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구상회화에 있어서의 외적현실성에 관한 연구

Title
구상회화에 있어서의 외적현실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EXTERNAL REALITY IN FIGURATIVE PAINTING
Authors
임정은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구상회화외적현실성FIGURATIVE PAINTING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희영
Abstract
'형식'과 '내용'의 문제는 현대회화의 흐름에 있어서 수세기를 거치며 항상 반복되어왔다. 개인의 자율적 창조행위와 내면적 표출을 강조하면서 지나치게 주관주의로 흘러버린 추상미술은 보편적인 일상생활과 유리되어 지극히 자족적이며 심미적인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작품의 내용성에는 소홀한 태도를 취하였다. 이러한 추상미술에 회의를 느끼며 나타난 새로운 구상회화는 일종의 리얼리즘회화라 할 수 있으며, 단지 추상의 반대개념으로서가 아니라 변증법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Syn-These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진다. 1960년대 이후 Pop Art, Nouveau Realisme, Nouvelle Figuration등의 경향은 추상회화를 거침으로써 그 다양한 형식을 섭취한 새로운 화면을 보여주었고, 주로 인간적 상황의 전반적인 현실 이미지를 취급하였다. 예술이 창조적 행위임은 자명한 사실이지만 이는 단순한 개인의 창조적 행위인 동시에 개인이 처한 역사적 상황의 산물로도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은 인간이 즐겁게 받아들였으나 이제는 오히려 시달리고 고뇌하게 된 현대운명의 제도적 억압과 그로인한 인간성 상실 ·소외 등의 문제를 표현하고자 일상적 삶의 체험과 밀착된 소재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론적 측면에서는, 역사적 단계에서의 사회적 기반에 대한 파악을 근간으로 삼아 대중에게 현실에 대한 총체적이고 객관적인 인식과 비판의식을 제시하였던 리얼리즘미학의 기초이론에 공감을 가지고 수용하였으며, 아울러 외적세계의 객관화를 통한 현실의 총체적 인식을 지향하였던 신구상회화의 작가들과 견해를 같이 하였다. 방법적 측면에서는 순수조형의 다양한 시도와 함께 리얼리즘적 성격을 띄고 현대사회의 비판적 기능을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던 Valerio Adami (1935∼), Leonardo Cremonini (1925∼), Gerard Fromanger (1939∼) 의 작품들과 비교하여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외적 현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과 함께 그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고양된 회화적 조형성 안에서 인간성 상실·소외의식 ·자의식의 무기력화 등 잠재된 인간적 문제들을 환기시켜 그 갈등의 해소와 각성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FORM and CONTENT took turn in importance and emphasis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s over the past several centuries. Abstract painting was developed as an extreme Subjectivism. It excessively emphasized both the individual and liberal creative work and the expression of inner mentality. It subsequently progressed self satisfied, so aesthetic, isolated from daily life, and neglective about contents of the works. New figurative painting which had a skeptical viewpoint against the abstract painting was one sort of Realism. It was perceive as a subsequent Syn-These of the abstract painting and the figurative painting in Dialectic Relation rather than opposite concept of Abstraction. A series of new moves such as Pop Art, Nouveau Realisme and Nouvelle Figuration have emerged since 1960's. These new types of Figuration had overcome Abstraction and dealt with wide range of real images of human situations. The art, behavior of creation, is not simply the creative behavior of an individual. It should be rather a product of the historical scene in which the individual lives. As such, writer of this thesis re-recognized of historical & social situation on nowadays, and intended to express in her paintings the problems of systematic oppression, alienation, and loss of humanity due to modern culture, which was invited delightedly before it has later become an object of human belings' agony and struggle. On theoretical side, having agreed with basic theory of Realism Aesthetic which pursued an objective and critical perception of realistic situation, she at the sane time took it essential to grasp social ins and outs under historical development. In methodological respect, writer's paintings have been analyzed in comparison w th the works of the Nouvelle Figuration artists such as VALERIO ADAMI , LEONARDO CREMONINI, AND GERARD FROMANGER. The artists pursued variety of plasticity based on their overcoming of abstration and expressed metaphorically in their works the critical functions of modern society with real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tudy as above, efforts have been made to grasp and objectively recognize external reality, and to present the problems of it. It has been also designed that viewers of writer's painting's would be enlightened and released from latent human issues such as loss of humanity, alienation, enervated self-consciousness by the sublimated painterly plasticity of the pai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