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태호-
dc.contributor.author奉志姬-
dc.creator奉志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7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4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4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57-
dc.description.abstract미술 표현은 대상을 그대로 모사는 재현에서, 대상과 내면세계를 의식적으로 결합하는 표현으로 발전하였으며, 더 나아가 대상과 분리된 내면 세계만을 표현하는 추상으로까지 발전을 보이게 되었다. 그러나 추상주의 화가들이 대상을 떠나 인간의 내면 세계를 표현하고자 하였으나, 그들의 표현 역시 완전히 대상을 떠날 수는 없었다. 그러므로 현대 작가 들이 부단히 시도 하려는 것은, 자연의 실체와 작가 자신의 내적 실체를 재 결합시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물체와 영혼, 물상과 심상, 구체와 추상의 새로운 결합을 꾀하고자 하는 일이다. 이러한 뜻에서 작가의 창조적 조형활동은 예술가의 미 의식을 통해서 본 대상을 주관에 의해 재 구성한 표현이며, 예술가에 의해 변형된 새로운 이미지의 시각화이다. 이러한 견지 하에서, 자연 풍경의 외관과 그것에서 얻어지는 내면의 심상을 결합한 표현에 충실하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자연 풍경 표현의 변천 과정에 대해 알아 보았으며, 그 변천 과정 중에서 부분적으로 그 내용이 유사한 추상 인상적 풍경 표현의 개념과 실제 작품에 대해 고찰 해 보았다. 또한 대상의 변형에 대해 그 개념과 과정을 살펴 보았으며 실예로서 몬드리안의 구상에서 추상으로의 변형 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의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작품 제작과 분석에 있어서 미흡하나마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충실한 표현만이 진정한 예술로서 인정 받을 수 있다는 예술의 기본자세에 대한 깨달음이 있었다. 둘째, 자연을 모사하기 보다는 자연 앞에서 꿈을 키우고, 자연을 추상하며, 작품 자체 보다는 창조하는 일 자체에 치중하라는 폴·고갱의 말에 공감하며, 작품 소재인 자연을 대하는 태도를 새로이 했다. 셋째, 조형상의 문제로서 자연의 외관 표현과 내면의 심상 표현의 결합이라는 과제는, 이번 일련의 작품 제작으로는 미흡할 수 밖에 없는, 계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중요하고 장기적인 과제 임을 인식 할 수 있었다. 넷째, 구체적이며 설명적이던 초기 작품의 표현이, 보다 생략되고 단순화 되는 추상성을 띄게 되는 과정으로, 비계획적이고 비의도적으로 자연스럽게 이행되었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제작과정을 통해 보다 다양하고 실험적인 소재와 기법의 탐구로서, 주제에 적합한 표현을 효과적으로 행하여야 함을 절감하였다. 이러한 결론과 더불어, 시대조류나 기교에 편승하지 않는 내면적 진실의 필연성에 따라, 보다 독창적인 작품 주제의 탐구로서, 보다 나은 작품 세계를 형성할 것을 희망해 보았다.;The mode of expression in art has developd from representation the imitation of the natural objects--to the concious combination of the objects and the artist's inner world, and then, to abstraction, dealing with the psychological world only, while excluding the objects of nature. However, despite their attempts to express the inner psychological world exclusively, leaving out the natural objects, the abstractionist artists failed to completely efface the concrete in their works. So it is quite natural that modern artists continue to make efforts to fuse the natural realities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realities; that is, they want a new method of fusing the objects and the artist's creative soul, the material phenomena and the spiritual ones, and the concrete and abstract. In this sense, the artist's creative activity necessarily includes the subjective expression of the objective phenomena through his/her aesthetic consciousness ; and it is also a vizualization of new images reformed in his/her mind. My intent in this thesis is to be faithful to the expression of my aesthetic vision, combining the externals of nature with the images aroused in my mind by them.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aforesaid purpose, this thesis reviews the development in the methods of expression in the landscapes, and also analyzes the abstractionist-expressionist concept of the landscapes, and some practical works. And as another theoretical basis, this thesis explores the concept, and the steps, of the artistic reshaping of the natural objects while presenting some examples of development from the concrete to the abstract. On these bases are foun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both my practical creative activity and its analysis. Firstly, I realized that it is the faithful expression of the artist's inner voice that ensures acknowledgment of true art to him/her. Secondly, I renewed my attitude toward nature, and came to sympathize with the artistic credo that the maker should concentrate upon expanding his/her dreams about nature and abstracting the concrete external nature ; and the maker should regard the creative activity itself as more important than its result. Thirdly, the task of fusing the externals with the images the artist's mind should be ceaselessly pursued since the task has not been satisfactorily completed in my present works. Fourthly, I found out that there happened an unintentional and unconscious change in my art, the change from the concrete and illustrative in my earlier pieces to the abstract and simple in recent ones. Fifthly, I felt an urgent need to search for the modes adequate for my theme through diverse experiments with techniques and subject matters. Along with these conclusions, this thesis reflects my genuine wish to form and maintain a more mature artistic vision ; and it will be achieved through the pursuit of more original subject matters, which my inner truth, I hope, will make possib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자연 풍경의 표현 = 3 1. 풍경 표현의 변천 = 3 2. 추상 인상적 풍경 표현 = 4 B. 대상의 변형 = 8 Ⅲ. 풍경의 이미지 표현 = 16 A. 표현대상 = 16 B. 형태와 색채 = 17 C. 표현재료 및 기법 = 18 Ⅳ. 작품 분석 = 19 Ⅴ. 결론 = 37 참고문헌 = 39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04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풍경-
dc.subject이미지표현-
dc.subject풍경표현-
dc.title풍경의 이미지 표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Landscapes Presented in Images-
dc.creator.othernameBong, Ji Hee-
dc.format.pagevii,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