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7 Download: 0

상담자의 탐색적 질문반응과 반영반응이 내담자의 자기표출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담자의 탐색적 질문반응과 반영반응이 내담자의 자기표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study of client's self-desclosure to counselor's Probing and Reflection
Authors
주영아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상담자내담자탐색적 질문 반응반영반응자기표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degree of slf-disclosure and affective disclosure make a difference between two according to counselor's Probing and Reflection. That is to say, it was intended to explore whether counselor's Probing is more effective than Reflection in inducing client's self-disclosure and affective disclosure. The subjects were female undergraduates, after self-disclosure testing 12 subjects with low self-disclosure were selected in this experiment. These 12 subjects were assigned to Probing condition and Reflection condition in sixes. In this study, Probing condition means that the researcher uses mainly the probing technique in the counseling with client. Reflection condition means that the researcher uses mainly the Reflection technique in counseling. In both groups, the other responses from counselor were controled by Approval and Minimal encorager. The researcher made counseling 4 times with the clients 4 weeks taking 40 minuits in each session and once a week. Hill's Verval Respones Category System adapted by Bang Ja Jeung was applied as a tool in measuring verval response of counselor, and the Self-Expression Classification invented by Bang Ja Jeung was applied as a tool in measuring client's affective expression. The Judges classified and evaluated verbatim of counseling process with these measuring tools. The data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the T-testing.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Probing is more effective than Reflection in inducing client's self-disclosure. 2. The correlation in Probing and affective disclosure is higher than that in Reflection and affective-disclosure. That is to say, Probing is more effective than Reflection in inducing client's affective disclosure. 3. In client's response, the degree of self-disclosur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obing group and Reflection group at the initial interview But in the forth sess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hown between these two groups. 4. In affective disclosu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Probing condition and Reflection condition both at initial interview and in forth session. 5. In the amount of self-disclosu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amount of Probing group and that of Reflection group. Consequently it is finded out in this study that counselor's Probing is more effective than Reflection in inducing client's self-disclosure and affective disclosure.;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초기면접(Initial Interview)시 상담자의 탐색적질문(Probing) 반응과 반영(Reflection)반응에 따른 내담자의 자기표출 및 정의적표출 정도가 서로 다른지를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즉, 상담자의 탐색적질문 반응이 내담자의 자기표출 및 정의적 표출을 유발하는 데 있어서 반영 반응보다 더 효율적일 것인가 하는 것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모두 여자 대학생으로 자기표출검사를 통해 점수가 낮은(M - 1SD 이하)집단중에서 10명을 선정하였다. 이 피험자는 탐색적질문 반응조건과 반영 반응조건에 5명식 배당되었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질문 반응조건이란 본 연구자가 피험자와 상담을 하는 과정에서 탐색적질문 반응을 주로 사용하고 그 외의 상담자 언어반응은 반영, 시인, 가벼운 격려 반응으로 통제한 조건을 말한다. 그리고 반영 반응조건이란 상담자 언어반응중 본 연구자가 반영 반응을 주로 하고 그 외 다른 상담자 언어반응은 탐색적질문, 시인, 가벼운 격려 반응으로 통제한 조건이다. 피험자들은 매회 40분씩 주 1회 4주동안 모두 4회에 걸처 본 연구자와 개인상담을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상담자 언어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상담자 언어반응 유목척도'와 내담자의 감정표현을 분류하기 위한 '자기표현 분류척도'이며, 또한 상담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담 및 상담자에 대한 지각질문지'와 '상담관계에 관한 질문지' 등이 측정도구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3명의 평정자들로 하여금 이 도구중 '상담자 언어반응 유목척도'와 '내담자 자기표현 분류척도'를 사용하여 상담내용의 축어록(Verbatim)을 분류, 평정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t - 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탐색적질문 반응이 내람자의 자기표출을 유발하는 데 있어서 반영 반응보다 더 효율적이다(t = 2.84, P < .01). 2. 탐색적질문 반응과 정의적 표출과의 상관이 반영 반응과 정의적 표출과의 상관보다 더 높다(t = 2.05, P < .05). 3. 탐색적질문 반응집단과 반영 반응집단간에 내담자의 자기표출 정도는 초기면접시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만(t = 3.23, P < .01), 4회면접때에는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 = 1.61, P > .05). 4. 정의적표출 정도는 초기면접시나 4회면접때나 탐색적질문 반응집단과 반영 반응집단간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다(t = 3.01 P < .01, t = 2.84 P < .01). 5. 양적인 면에서 보면 탐색적질문 반응에 대한 자기표출빈도가 반영 반응에 대한 자기표출 빈도보다 유의하게 많다(t = 2.91, P < .01). 6. 탐색적질문 반응을 많이 한 집단의 피험자들이 상담 및 상담자에 대해 반영 반응을 많이 한 집단의 피험자들보다 더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t = 2.87, P < .05).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