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4 Download: 0

뇌졸증으로 인한 편마비 (hemiplegia)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Title
뇌졸증으로 인한 편마비 (hemiplegia)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perceive stress and depression in hemiplegia patients using neuman stressors concepts factors
Authors
박원경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뇌졸증편마비 환자스트레스우울hemiplegia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변영순
Abstract
Hemiplegia is not a disease entity but a symptom representing functional deficit. There are numerous diseases which may result in hemiplegia, but it is usually caused by cerebrovascular accident. Hemiplegia resulting from cerebrovascular accident usually occurs in adult life when client's have many important familial and social responsibilities. Hemiplegia imposes extrastressors upon them and results in impairment in the physical function necessary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rther hemiplegic patients experience psychological stress such as anxiety, frustration, and depression. When severe, these psychological stressors will have a great influence upon recovery.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planning of stressor reducing nursing strategies by identifying the stressors experienced by hemiplegic patients, which stressor has the greatest influ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stressors and depression, on the basis of the stressor factors in Neuman's Health-Care Systsm Model. Subjects were 64 hemiplegic patients hospitalized at K.Oriental Medicine Hospital and 4 other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study method used was a questionaire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2 , 1987.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tress scale and the Zung's self rating depression scale. The stress scale, based chiefly on Neuman's stressors, wa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with the aid of concerned health professionals and from the literature: The stress scale was judged both valid and reliable(Chronbach's Alpha .90). For statistical analysis, percentage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en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1. Stress and depression perceived by the hemiplegic patients. 1) The level of stress perceived by the hemiplegic patients : Among the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extrapersonal stressors, intrapersonal stressors related to physical dysfunction showed1 the highest score (Mean= 3.282, S.D.= ±1.217). Interpersonal stressors related to role changes following illness and feelings of uneasiness toward the family ranked second (M=3.221 , S.D.= ±1.253). Extrapersonal stressors related to factors such as not being restored to the previous state of health inability to enjoy former hobbies and entertainment and financial loss due to medical costs showed the least score (M=2.93, S.D= ±1.338). 2) The level of depression the hemiplegic patients: Eight patients(12.5%), showed normal depression; 28 patients (43.8%), showed mild to moderate depression; 16 patients (25%), showed moderate to severe depression. Only 12 patients (18.7%), showed severe depression. 2.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The higher the level of preceived stress the higher was the level of depression." (r=0.5377, p=0.000). 1) "The higher the level of intrapersonal stress the higher was the level of depression." (r=0.5897, p=0.000). 2)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personal stress the higher was the level of depression." (r=0.2959, p=0.009), and 3) "The higher the level of extrapersonal stress, the higher was the level of depression." (r=0.2430, p=0.027). 3.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1)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primarily related with the level of perceived stress was educational background (p=0.049). 2)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related with the level of depression wer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bearer of the medical costs.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p=0.013). The level of depression was higher when siblings and relatives payed the medical costs (p=0.032). 4.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disease related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previous cerebrovascular accidents, duration of the illness, the side of the hemiplegia,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or atherosclerosis and the levels of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p> 0.05). In conclusion, intrapersonal stressors resulting from physical dysfunction was the main stressor among those perceived by the hemiplegic patients. The patients also experienced more reactive depression, an emotional dysfunction, because of intrapersonal stressors. Nursing care planning should be focused on the recover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systemically develop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rategies such as excercise and other education programs effective in reducing intrapersonal stressors.;편마비(hemiplegia)란 질환이 아니라 기능적 장애인 증상으로 여러 원인으로 올 수 있으며 흔히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에 의한 경우가 많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는 생의 주기 가운데 성인기에 많이 올 수 있다. 이 시기는 가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책임이 개인에게 부과되는데 편마비로 인하여 스트레스가 더욱 가중되며, 일상생활을 위한 신체적 기능이 저하되어 이에 따라 우울·좌절·불안과 같은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정서적 고통이 심할 경우에는 환자의 질병회복과정에 대한 적응능력에 장애를 초래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Neuman의 스트레스 요인을 근간으로 하여 편마비환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종류중, 어느 면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지를 알아보고 우울성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와 감소로 간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하는 K의료원 한방병원과 4개 대학부속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 64명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7년 9월 14일부터 10월 2일까지 19일간 이었다. 연구도구는 Neuman의 스트레스 요인을 근간으로 하여 문헌고찰과 지도교수 및 관계의료인들의 자문을 거쳐 본 연구자가 작성하여 신뢰도, 타당도 검정을 거친 스트레스 측정도구와 Zung의 자가평가우울 (self rating depression)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편마비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 및 우울정도 1) 편마비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정도 스트레스정도는 개인내부의, 개인간의, 개인외부의 스트레스 항목 중 평균이 높게 나타난 항목으로는, 신체적 기능장애로 경험되는 개인내부의 스트레스였으며 (Mean=3.282, S. D.=± 1.217), 다음이 질병으로 인한 역할변화, 가족에게 주는 부담감등의 개인간의 스트레스 (Mean=3.221, S. D.=±1.253), 장애 이전의 상태로 복귀못하므로 입원전에 즐겼던 취미나 오락생활을 못하는 것과 치료나 입원으로 인한 경제적인 타격으로 받는 개인외부의 스트레스 Mean=2.93, S. D.=±1.338) 순으로 나타났다. 2) 편마비환자의 우울정도 우울정도는 12.5% (8명)가 정상적인 우울을 나타냈으며 43.8% (28명)는 경증에서 중증도 우울을, 2 % (10명)는 중증도 우울에서 중증우울을, 18.7% (12명)는 심한 중증우울을 나타냈다. 2.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편마비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정도도 높았다." (r=0.5377, P=0.000). 첫째, "편마비환자가 지각한 개인내부의 스트레스 (intrapersonal stress)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정도도 높았다."(r=0.5897. P=0.000). 둘째, "편마비환자가 지각한 개인간의 스트레스(interpersonal stress)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정도도 높았다." (r=0.2959. P=0.009) 셋째, "편마비환자가 지각한 개인 외부의 스트레스(extrapersonal stress)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정도도 높았다." (r=0.2430, P=0.027). 3.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지각한 스트레스 및 우울정도와의 관계 1) 스트레스 정도와 관련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학력이었다. 즉 저학력인 경우가 스트레스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P=0.0491). 2.) 우울정도와 관련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학력과 치료비 부담자 등이었다. 학력에서는 저학력인 경우가, 치료비 부담에 있어서는 형제, 자매, 친척이 부담하는 경우가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3: P=0.032). 4. 질병의 제특성과 지각한 스트레스 및 우울정도와의 관계 지각한 스트레스 및 우울정도는 뇌졸중 발병경험, 투병기간, 마비된측, 당뇨병 유무, 고혈압 유무, 동맥경화증 유무 등의 질병의 제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결론적으로 편마비환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중에 신체기능장애로 오는 개인내부의 스트레스가 주요 스트레스 요인이며 이로 인해 정서적 장애인 반응성 우울을 더 많이 느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인 내부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운동이나 교육 프로그램등의 중재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개발하여 체계적으로 강화함으로써, 일상생활 능력회복에 역점을 두는 간호를 계획, 수행하여야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