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출산의 위험요인 유무별 산욕초기 산모의 어머니 역할인식과 자가간호수행에 관한 연구

Title
출산의 위험요인 유무별 산욕초기 산모의 어머니 역할인식과 자가간호수행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prenatal and Perinatal Risk Factors on Maternal Role Perception and Self-Care Performance during the Early Puerperium
Authors
김희경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출산산욕초기산모자가간호수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isk factors during pregnancy and delivery on mothers' perception of their maternal role and their performance of self-care activities during the early puerperium period. Risk scores were measured by the Risk Factors Indicator developed by Edwards and Brodish, and modified by the researcher. During April 1 through 20th, 1987, Subjects from eight general hospitals in Seoul were measured during the first three days postpartum until 50 with the risk scores from 7 and above and 50 with scores form 6 and under were obtained. Data on the level of maternal role perception were gathered by Sheehan's The Clinical Tool for Assessing Adaptation to Motherhood through Six Weeks Postpartum, modified by the researcher. Self-Care Performance data were gathered by Lee, Kyung-Hye's Needs of the Mother and her Baby at Home Alone in the Postpartem Period, also modified by the researcher.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t-test, and ANOVA. Conclusion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high risk factor group and The low risk group according to subjects' age, employment status, educational status, duration of marriage, family type (Whether extended or nuclear), parity and the frequency of antenatal care. 2. There was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marrital life reported by low risk factor group (84%) than by the high risk group (52%) (X^(2) ; 10.34, p〈 . 001). Both groups responded that delivery had been difficult ; however, there was a higher rate of reported difficulty for the high risk group (86%) (X^(2) ; 5.333, p〈 . 05).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perception on maternal role, between the two groups; scores were lower for the high risk group (2.967 VS 2.229) ; (t=20.10, p〈 .001) 4. There was a signifcant difference on the Self-care performance score ; Self-care performance was lower for the high risk group (1.436 VS 1.796) ; (t=-6.93, p〈 .001). Nurses need to give priority the needs of high risk mothers when planning interventions to enhance maternal role perception and self-care performance during the childbearing experience.;인간이 일생동안 경험하는 여러 사건 중에서 생식과 출생은 가장 경이로운 사실이며 가계 유지 및 인류의 종족보존을 위해 중요한 과정이다. 모성 간호의 개념은 임신 분만 산욕기 모든 시기에 적용되지만, 산욕기 중 모성 간호의 질은 현재와 미래의 건강을 지키는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산욕기의 산모는 임신과 분만의 경험으로부터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회복하고 영아 및 새로운 가족 구조에 적응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여성 및 아내의 역할에서 어머니의 역할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금까지의 역할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더 부과되는 것이다. 산욕기 산모가 이러한 어머니 역할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어머니로서의 역할 인식과 자가 간호 수행 능력이 있어서 역할 수행을 적절히 할 수 있어야 한다. 출산의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의 경우 어머니 역할의 획득이 발달상의 위기라 하면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는 발달상의 위기에 더하여 상황 위기도 극복해야 하는 어려운 과업에 직면하게되어 어머니로서의 자아 확신감과 자존감에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출산의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에 비해 영아가 정상이든 비 정상이든 간에 많은 신체 및 정신, 사회적 문제를 가진 어머니는 그 역할 적응이나 발달 과업을 완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산욕기 산모와 영아가 건강을 유지하고 나아가 건강한 가족 생활을 영위하도록 돕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가 위험 상태를 벗어나 어머니 역할을 쉽게 적응하도록 돕는 것은 모성 간호원의 중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 이에 출산의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와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의 어머니 역할 인식 정도와 자가 간호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비교하므로서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의 위험 요인에 따른 개별적인 간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1987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서울 시내 소재 8개 병원 산과 병동에 입원한 산후 3일이내의 산모 100명을 대상으로 먼저 Edwards와 Brodish가 고안한 위험 득점,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출산의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와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두군(출산의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 50명,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 50명 )의 어머니 역할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Sheehan의 The Clinical Tool for Assessing Adaptation to Motherhood through Six Weeks Postpartum을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산후 모성과 영아를 위한 자가 간호 수행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경혜의 "산욕기 산모의 어머니 역할에 대한 인식과 간호 요구에 대한 연구"중에서 산욕기 산모의 간호 요구를 측정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본 연구자와 훈련된 연구원 1명이 직접 면접법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산술 평균, Chi-square, t-test , ANOVA로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군이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군보다 어머니 역할 인식 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P = .000 ). 2 .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군이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군보다 자가 간호 수행 정도가 현저히 낮았다( P = .000 ). 3 . 출산의 위험 요인 유무별 산모들의 어머니 역할 수행 중 간호 요구에 따른 자가 간호 수행 정도를 비교해 보면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군이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군보다 영양을 고려한 식사, 병원 재 방문, 남편 및 아이들 돌보기, 집안살림, 영아 목욕 시키기, 아기 울음의 의미 파악 및 달래기, 응급처치등 자가 간호 수행에 어려움이 있어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군이 자신과 영아 간호 및 집안 살림등 주부로서 역할 수행에 더욱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4 . 출산의 위험 요인 유무별 산모들 각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 역할 인식을 비교해 보면 출산의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 역할 인식 정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군은 가족 형태와 어머니 역할 인식 정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P = .012 ). 5 . 출산의 위험 요인 유무별 산모들 각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 간호 수행 정도를 비교해보면 출산의 위험 요인이 없는 산모군은 연령 ( P = 001 ) , 결혼기간 ( P : .0027 ) , 산과력 ( P = .000)과 자가 간호 수행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연령이 많은 군보다 적은 군에서, 결혼 기간이 오래된 군보다 짧은 군에서, 경산모보다 초산모에서 자가 간호 수행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출산의 위험 요인이 있는 산모군은 결혼기간( P= .0044) , 출산과정에 대한 느낌 ( P = .015 ) , 산과력 ( P = .000 )과 자가 간호 수행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결혼 기간이 오래된 군보다 짧은 군에서, 출산 과정이 어려웠다는 군보다 쉬웠다는 군에서, 경산모보다 초산모에서 자가 간호 수행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