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모경빈-
dc.contributor.author김애리-
dc.creator김애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9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5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555-
dc.description.abstract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have been accompanied by an increased traffic and industria1 accident rate resulting in head injuries causing disability and death. A major cause of disability to youth, head injury is a serious national public health problem. Because the brain is so very important to life, head injury may sustain a more intensive psychic trauma than injury to other parts of the body. Sudden accident and hospitalization make a severe emotional impact on the patient and bring about complex social and psychic problems. Among them, anxiety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patients' recovery and restoration to social life. This study focused on patients with cerebral contusion which constitutes the majority of head injuries. The purpose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care toward the relief of anxiety, the promotion of recovery and adaption. The study problem was to determine factors related to anxiety of head injury patients. Subjects were 72 head injury patients hospitalized in 15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the province of Kyong-ki.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 23 to Oct. 20, 1987 through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Hospital Rating Scale, Self Rating Anxiety Scale and revised according to nursing literature, clinical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patients, five nursing educators, four neurosurgica1 head nurses and two neurosurgica1 specialists, and refined after a pilot test. Data were analyzed in an SPSS program using the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anxiety factors reported by the subjects, that which ranked highest was "being anxious about the disease process and after effects (M = 4.056, SD = 1.060). Next were "being anxious that I will have difficulty carrying on at school or work" (M = 3.639, SD=1.466), and "being anxious that I will have another head injury" (M=3.417, SD=1.470). On the other end of the range, least ranked was "being anxious about the hospitalization cost"(M=1.514, SD=1.035) "being anxious about restrictions to the sexual marital reslationship" (M=1.792, SD=1.233), and "being anxious about nausea and vomiting" (M=1.847, SD=1.241). 2. The order in which anxiety factors were reported were social factors (M=2.8038, SD=0.830), psychic factors (M=0.6944, SD=0.810), and physical factors (M=2.3899, SD=0.286).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and psychic factors. 3.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nxiety,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xiety related to physical factors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and age(t=3.32, p=0.024; F=3.544, p-0.0067).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xiety related to psychic factors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vomiting at the time of the accident, age, educational level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t=2.04, p=0.045; t=-2.04, p=0.045; F=3.330, p=0.0096; F=3.072, p=0.220; F=3.088, p=0.0328).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nxiety related to social factors and hospitalization experience, educational level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t=2.22 p=0.030; F=2.737 p=0.0358; F=8.164 p=0.001). 4) The hypothesis, that there would b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anxiety factors, was supporte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hysical, psychic and social factors (r=0.6095, p=0.0000; r=0.6414, p=0.0000). In summary, social ind psychic anxiety factors were primarily recorted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ysical factors. It is recommended that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s including empathetic understanding, reassurance with factual information,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promotion of a support network be used to relieve anxiety. Variables such as hospitalization, age, vomiting at the time of the accident, educational level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dealing with the anxiety of cerebral contusion patients.;오늘날 산업경제 및 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교통사고, 산업재해사고 등으로 두부 외상 사고가 많아졌으며 그 정도도 이전에 비해 치명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두부외상은 청· 장년층에 사망과 불구를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 되어 심각한 국가적인 건강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개인의 생활에서 두부가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중요하여, 신체 다른 부분의 손상보다도 더욱 강한 심리적 외상을 준다. 갑작스런 사고와 입원은 심한 정서적 충격 상태에 놓이게 하며, 두부외상 환자의 이런 문제는 신체적 문제 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인 문제들을 일으키며, 그중 불안감은 환자의 회복과 사회복귀등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된 연구는 두부외상 환자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뇌좌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불안정도를 파악하고 불안요인을 분석함으로서 적응기간을 단축시키고 전인 간호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내 15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뇌좌상으로 입원중인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7년 9월 29일 부터 10월 20일까지 였으며 연구도구는 Hospital Rating Scale, Self-Rating Anxiety 척도를 참고로 하여 문헌고찰과 연구자의 임상관찰, 뇌좌상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설문 문항을 작성한 뒤 간호학교수 5명, 신경외과 병동 수간호원 4명, 신경외과 전문의 2명에 대한 내용 타당도를 검정한 후 환자에게 사전조사를 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 재작성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vova,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좌상 환자가 느끼는 가장 높은 불안요인 문항은 「앞으로의 병의 경과와 후유증 때문에 불안하다」 (M=4,056, SD=1.060)이었고, 두 번째는 「사고로 인하여 학교 직장생활에 지장을 주어서 불안하다」 (M=3.639, SD=1.466) 세번째는 「다시 또 사고를 당해 머리를 다칠까봐 불안하다」(M=3.417, SD=1.4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불안 평균치가 낮은 항목은 「치료비를 어떻게 감당할지 불안하다」 (M=1.514, SD=1.035) 다음은 「부부생활에 제한을 받을까봐 불안하다」 (M=1.792, SD=1.233) 「물이나 음식물을 토했을때 불안하다」 (M=1.847, SD=1.241)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2. 제불안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는 「사회적요인의 불안」 (M=2.8038, SD=0.830)이 가장 높으며 「심리적요인의 불안」 (M=2.6944, SD=0.810)「신체적요인의 불안」(M=2.3899, SD=0.826) 순으로 나타났으나「사회적요인의 불안」과 「심리적요인의 불안」의 평균점수 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t=-1.24, p>0.01). 3. 제1가설인 "뇌좌상 환자의 제불안요인 및 정도는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1) 신체적요인의 불안은 입원경험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2, p=0.0024; F=3.544, p=0.0067). 2) 심리적 불안은 입원경험, 사고당시 구토, 연령, 학력, 입원기간에 따라·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04, p=0.045; t=-2.04, p=0.045: F:3.330, p=0.0096: F=3.072, p=0.0220; F=3.088, p=0.0328). 3) 사회적요인의 불안은 입원경험과 학력, 입원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22, p=0.030; F=2.737, p=0.0358: F=8.164, p=0.0001). 4) 제2가설인 "뇌좌상 환자의 제불안요인의 정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신체적인의 불안, 심리적요인의 불안, 사회적요인의 불안간에는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r=0.6095, p=0.0000; r=0.6414, p=0.0000).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때 갑작스런 사고로 입원한 뇌좌상 환자는 사회, 심리적인 불안이 가장 높으며, 신체적인 불안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적인 심리간호, 사실에 대해 충분히 이해시키고 안심시키는 것, 효과적이고 충분한 정보제공 및 치료환경조절, 사회적인 지지등을 통한 중재가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뇌좌상 환자 불안사정시 관련변수로서 입원경험, 연령, 사고당시 구토, 학력, 입원기간을 특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4 E. 연구의 한계 =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7 A. 두부외상 = 7 1. 두부외상의 신체적 영향 = 10 2. 두부외상의 심리적 영향 = 12 B. 두부외상 환자의 간호 = 16 Ⅲ. 연구 방법 = 20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20 B. 연구도구 = 21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22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23 A.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 23 B. 대상자의 불안요인 및 그 정도 = 25 C. 일반적 배경에 따른 제불안 요인 및 제불안 요인들간의 관계분석 (가설검정) = 30 1. 제불안 요인의 분석 = 30 2. 일반적 배경에 따른 제불안 요인의 양상 = 35 3. 제불안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 39 Ⅴ. 결론 및 제언 = 40 A. 결론 = 40 B. 제언 = 43 참고문헌 = 44 부록 = 53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35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두부외상 환자-
dc.subject뇌좌상 환자-
dc.subject불안-
dc.title두부외상 환자의 불안요인 및 그 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뇌좌상 환자를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Kim, Aee Lee-
dc.format.pagevi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