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애-
dc.contributor.author전현민-
dc.creator전현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2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5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4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5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기 지향적 주의가 우울한 사람의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고 했다. 본 연구는 첫째, 우울한 사람이 우울하지 않는 사람보다 자신에 대해 부정적 정보처리를 더 많이 하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우울한 사람은 자신보다 타인에 대해 긍정적 정보처리를 더 많이 하는 반면,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타인보다 자신에 대해 긍정적 정보처리를 더 많이 하는지 알아보았다. 세째, 자기 지향적 주의가 위에서 말한 두 가지. 현상을 더욱 증가시키고 두드러지게 하는지 알아보았다. 56명의 여자대학생(28명의 우울집단과 28명의 우울하지 않은 집단)이 본 실험에 참가하였다. 각 집단은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14명)과 환경 지향적 주의 조건(14명)에 무선적으로 할당되었다.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의 피험자들은 거울 앞에서 "자신에 관한 작문"을 하였고, 반면 환경 지향적 주의 조건의 피험자들은 거울이 없이 "환경에 관한 작문"을 하였다. 그후 모든 피험자들은 각 평정과제의 질문에 따라 컴퓨터로 "예" 혹은 "아니오"반응을 하였다. 이러한 평정과제의 질문은 세가지 유형이었다 : 사적인 자기 참조(私的인 自己 ; 다음에 나오는 단어가 당신 자신을 묘사합니까? ), 일반적인 타인 참조(一般的인 他人 ; 다음에 나오는 단어가 일반적인 다른 사람을 묘사합니까? ), 그리고 공적인 자기 참조(共的인 自己 ; 다른 사람이 다음에 나오는 단어로 당신을 묘사합니까? ). 피험자들은 66개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 (33개의 긍정적 형용사와 33개의 부정적 형용사)마다 한 가지 평정과제의 질문을 받았다. 66번 평정을 하고나서, 피험자들은 3분동안 순서에 상관없이 그 형용사들을 기억하는 자유 회상 검사를 받았다. 실험전에 기억 검사가 있을 것이라는 지시는 주어지지 않았다. 종속변인 측정은 각 평정 과제에 따른 평정수, 회상 비율, 그리고 평정시간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를 위해 변량분석과 일련의 사전 비교가 행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Ⅰ. 긍정적 평정수와 부정적 평정수에서 a)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사적인 자기에 대해 부정적 평정보다 긍정적 평정을 더 많이 했다 (t_(13)=10.04, P<.001). b)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한 사람은 사적인 자기에 대해 긍정적 평정보다 부정적 평정을 더 많이 했다 (t_(13)=4.07, p<.01). c)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일반적인 타인에 대해서 보다 사적인 자기에 대해 긍정적 평정을 더 많이 했다 (t_(13)=5.12, P<.01 ). d)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한 사람은 사적인 자기에 대해서보다 일반적인 타인에 대해 긍정적 평정을 더 많이 했다 ( t_(13) = 6.23, P<.01 ). Ⅱ. 긍정적 회상과 부정적 회상의 비율에서 a)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한 사람은 우울하지 않은 사람보다 사적인 자기에 대해 부정적 회상을 더 많이 하였다 ( t_(26)=5.24, P<.01 ). b)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일반적인 타인에 대해서보다 사적인 자기에 대해 긍정적 회상을 더 많이 하였다 ( t_(13) = 3.45, P< .01 ). c)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한 사람은 사적인 자기에 대해서보다 타인에 대해 긍정적인 회상을 더 많이 하였다 ( t_(13) = 4.88, P<.01 ). Ⅲ. 긍정적 평정시간과 부정적 평정시간에서 a)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환경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보다 사적인 자기에 관한 정보를 더 빠르게 평정했다 ( t_(26) = 2.22, P<.05 ). b)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한 사람은 환경 지향의 주의조건에서보다 사적인 자기에 관한 정보를 더 빠르게 평정했다 ( t_(26) = 2.63, P<.05 ). c)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하지 않은 사람은 사적인 자기에 대해서보다 타인들에 대해 긍정적 평정을 더 느리게 했다 ( t_(13) = 5.19, P<.01 ). d) 자기 지향적 주의 조건에서 우울한 사람은 사적인 자기에 대해서보다 타인에 대해 부정적 평정을 더 느리게 했다. ( t_(13) = 2.66, P< .05 ). 요약하면, 우울한 사람은 자기 지향적 주의를 할 때 자신을 더욱 부정적으로 보고, 타인에 대해서는 좀 더 긍정적으로 보게 된다. 따라서 자기 지향적 주의는 우울한 사람의 비관적 사고를 일시적으로나마 증대시키고 강렬하게 한다.;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depressives and nodepressives' information processing of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istic adjectives about private self, general others, and public self.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se problems as follows : a) Depressives would shaw more negative information processing about private self than nondepressives. b) Whereas nondepressives would shaw more pos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bout private self than about general others, depressives would shaw more pos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bout general others than about private self. c) Self-focused attention would amplify or intensify the two Patterns before mentioned. 56 women university students (28 depressives and 28 nondepressive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experiment. The subjects in each group was assigned randomly in either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or environment focused attention condition. Subjects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completed a series of sentence completion task about the self in the front of mirror, whereas subjects in the environment focused attention condition completed a comparable sentence completion task about events in our environment without mirror. And then subjects responsed "yes" or "no" to each rating task question by pushing the button on computer. The task questions were of three types, corresponding to three Levels of processing: private self referent(i.e., Does the word describe you?), generalized other referent (i.e., Does the word describe general others?), and public self referent(i.e., Would someone who knows you or who had just met you say that the word describes you?). Subjects completed one rating task question for each of the 66 adjectives. Following the 66 rating trials, subjects were given 3 minutes to recall and write down, in any order, as many of the adjective they could remember. No mention of this memory component of the task had been made previously. The dependent measures were the number of rating, words recalled, and rating time for each type of rating task(level of proces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a series of planned comparison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Ⅰ. In the number of positive latins and negative rating a)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nondepressives shawed more positive rating than negative rating about private self (t_(13)=10.04, p< .001). b)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depressives shawed more negative rating than positive rating about private self (t_(l3) =4.07, p<.01). c)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nondepressives shawed more positive rating about private self than about general others (t_(13)=5.12, p<.01). d)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depressives shawed more positive rating about general others than about private self (t_(13)=6.23, p<.01). Ⅱ. In the ratio of positive and negative recall a)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depressives shawed more negative recall than nondepressives about private Self (t_(26)=5.24, p<.01). b)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nondepressives shawed more positive recall about private self than about general others (t_(13)=3.45, p<.01). c)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depressives thawed more positive recall about general others than about private self (t_(13)=4.88, p<.01). Ⅲ.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rating time a) Depressives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shawed faster rating time than in the environment focused attention condition about private self (t_(26)=2.63, p<.05) b) Nondepressives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shawed faster rating time than in the environment focused attention condition about private self (t_(26)=2.22, p<.05) c)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nondepressives shawed slower positive rating time about general others than about private self (t_(13)=5.19, p<.01). d) In the self-focused attention condition, depressives shawed slower negative rating time about general others than about private self (t_(13) =2.66, p<.05).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mean that self-focused attention tends to amplify or intensify the pattern that depressives view themselves negatively and others positively, whereas nondepressives view themselves positively and others nega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방법 = 11 A. 피험자 = 11 B. 도구 = 11 C. 실험 절차 = 13 D. 실험 설계 = 14 E. 종속 변인 측정 = 15 Ⅲ. 결과 = 16 A. 독립변인 조작 효과 = 16 B. 긍정적 평정수와 부정적 평정수 = 16 C. 긍정적 회상과 부정적 회상의 비율 = 22 D. 긍정적 평정 시간과 부정적 평정 시간 = 26 Ⅳ. 요약 및 논의 = 34 참고문헌 = 38 부록 = 45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49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기지향적주의-
dc.subject정보처리-
dc.subject우울증-
dc.subject평정수-
dc.title자기 지향적 주의가 우울한 사람의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of Depressives-
dc.creator.othernameJun, Hyun Min-
dc.format.pageix, 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