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천흥-
dc.contributor.author이해주-
dc.creator이해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8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3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8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전통 궁중무용 중에서, 唐樂呈才 양식인 연화대무의 내용과 형식 및 제반적인 요소들을 옛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며 불교에서의 연화의 상징적 의미를 찾아내어, 서로의 공통점을 연화에서 찾아서 연화대무의 깊은 뜻을 알고져 함이다. 또한 궁중呈才에 관한 내용을 명백히 하고, 그 일반적인 형태 및 특성을 규명하여 춤사위의 원형을 복원하고 후대에 계승하는데,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고져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궁중呈才의 구조와 그 변천과정을 보면, 呈才는 개개의 작품이 독자적인 감정표현을 초월해 국가적인 성격을 지니며, 의식절차 및 구조차체에 陰陽五行의 동양철학 사상이 깃들여 있고, 춤추는 모습은 정중하고 우아하며 깊이있게 구사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내용에 있어 목적과 의도가 분명하며, 형태와 구성이 잘 정리되어 있고, 연화과정에는 기·승·전·결의 엄격한 격식과 절차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려시대에는 호국 불교사상이 전해지면서, 八關會와 燃燈會가 더욱 성행하였고, 이 당시 매우 중요시 여기던 佛敎에서는 敎花로서 연꽃을 채택하여 불상과 보살상의 조각에 항상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연꽃이 불교의 표상이 된 동기는, 이러한 귀절에서 보아 그동기를 단번에 알 수 있다. "處世間女處空, 如蓮花不着水"라 하여, 불교에서는 연화를 소중히 여기며 성스럽고 아름다우며 깨끗한 것에 비유하고 있다. 고려때에 송에서 수입된 당악정재 양식인, 연화대무에서도 다른 모든 꽃들 중에서 연화를 사용하게된 동기는, 위와 같이 불교에서 연화의 상징적 의미와 동일하다고 여겨지며, 또한 불교를 널리 알리려는 목적으로도 사용한 것 같다. 그러므로 왕의 업적과 권위를 찬양하거나, 나라의 경축행사때 연희되었던 것은, 필시 연꽃의 신성함과 아름다움, 청정함을 불교에서의 극락세계 신성함과 아름다움에 결부시켜, 그 흥을 더욱 높이고 왕의 업적과 권위를 더욱 찬양하게 하기 위함이라 볼 수 있겠다. 연화대무의 마지막 唱詞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극락세계와 결부됨을 알 수 있다. 그 귀절은 다음과 같다. "雅樂將終, 拜辭華席, 仙□欲返, 遙指雲程"이라 칭하고서 재배하고 물러난다. 여기서 신선의 수레라 하여 신성함을 나타내며, 왕의 권위를 하늘과 연결시켜 더욱 높이려 함을 금방 알 수 있다. 연화대무의 전래는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석지국에서 전래된 춤이라고 추측하며, 그 전면이 아닌 일면만을 재창제하여 지금까지 연희되고 있다. 그러므로 연화대무는 당악정재에 속하는 춤의 하나이며, 불교이념을 기본으로하여, 우리나라에 맞게 재창제된 춤이며, 조선조 말기까지 세부적으로 잘 다듬어졌으며, 궁중정재 중에서 어느것에도 뒤지지 않는 아름답고 우아한 춤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훌륭한 우리의 춤을 우리는 보존하면서, 사라진 춤을 현재에 되살리는데 힘써야 하겠다.;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Yon-Wha-Dae" which is one type of the "Dang-Ak-Jung-Jae" is studied in the old documents, and the common features of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lotus blossom in Buddhism and it is considered. The thesis also aims at restoration and succession of the dancing form by clearing the contents, forms, and characters of the "Court Jung-Jae". Now, Let's consider the structure and transition of the "Court Jung-Jae". Every Jung-Jae has the national character transcending the individual expression of emotion and it contains the thought of oriental philosophy of the theory of the Eum-Yang-five-Elements in this course of rite and structure itself. Its dancing form is very elegant and polite and the purpose and intension of it is very definite. The construction of its form is so well arranged that the performing course is made up of the severe rule and order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Buddhism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thought in Koryeo Dynasty, so Pal-Kwan meeting and Yon-Deung meeting were thrived. Buddhism also regards lotus blossom as a symbol and we can know its motive by the following paragraph ." "Yon-Wha-Dae" which is transimitted from Song country uses lotus blossoms which stand for the Buddhist symbol. "Yon-Wha- Dae" is played for the purpose of celebrating of the nation's happy events and praising the achievement of the king in the pleasure and amusement by reviving the meaning of the lotus blossom which means paradise in Buddhism. In the last part of the "Yon-Wha-Dae", "As an elegant music is about to end, we bow and leave the splendor place. For returning, God's coach faces distant cioudy way" say two maids and leave. The paragraph indicates that the dignity and achievement of the king is looked better by linking paradiwe with real world. Originally "Yon-Wha-Dae has been considered to be a transmitted dance from Seuk-Ji Country and has been played as far, restored a part not a whole. Therefore "Yon-Wha-Da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Dang-Ak-Jung-Jae" which is based on the Buddhism, with a dance of Korean style, corrected in detail and considered to be an outstanding dance. I think such a beautiful dance must be treasured and constantly studi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1 Ⅱ. 연화대무의 문헌에 대한 연구 = 3 A. 연화대무의 역사적 배경 = 3 B. 연화대무의 변천과정 = 13 Ⅲ. 불교에 있어서 연화의 상징적 의미 = 42 A. 불교 經典에 나타난 연화 = 42 B. 불교 美術에 나타난 연화 = 45 Ⅳ. 연화대무에서 연화의 상징성 = 50 Ⅴ. 결론 = 52 참고문헌 = 54 부록 = 56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397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연화대무-
dc.subject무용학-
dc.subjectYon-Wha-Dae-
dc.subject연화대-
dc.subject.ddc700-
dc.title연화대무에 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Yon-Wha-Dae"-
dc.creator.othernameLee, Hae Joo-
dc.format.pagev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