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호-
dc.contributor.author김인화-
dc.creator김인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7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0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3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010-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aims to approach the color terms of current Korean language both in grammatical and semantic aspects, to the effect of purifying the language and attaining affluent rendering of emotions.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of course color term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classes of Chinese, native, and the others. The colors refered by the words are based on the five cardinal color terms of Korean, i.e. puk-ta, k?m-ta, hi-ta, phłlł-ta, nulł-ta. The grammatical research of classifying morphemes and organizing as well as analysing their construc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The characteristics those founded in the grammatical research of color terms are the unique reqularities of word-formation. But the grammatical contents of Korean color terms can be concisely explained by the features of native derivative color terms, the various and complicated derivation of them being not only inclusive but representative. There are much variety of variations in them and variation rules have a high productibility within the catagory of color terms.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concording structures are found among roots or between roots and affixes. The results of derivation are word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parts of speech as well as semantic variations. The semantic research is clarifying the original semantic features of Korean color terms, once again, the native derivatives being chosen as materials. Native color terms are different from Chinese which give more importance to notifying color, and from other color terms formed by suffix derivation; in that they have bases plus various derivations. Thus they can be suitable objects research aiming at clarifying the expressions of emotions based on non-color elements. To start with, the meanings of color terms are divided into two classes of notifying colors and expressing situations or mentalities, in other words basic meanings and contextual meanings. Now the research begins at the hypothesis that the contextual meanings are managed by the derived parts of the native derivatives. To prove the hypothesis, an examination through opinionaries from a pragmatical view was made. As a result, it was convinced that color terms have other meanings in addition to simple noticification of colors, which are elicited by situations and objects. besides it was found that the contextual meanings of color terms leads the usage of them to the extent of idiomatic ones. In this thesis, precise and various use of color terms was sought through the grammatical research of Korean color terms on one hand, and the possibility of rich renderings of emotions by urging activation of the use of color terms through semantic research was sounded out on the other.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would be more fixed with more profound and extended approaches, e.g. grasping the meanings of each morphemes in the use of color terms of historical survey of the usage. In addition, it would be needed to enlarge the objects of research to the extent of the whole catagory of sensory terms and utilize literary works.;현대 한국어에 나타나는 색채어의 연구는 국어순화와 풍부한 정감표현을 위해서 문법적인 면과 의미적인 면의 두 방향에서 전개되었다. 색채어 연구의 대상은 물론 색채어이고 그 분류는 한자어 색채어와 고유어 색채어 그리고 기타 색채어의 셋으로 나누어 살피었는데, 이들의 색깔은 한국어의 기본색채어인 '붉다'·'검다'·'희다'·'푸르다'·'누르다'의 5색깔에 근거한다. 먼저, 문법적 고찰은 형태소의 분류와 그들의 구성양상을 분석하고 체계화시키는 작업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색체어의 문법적 고찰로 드러나는 특징은 단어형성에서의 독특한 규칙성인데 고유어 파생색채어의 다양하고도 복잡한 파생양상이 포괄적이고 대표적이기에 한국어 색채어의 문법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고유어 파생색채어의 특징을 간단히 언급함으로써 대신하려 한다. 고유어 파생색채어는 파생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이들에 작용하는 파생규칙들은 색채어 내에서는 생산성이 높으며, 파생어기끼리 혹은 파생어기와 접사간에는 파생과정에서 호응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파생에 의해서는 의미변화와 함께 품사형성과 전성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의미면에서는 고유어 파생색채어를 대상으로 한국어 색채어의 의미에 있어 색다른 자질을 규명해 보았다. 고유어 색채어는, 언어 형식상 특징이 색깔고지에 중점을 두고 있는 한자에 색채어나 접미사파생으불 색채어화한 기타색채어와는 달리, 기본어기에다 다양한 파생을 전개하여 색깔이외의 요소에 근거한 정감표현을 밝히려는 본 연구에 합당한 대상이다. 연구는 색채어의 의미를 색깔고지와 상황·심리표현 즉 기본적 의미와 맥락적 의미의 두 부분으로 나누고, 색채어의 맥락적 의미표현을 고유어 파생색채어의 파생부분이 담당하고 있다는 가설에서 시작하였다. 가설의 증명은 화용론적 입장에서 설문지법을 통해 시도하였는데, 설문결과로 색채어가 색깔고지이외의 의미표현을 한다는 것과 그 의미표현을 유도해내는 요소가 상황과 대상이라는 것을 밝혔다. 또 색채어의 맥락적 의미는 색채어 사용을 관용적 용법으로까지 이끌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상, 한국어 색채어의 문법적 고찰론 정확하고도 다양한 색채어사용을 지도하고, 의미면의 고찰로 색채어사용의 활성화를 촉구하여 풍부한 정감표현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연구대상을 감각어 전체로 넓히고 문학작품을 자료로 실제 색채어사용에 있어 각형태소의 의미측정과 연대별 색채어 사용의 발달사 정리 중의 심화·확대된 연구로 인해, 더욱 확실해질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방법 = 1 B. 연구사 = 2 C. 연구 대상 = 3 Ⅱ. 문법적 접근 = 9 A. 한자어 색채어 = 9 B. 고유어 색채어 = 19 C. 기타 색채어 = 49 Ⅲ. 고유어 파생색채어의 의미고찰 = 57 A. 기본적 의미와 맥락적 의미 = 58 B. 화용론적 입장에서의 해명 = 61 Ⅳ. 결론 = 87 참고문헌 = 89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689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현대 한국어-
dc.subject색채어-
dc.subject고유어-
dc.subject파생색채어-
dc.title현대 한국어의 색채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search for Color Terms of Current Korean Languag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