아동의 과제수행에 있어서 자극조건 변인이 미치는 효과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과잉행동진단검사에 의해 과잉행동집단과 정상집단으로 판별되고, 지능검사에 의해 지능요인이 통제된 국민학교 2학년생들로써 각 집단마다 10명씩 선정되었다. 자극변인의 종류는 무자극조건, 과제내자극(색채)조건, 과제외자극(청각) 조건이었고, 시각 -운동 통합 특성의 3과제가 실시되었다. 자료처리는 반복측정요인으로 자극조건, 비반복측정요인으로 집단을 넣고, 3과제의 수행시간과 오차점수를 반복측정변량분석시켰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3과제 중 KEDI - WISC의 기호쓰기( A )과제 수행 시간에서 과잉행동집단이 정상집단보다 더 느린 수행시간을 보여 정상집단에 비해 수행능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2 . 3과제 중 KEDI - WISC의 기호쓰기( A )과제 수행시간에서 과잉행동집단과 정상집단간의 차이는 무자극조건과 과제외자극조건에서 있었다. 그러므로, 과제내자극(색채)자극 조건은 집단간의 수행능력 차이를 줄이는데 정적효과를 보였다. 3 . 3과제 중 KEDI - WISC의 기호쓰기(A)과제의 오차점수에서 과잉행동집단이 정상집단보다 더 많은 오차를 범했다. 그러므로 과잉행동집단의 수행능력이 정상집단에 비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4 . 3과제 중 KEDI- WISC의 기호쓰기(A)과제의 오차점수에 미치는 자극변인 효과를 살펴본 결과 , 과잉행동집단은 과제내 자극조건일 때 오차가 줄었고, 정상집단은 자극조건간에 변화가 없었다. 그러므로 과제내자극(색채)이 과잉행동집단의 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방법 = 10 A. 피험자 = 10 B. 도구 = 11 C. 실험절차 = 14 D. 실험설계 = 16 E. 종속변인측정 = 16 Ⅲ. 결과 = 18 A. 시간 = 18 B. 오차 = 21 Ⅳ. 전체논의 = 25 참고문헌 = 27 부록 = 33 ABSTRACT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48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과잉행동증-
dc.subject아동-
dc.subject과제수행-
dc.subject자극변인-
dc.title과잉행동증 아동의 과제수행에 있어서 자극변인이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Stimulation Variables on Task Performance of Hyperactive and Normal Children-
dc.creator.othernameLee, Kyung Suk-
dc.format.pagevii, 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