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혜정-
dc.contributor.author김효선-
dc.creator김효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2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4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23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life world of Korean men's focussing on their activities in "the informal sector of their life."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research was the framework of division of society into the public and domestic sector. Based on the frame the study centered on the interactions among the public sector (occupational life), the domestic sector (family life), and informal sector life which is very activated and typical of Korean men's life. Moreover, this paper tri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ir occupational life, family life, and informal sector, and grasp the intertwining relationships and social meaning of the informal sector. The target group for this purpose wsa Korean male company employees in middle class who are in their 30's and responsible for the subsistence of their family. The main methods of the research were questionnaire survey, in-depth interviews and the literary study including observations on their da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st of two themes as following : the one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en's occupational and family lives make the informal sector activated. And the other is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 encouraged informal sector including the influence on their occupation and family lives. That is, the occupational life tends to extend to the informal sector through which the employees can get the well adjustment in company in addition to doing the regular occupational duties. Furthermore, the authoritarian way of control imposed by their firms makes the informal sector necessary for them which functions to give relaxation. Occupation is the major sources of accomplishment, but at the same time it proved to be the sources of the frustration and alienation of men. In the meantime, family life has changed and needs men's participation in it, but the great part of men does not adjust to this change of family structure, rather adhere to the patriarchal consciousenss. As the result, their home is deteriorated as a resting place, and men's alienation from their family becomes remarkable. These characteristics shown in occupational and family life of company employees encourage/activate the informal sector as a medium category between their job and home. In the informal sector, various recreation activities centered on 'drinking' play a vital role in promoting the good interactions among the male fellows of their companyies In this informal sector, even the formal affairs of their job are carried, and the establishment of human relations ("fraternity") among their fellows is made, and strains caused by the job are released. These occur without any connection with their home. In this context,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l sector can be interpreted to have significance as a shelter of Korean men who experience the limitation in their self-realization through the jobs, and also fail to make an intimat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other words, men's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sector functions as an adjustment mechanism of Korean men who are alienated from their occupations and their own family. Korean men's life styles show some features, viz. they are subordinated to the occupational life concentrating the resources for achievement, and moreover alienated from the family life which falls into a mere relaxing place. So they participate actively in the informal sect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ector influences negatively on the social change since it aggravates the problems raised at the company and home. Furthermore the active participation in it enforces conformability to the occupational organization which keeps an irrational and authoritative way of control. And the concentration of men's emotional energy on activities in informal sector in Korea is an obstacle to narrowing emotional gap with their family members. Nowadays Korean men lead an oppressive life in general but, in fact, they accept the situation as a matter of course. This is deeply connected with the conservative circumstance of Korean society Men's world bloomed in the informal sector of Korean society weakens their consciousness of oppression and it operates as a mechanism to strengthen the conservative circumstance of the society. However a new type, though it is very few in numbers, is emerged, which try to harmonize a good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 and hoem. Men belonging to this type show a rational attitude toward the occupational life, maintain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and reduce the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sector. This means that men comes to realize the existential and social contradictions, and started intent the attempts are very feeble yet. This men's life style centering around the informal sector should be changed fundamentally in order to guarantee the whole life of men and connect the public sector to domestic one, without domination of each other. The various functions carried by the informal sector should be absorbed and included in the rational structure of their occupations and intimate interactions of family members.;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남성의 생활세계를 비공식 영역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공공영역과 가정영역으로 구분된 보편적인 사회분석들에 근거하고 비공식 영역이 활성화되어 있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직장생활과 가족생활, 비공식 영역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구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틀에 기반하여 직장생활과 가족생활, 비공식 영역에서의 활동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살피고 이 세가지 영역의 엇물림과 비공식 영역의 사회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주된 연구작업이었다. 연구는 주로 중류정도의 생활을 유지하여 생계부양자 역학을 하는 30대 회사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와 심층면접, 문헌분석, 일상생활에서의 관찰에서 얻어진 자료를 중심으로 행해졌다. 연구결과로서 나타낸 내용은 크게 비공식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의 특성과 직장생활 및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 비공식 활성화에 함축되어 있는 사회적인 의미로 요약될 수 있다. 직장생활은 공식적인 업무처리와 업무외적인 차원의 적응을 위해 직장생활을 비공식 영역으로 연장시키며 직장생활의 권위주의적인 통제방식은 억압감의 해소를 위한 공간으로 비공식 영역을 필요로 하게 된다. 직장생활은 남성의 자아성취의 주요한 근거가 되는 동시에 자아실현의 좌절과 소외감을 경험하는 영역으로 나타난다. 한편 가족생활에서는 남성이 가족관계에 친밀히 참여하기를 요구하는 가족구조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채 가부장적인 의식을 고집하여 가정이 휴식공간으로 전락하고 남성이 가족관계에서 소외됨이 두드러진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가족생활과 직장생활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성들은 가정과 직장의 중간범주로서 비공식 영역의 활동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비공식 영역에서는 술자리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오락활동이 남성동료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있으며 공식적인 업무수행과 직장동료와의 인간관계 형성, 직장생활에서의 얻어진 스크레스를 풀기 위한 활동이 가정과 분리된 채 진행된다. 비공식 영역의 활동은 직장생활에서 자아실현의 한계를 경험하고 변화하는 가족관계에 감정적으로 친숙해질 수 없는 한국 남성의 안식처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즉 비공식 영역의 활동은 직장이나 가족에게 소외되어 있는 한국남성의 과도기적 적응기제로 나타난다. 한국 남성의 생활세계는 성취적 자원을 집중시키고 있는 직장생활에 종속되고 휴식공간으로 전락한 가정생활에서 소외되며 비공식 영역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는데 비공식 영역의 활성화는 직장과 가정의 문제점을 더욱 강화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사회변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공식 영역의 활동은 직장 조직의 비공식적이며 권위주의적인 통제에 대한 순응주의를 강화하며 비공식 영역의 활동에 감정적 자원을 집중시키는 한국 남성의 습성은 가족구성원과의 감정적 거리를 좁히는 데에 장애요인이 된다. 현재 한국 남성은 감정적 거리를 좁히는 데에 장애 요인이 된다. 자신들의 억압상태를 당연시 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는 인권에 대한 의식이 깨이지 못한 사회전체의 부수적 분위기와 맥을 같이 한다. 비공식 영역에서 활성화 되고 있는 남성의 세계는 남성 자신의 억압상태에 대한 의식을 둔화시키며 사회전체의 보수화를 강화하는 기제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매우 소수이기는 하지만 합리적인 직작생활과 친밀한 가족생활을 유지하며 비공식 영역의 활동을 축소시킴으로써 직장과 가정의 조화를 지향하는 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공공영역의 운영을 위한 도구적인 존재로서 수단화되어 있는 실존적, 사회적 모순을 인식한 남성들의 의도적인 노력이 미약하게나마 시작된 것이다. 남성 자신의 총체적인 삶과 가정영역과 공공영역이 서로 종속됨이 없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사회변화를 위해서 비공식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국 남성의 세계는 변화의 대상으로 인지되어야 할 것이다. 비공식 영역에서 행해지던 여러 가지 기능들이 합리적인 직장구조와 친밀한 가족구성원과의 상화작용 속으로 흡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공공영역의 참여와 남성지배 = 4 B. 산업사회의 가부장제와 남성 = 21 C. 한국사회의 남성과 비공식영역 = 31 Ⅲ. 연구틀 및 연구절차 = 35 A. 연구틀 = 35 B. 연구철차 = 37 C. 그 밖의 자료들 = 40 Ⅳ. 연구결과 = 41 A. 설문지 응답자의 특성 = 41 B. 직장생활에서 나타나는 특성 = 42 1. 직장의 원리 = 42 가. 생계부양자 역할 = 42 나. 직장생활의 불안정성 = 46 다. 문화심리적 여건 : 비업적주의, 권위주의적 통계, 감투지향성 = 48 2. 직장생활에의 종속 = 57 가. 장시간 근무 = 57 나. 직장우선주의 = 60 다. '눈치'의 전략 = 62 3. 소결. 직장에의 종속과 자아실현의 좌절 = 64 C. 가족생활에서 나타나는 특성 = 66 1. 가정의 원리 = 66 가. 가족구조의 변화 = 66 나. 물리적 부재 = 67 다. 문화심리적 여건 : 가부장적 권위의식 = 71 2. 가정에서의 소외현상 = 76 가. 가정적인 남성에 대한 사회적인 낙인 = 76 나. 부부간의 상호작용의 단절 = 78 다. 의무적인 부성 = 83 라. 가정에 대한 형식적인 충실 = 87 3. 소결 : 휴식처로서의 가정과 남성의 소외 = 90 D. 중간 범주로서의 비공식 영역의 특성 = 92 1. 비공식 영역의 활동상태 = 92 2. 공식업무의 수행과 인간관계 형성 = 95 3. 감정적 휴식 = 98 가. 술자리의 연장 = 98 나. 억압감의 해소 = 101 다. 소외된 커뮤니케이션 = 104 4. 소결 : 직장과 가정에서 소외된 한국 남성의 과도기적 적응기제 = 107 Ⅴ. 종합과 분석 = 110 A. 세가지 영역의 상관관계 = 110 B. 비공식 영역 활성화의 사회적 의미 = 115 Ⅵ. 결론 = 123 참고문헌 = 129 부록 = 134 1. 설문지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 134 2. 가치관의 평균가 = 135 3. 설문지 = 138 ABSTRACT =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849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회사원-
dc.subject한국 남성-
dc.subject적응-
dc.subject소외-
dc.subject.ddc300-
dc.title회사원 생활을 통해서 본 한국 남성의 적응과 소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DJUSTMENT AND ALIENATION IN THE LIVES OF THE MALE COMPANY EMPLOYEES IN KOREA-
dc.format.pageviii, 1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